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강화군의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강화군의 행정구역은 1읍 12면 185개 리로 되어 있다. 강화군의 면적은 인천광역시 전체 면적의 약 40%에 해당하는 411.3km2이다. 법정리는 96개이며, 강화읍으로 인구가 집중되어 행정리와 반을 추가하였다. 인구는 2012년 7월 2일을 기준으로 66,860명이다.[1]
행정 구역
법정리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1995년 3월 1일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통합된 강화도는 선사시대로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반도의 역사를 가장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으로 하점면 장정리와 화도면 사기리·동막리 등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신석기시대 유물도 섬 내의 여러 곳에서 발견되었다. 또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유적인 지석묘(고인돌)가 하점면 부근리를 비롯한 도처에서 다수(약 80기 이상으로 추정) 발견되고 있어, 이 지역에서 일찍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특히, 단군이 하늘에 제사를 올렸다는 마니산 참성단과 그의 세 아들로 하여금 쌓게 하였다는 정족산 삼랑성(일명 정족산성)에 관한 전설, 그리고 하음봉씨 시조의 천강 설화와 관련한 봉천대 및 봉가지·봉은사·석조여래입상(일명 하음노구석상) 등의 유적은 강화도가 성지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2]
- 상고시대 : 갑비고차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강화부
강화군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1934년 수정면과 화개면을 교동면으로 통합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 1995년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편입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