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O형 주계열성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O형 주계열성
Remove ads

O형 주계열성은 분광형은 O에 광도분류로는 V에 해당하는 주계열성이다. 주계열 단계이므로 중심핵에서 수소를 태우는 단계에 있다. 질량은 태양의 15 ~ 90배 정도 되고, 표면온도는 30,000 ~ 52,000 켈빈 정도이다. 밝기는 태양의 30,000 ~ 1,000,000 배에 이른다.[1][2] O형 주계열성은 흔치 않아 우리 은하에 2만 개 남짓 정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3] 대표적으로는 오리온자리 시그마 A, 도마뱀자리 10, 땅꾼자리 제타가 있다.[4][5]

Thumb
도마뱀자리 10셀레스티아 시뮬레이션.

분광표준별

Thumb
O9형 주계열성 VFTS 102. 일반적으로 O형 주계열성은 빠르게 회전하여 적도가 부풀어 있다.

모건-키넌 체제하에서 O형 주계열성의 분류기준 중 20세기 초 지정되고 변하지 않은 등급은 O7 V(외뿔소자리 15)와 O9 V(도마뱀자리 10) 둘이다.[6] 모건-키넌-켈러맨(MKK)은 1943년 여키스 도감을 출판했는데 O5부터 O9형까지 분류를 확장했고, O9형을 다시 둘로 나누었다.[7] 둘로 나눈 O9 V 표준별은 오리온자리 이오타와 도마뱀자리 10이었다. 1953년 존슨과 모건이 펴낸 여키스 표준 개정판(MK)에는[8] O5부터 O8까지는 그대로이고 O9에는 표준별 5개(HD 46202, HD 52266, HD 57682, 세페우스자리 14, 도마뱀자리 10), O9.5 V에 표준별 3개(HD 34078, 오리온자리 시그마, 뱀주인자리 제타)를 달았다. 모건-키넌은 1973년 논문에서 O4부터 O7까지 분광기준을 개정하여 발표했다.[9] 이 논문에서는 O9형에는 도마뱀자리 10, O9.5에는 오리온자리 시그마를 표준별로 지정했다.

O5보다 뜨거운 별은 1970년대에 접어들어 지정되었다. 1978년 모건-앱트-탭스코트는 O형 주계열성의 표준별 여럿을 새로 지정했는데[10] 구체적으로 HD 46223 (O4 V), HD 46150 (O5 V), HD 199579 (O6 V), HD 47839 (O7 V), HD 46149 (O8 V), HD 46202 (O9 V) 등이 있다. 1990년 월본-피츠파트릭은 최초로 OB형 항성을 디지털 도감으로 만들었는데 여기에 O3 V 분광형 표준별로 HDE 303308을 수록했다.[11] 2002년 월본은 O2형을 최초로 정의했으며[12] 기준별로 BI 253을 지정했다.(정확한 분광형 표기는 "O2 V((f*))"임.) 월본은 HDE 30308을 O4 V로 재지정했으며 O3 V 기준별로 HD 64568LH 10-3058을 지정했다.

O3 V형 주계열의 표면온도는 약 5만 켈빈에 이른다.

Remove ads

거리기준 목록

1,500광년 이내

다음은 지구에서 1,500광년 이내에 있는 O형 주계열성들의 목록으로, 6개에 불과하다.

자세한 정보 이름, 바이어 기호 ...

1,500 ~ 5,000광년 이내

다음 목록은 지구에서 1,500 ~ 5,000 광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O형 주계열성들이다.

자세한 정보 이름, 바이어 기호 ...

5,000 ~ 10,000광년 이내

다음 목록은 지구에서 5,000 ~ 10,000 광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한 O형 주계열성이다.

자세한 정보 이름, 바이어 기호 ...

10,000광년 이상

다음 목록은 지구에서 10,000광년 이상의 거리에 위치한 O형 주계열성이다.

자세한 정보 이름, 바이어 기호 ...
Thumb
O5 분광형 주계열성의 스펙트럼.
Remove ads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