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게이요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게이요선(일본어: 京葉線, けいようせん)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에서 운행하는 철도 노선의 하나이다. 도쿄도 지요다구에 있는 도쿄역과 지바현 지바시 주오구에 있는 소가역을 잇는다.
동일본 여객철도의 전신인 일본국유철도 말기에 일부 구간이 먼저 문을 열었고, 민영화 이후 두 번에 걸친 연장 끝에 1990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수도권을 운행하고 있는 JR 노선들 중 가장 늦게 개통한 철도 노선이다. 노선 명칭은 도쿄(東京)와 지바(千葉)를 잇는다 하여 붙인 것으로, 노선색은 핑크색(■)이다.
도쿄와 지바 사이에서 소부 본선의 우회로 역할을 하는 것 외에도 도쿄 도심과 도쿄 디즈니 리조트가 있는 우라야스, 마쿠하리 멧세, 지바 마린 스타디움 등이 있는 마쿠하리 신도시 등을 연결하며, 연선의 우라야스, 후나바시, 지바 남부 주민들의 통근 노선 역할을 맡고 있다. 또 도쿄역에서 이치카와시오하마역, 미나미후나바시역에서 가이힌마쿠하리역까지는 무사시노선 열차들이 같이 다니며, 게이요선의 대부분의 열차들은 소가역에서 우치보선이나 소토보선, 도가네선 방면으로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Remove ads
노선 정보
운행
요약
관점
게이요선 안에서는 주로 도쿄역, 신나라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소가역이 시종착역이며, 무사시노선의 후추혼마치역, 우치보선의 기미쓰역·가즈사미나토역, 소토보선·도가네선까지 직결 운행하는 열차들도 있다. 소토보선·도가네선 직통 열차는 중련 형태로 주편성이 가즈사이치노미야역이나 가쓰우라역까지, 부속편성이 도가네선 나루토역까지 운행한다. 2013년 3월 16일에 있을 시각표 개정에 따라 쾌속 열차의 정차역이 늘어나며, 무사시노선 쾌속 열차들은 게이요선에서 각역정차를 하게 된다.[1]
특급 열차
게이요선을 경유해 소토보선으로 들어가는 《와카시오》호와, 우치보선으로 들어가는 《사자나미》로 나뉜다. 원래 이 특급열차들은 소부 쾌속선 도쿄역을 이용했으나, 《나리타 익스프레스》의 운행 시작으로 선로 용량이 부족해지면서 게이요선 승강장을 이용하게 되었다. 게이요선 안에서는 가이힌마쿠하리역에 일부 열차가 정차하고 있다.
통근쾌속
평일 아침에 상행 4편, 평일 저녁에 하행 2편씩 운행되고 있다. 게이요선 안에서는 시종착역인 도쿄역과 소가역 이외에, 핫초보리역과 신키바역에만 정차한다. 모든 열차가 우치보선, 소토보선, 도가네선과 직결 운행한다. 소토보선·도가네선 직결 열차는 소토보선 혼다역까지는 중련으로 운행한 뒤, 혼다역에서 도가네선으로 가는 부속편성을 분리시킨다. 아침 시간대에는 반대로 혼다역에서 부속편성을 연결해 도쿄역까지 운행한다.
쾌속
게이요선 및 우치보선·소토보선 등을 달리는 게이요 쾌속이 있다. 게이요 쾌속은 평일에는 매 시간 30분 간격으로, 주말과 휴일에는 매 시간 15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낮 시간대 상행 열차는 가이힌마쿠하리역에서 가이힌마쿠하리 발 도쿄 행 각역정차 열차와 접속한다. 하행 쾌속은 신우라야스역에서 각역정차 열차와 접속한다. 시간당 1편씩 소토보선 가즈사이치노미야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소토보선 안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한편, 예전에 있었던 무사시노 쾌속은 도쿄역에서 시종착하며, 하루에 시간당 3편씩 운행되고 하였으나 2013년 3월 16일부터 무사시노선 직결 열차들이 모두 게이요선에서 보통으로만 운행하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각역 정차
시간당 4편씩 운행되고 있으며, 가이힌마쿠하리 행과 소가 행이 시간당 2편씩 나뉘어 운행되고 있다. 주말과 휴일의 낮 시간대에는 모든 열차가 가이힌마쿠하리 시종착으로만 운행된다. 가사이린카이코엔역, 신우라야스역, 신나라시노역, 가이힌마쿠하리역, 지바미나토역에서 상위 열차의 통과를 위해 대기하는 경우가 많다. 밤에는 일부 열차가 우치보선, 소토보선으로 직결 운행한다.
Remove ads
차량 운용
요약
관점
통근 차량의 경우 무사시노선 용을 포함해 지바 지사의 게이요 차량 센터, 특급 차량의 경우 마쿠하리 차량 센터 소속.
- 특급
- E257계 500번대 (5, 10량 편성, 특실 없음)
- 255계 (9량 편성, 특실 있음)
- 간혹, E257계나 255계 대신에 183계가 운용되는 일도 있다.
- 쾌속, 각역정차
- E233계 (10량 고정편성 또는 6+4량 편성)
- 과거의 차량
- 103계 (8, 10량 편성)
- 쾌속 '셔틀 마이하마' 용 165계 개조차 (3량 편성)
- E331계
- 209계 500번대 (10량 편성)
- 2008년 10월부터 게이힌 도호쿠선, 네기시선 계통에서 운행되던 209계 500번대 편성이 E233계 1000번대의 도입으로 게이요선으로 전출. 이를 위하여 도쿄 종합 차량 센터에서 개조를 행하여, 게이요 차량 센터 소속의 32, 33편성 (기존의 우라와 전차구 소속 83, 84 편성)으로 배치가 이루어졌다. 현재, 본 계열은 시운전 중이며, 조만간 여객영업에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 현재 E233계로 치환이 되어 무사시노선으로 이적되었다.
- 205계 (8, 10량 편성)
- 201계 (10량 고정 편성 또는 6+4량 편성)
- 주오·소부 완행선으로부터 전입된 차량이 재적하고 있다. 2007년에는 주오 쾌속선의 2편성 (T32, T130 편성)이 전입해왔지만, 205계 1편성이 복귀함에 따라 201계 1편성이 폐차될 예정이다. 시제차의 900번대도 사용했지만, 야마노테선으로부터 들어온 205계에 대치되어 2005년에 폐차되었다.
- 차량 분할이 있는 소토보선, 도가네선 직통 운용시에는 분할 병결에 대응하는 (51 - 54) + (K1 - K4) 편성이 운용된다(도쿄 방향 6량 + 소가 방향 4량). 10량 고정편성은 선내에서 운용하는 것이 기본이지만, 운용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205계 10량 편성이 대신 운용되며, 우치보선, 소토보선에 직통하는 경우도 있다.
- 일부 편성에는 디지털 무선 수신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Remove ads
역사
원래는 화물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여객 노선으로도 운행하게 되었다.
역 목록
요약
관점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