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릉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릉시의 시내버스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다. 운수업체로는 동진버스, 동해상사고속이 있으며, 노선 번호는 각 권역별로 세자리로 나뉘어 있다.

간략 정보 관리 주체, 차적지 ...

운임 체계

기본요금 체계

2018년 10월 26일에 인상된 요금이다.

자세한 정보 종류, 나이 ...

구간 요금

시내 구간에서는 기본 요금만 수수하나 시계를 벗어나면 구간요금이 적용된다. 구간 요금은 107.84원/km 요율로 징수한다. 구간요금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구간, 나이 ...

단, 정선군, 평창군, 동해시, 양양군 마을버스 구간은 구간요금이 적용되지 않는다.

대체 지급수단

대체 지급수단으로는 교통카드가 있으며, 2008년 12월 22일부터의 시범 시행 이후 2009년 1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되고 있다.[1][2] 공식적으로는 캐시비로 발급되고 있으나, 티머니, 마이비카드 역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교통카드 결제 시스템의 정식 시행 이후 보름만인 2009년 1월 중순 경에는 교통카드 이용률이 전체 이용객 중 40%대를[3], 10월 말에 이르러 65%를 기록할 정도로 이용률이 급속히 늘어났으며, 2009년의 시내버스 이용객 또한 2008년에 비해 1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4]

환승 할인

2009년 1월 1일 교통카드 도입과 함께 시행된 제도로, 하차 기준으로 40분이내 강릉시 소속 다른 노선의 버스를 이용할 경우 1회 무료로 환승이 가능하며, 2015년 1월 1일부터는 동해시 시내버스와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교통카드를 사용해야 하며, 하차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어야 한다. 환승 시 교통카드 잔액이 기본 요금보다 많아야 하며 부족할 경우 환승이 되지 않으니 이에 유의하여야 한다.

Remove ads

버스 이용

버스 내 안내방송

강릉시의 시내버스는 EB안내방송을 이용하고 있으며, 버스를 운영하는 두 사 모두 동일한 안내방송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안내방송에 영어 안내방송이 삽입되어 있으며, 일부 정류소 안내방송에는 부연 설명이 포함되어있다.

예) 이번 정류소는 '신영극장'입니다. 다음 정류소는 '강릉여고'입니다. This stop is 'ShinYoung theater'. 중앙시장, 성남시장을 방문하실 분들은 이번 승강장에서 하차하여주시기 바랍니다.

버스 전광판

강릉시의 모든 시내버스 노선에는 버스 전면에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다. 전광판에는 버스 번호, 경유지, 솔향강릉 로고등이 표기된다.

버스 도착안내

강릉시 버스 정류소 일부에는 도착안내 LCD 전광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버스 번호와 운영 회사, 도착 예정시간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또한 음성으로도 안내해준다. 강릉시 버스도착안내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앱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와이파이

모든 버스에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2022년 2월 25일부터 KT 망을 이용한 5G 백홀의 WiFi 6 AP 로 교체되고 있다.

강릉시에서 구축된 버스 WiFi의 SSID 는 Gangneung WiFi 5G / Gangneung WiFi으로 운영되며, 접속 시 자동으로 WiFi 사용안내 페이지가 열리며 인터넷에 연결된다.

Remove ads

차량

대부분 디젤버스로 운행하며, 천연가스버스는 없고 소수의 전기버스가 다닌다. 전기버스는 전량 중국산이다.

천연가스버스 도입 거부 논란

강릉시청에서는 2013년부터 강릉시에 도시가스 공급이 시작된 이래 2018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여러 해 동안 권고해 왔으나, 업체들이 경제성을 이유로 강력하게 거부하여 도입에 실패했다. 업체들은 강릉시의 도시가스 요금이 비싸고 천연가스 충전소를 갖춘 공영 차고지의 조성을 요구했는데 부지 조성 비용이 너무 높은 데다가, CNG의 유가보조금 미지급 문제 및 천연가스버스의 유지보수 비용도 디젤버스에 비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를 들어서 천연가스버스 도입을 사실상 거절했다.[5] 결국 2017년 11월 중국의 상용차 회사인 포톤에서 만든 전기버스그린어스 4대를 우선 도입하여 천연가스버스 대신 운행하고 있으며,[6] 이후 킹롱 시티라이트도 도입했다.

운행 노선

  • 2019년 12월 23일 기준이다.
  • 경유지에서 '→'는 편도로만 운행하는 구간이다.
  • 굵은 글씨는 회차지이다.
  • 보라색으로 표시된 버스는 좌석버스이다.

100번대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200번대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300번대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500번대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900번대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통학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Remove ads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