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개복치과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개복치과
Remove ads

개복치과등지느러미뒷지느러미에서 겨우 몸이 끝나서, "반만 물고기 같은" 외관을 지닌 기괴한 형태의 물고기로 개복치를 포함하는 과이다. 또한 경골어류 중 가장 큰 물고기로, 발견된 개복치(Mola mola) 중에서 기록상 길이가 3.3 m에 달하기도 한다.

간략 정보 개복치과, 생물 분류ℹ️ ...

개복치의 척추는 단지 16개로, 개복치과는 물고기 중에서 척추 수가 가장 적고 꽤 꺼칠한 피부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이들은 완전히 꼬리뼈가 모두 없으며 골격의 대부분은 연골로 이루어져 있다. 피부에는 어떤 뼈 조각도 없다. 그러나 그것은 연골처럼 촘촘하고 빽빽하다. 또한 부레가 없다. 고기는 참복기시복처럼 독을 함유하지만, 그 양이 같은 것은 아니다. 개복치과는 주로 뒷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를 사용하여 헤엄을 치고, 가슴지느러미는 아마도 수평을 잡는 데 사용한다. 방향 조정을 위해서 이들은 입과 아가미를 통해 강력한 물 제트를 뿜어 낸다. 이들은 길고 턱같은 인두치를 갈아서 소리를 낼 수 있다고 한다. 전형적인 복어목 종의 하나로, 개복치과의 이빨은 부리같은 구조로 입을 닫는 게 불가능하다.

Remove ads

하위 분류

개복치과는 작은 과로 겨우 4개 속, 7개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통 분류

다음은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2]

복어목

Cretatricanthidae

Protricanthidae

Plectocretacidae

Moclaybalistidae

분홍쥐치아목

분홍쥐치과

은비늘치과

Bolcabalistidae

Eospinidae

쥐치복아목

쥐치복과

쥐치과

Protobalistidae

Spinacanthidae

거북복아목

육각복과

거북복과

불뚝복아목

Eoplectidae

불뚝복과

개복치아목

개복치과

참복아목

가시복과

참복과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