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
Remove ads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二, 四, 五, 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불교중앙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경이다. 1963년 9월 2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69-2호로 지정되었다.

간략 정보 종목, 수량 ...
Remove ads

개요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二, 四, 五, 六)은 구마라집이 한역한 묘법연화경을 저본으로 1422년(세종4)에 비구 덕명이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위해 발원하여 감지에 은니로 쓴 7첩 중 4첩에 해당된다.

후면에 ‘광덕사’라는 사찰명이 주서되어 있고 이 사경과 크기·체제·경문의 글씨가 동일한 사경으로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과 보물 제390호 《광덕사 고려사경》 중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2, 4, 5, 6》(보물 제269-2호)이 있다. 기존에 지정되어 있는 것에 《동아대학교 소장본인 권3》(보물 제269-3호)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인 권7》(보물 제269-4호)을 합하면 완벽한 “1질”을 이루게 되며, 이는 전래된 사경 가운데 전질이 밝혀진 것이 드문 예로써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자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