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 제어 프로토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문화어: 전송조종규약)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P)의 핵심 프로토콜 중 하나로, IP와 함께 TCP/IP라는 명칭으로도 널리 불린다. TCP는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트라넷,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간에 일련의 옥텟을 안정적으로, 순서대로, 에러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한다. TCP는 전송 계층에 위치한다. 네트워크의 정보 전달을 통제하는 프로토콜이자 인터넷을 이루는 핵심 프로토콜의 하나로서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의 RFC 793에 기술되어 있다.

TCP는 웹 브라우저들이 월드 와이드 웹에서 서버에 연결할 때 사용되며, 이메일 전송이나 파일 전송에도 사용된다.
TCP의 안정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TCP 대신 비접속형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을 사용한다. 이것은 전달 확인 및 순차 보장 기능이 없는 대신 오버헤드가 작고 지연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
기원
1974년 5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는 “A Protocol for Packet Network Intercommunication.”[1]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자인 빈트 서프(Vint Cerf)와 밥 칸(Bob Kahn)은 논문에서 노드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패킷 스위칭 방식의 망간 프로토콜(internetworking protocol)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의 핵심 제어 요소는 연결 지향 링크(connection-oriented links)와 호스트 간의 데이터그램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전송 제어 프로그램(Transmission Control Program) 이었다. 당시 단일한 구성 요소였던 통신 제어 프로그램은 이후 연결 지향 계층의 통신 제어 프로토콜(TCP)과 망간(데이터그램) 계층의 인터넷 프로토콜(IP)로 나뉘어 모듈식 구조로 변경되었다. 이 모델은 흔히 편의상 두 가지를 합쳐 TCP/IP라고 부르며, 공식적인 명칭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이다.
TCP 세그먼트 구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