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명주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명주군(溟州郡)은 강원도 강릉군의 강릉읍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 1955년 9월 1일에 강릉시로 승격하면서 설치되었던 행정구역이다. 설치 당시의 군역은 강릉시의 읍면 지역 이외에도 동해시 북부 지역(묵호동)과 양양군 현남면[1]과 정선군 여량면 동부지역을 포함했다.

옛 명주군청은 현재의 강릉시 교동에 있었으며, 옛 군청 청사는 통합 이후 한국은행 강릉지점으로 썼다가, 현재는 강릉시립 모루도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연혁
- 1945년 9월 16일 : 양양군의 38선 이남 지역이 강릉군으로 편입
- 1954년 11월 17일 : 현북면과 서면을 양양군으로 환원.
- 1955년 9월 1일 강릉읍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 강릉시를 설치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2] (2읍 8면)
- 1963년 1월 1일 현남면을 양양군에 환원[3]
- 1973년 7월 1일 왕산면 남곡리, 구절리를 정선군 북면으로 편입[4]
- 1980년 4월 1일 묵호읍을 삼척군 북평읍과 통합, 동해시로 분리하였다.[5] (4읍 5면)
- 1983년 2월 15일 구정면 언별리를 강동면, 산북리를 성산면에 편입하였다.[6]
- 1989년 1월 1일 강동면 운산리를 강릉시에 편입하였다.
- 1995년 1월 1일 강릉시에 재통합되었다.[7]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