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게이힌 도호쿠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게이힌 도호쿠선
Remove ads

게이힌 도호쿠 선(일본어: 京浜東北線)은 일본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오미야구에 있는 오미야 역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니시구에 있는 요코하마역도쿄역을 경유하여 잇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운행 계통이다. 운행 형태 상 네기시 선 요코하마 - 오후나 간과 일체화되어 있어 게이힌 도호쿠 · 네기시 선(일본어: 京浜東北・根岸線)으로 부르기도 한다. 계통에 안내되는 색상은 하늘색()이다.

간략 정보 게이힌 도호쿠 선, 기본 정보 ...
Remove ads
간략 정보 노선도 ...

케이힌토호쿠선라고도 한다.

Remove ads

개요

게이힌 도호쿠 선이라는 명칭은 도카이도 본선() - 요코하마(), 즉 게이힌(京浜) 선과 도호쿠(東北) 본선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도쿄 도심을 남북으로 가르며 북쪽은 사이타마시와, 남쪽은 가와사키시요코하마시와 연결된 일본 수도권의 대표적인 통근 운행 계통이다. 실제로 주행하는 노선은 오미야 - 도쿄 간의 도호쿠 본선, 도쿄 - 요코하마 간의 도카이도 본선이며, 전 구간 게이힌 도호쿠 선용의 복선 선로를 이용한다.

일반적인 상행과 하행의 구분법은 이 노선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오후나 방면의 열차를 ‘남행’ 또는 ‘오후나 방면', 오미야 방면의 열차를 ‘북행’또는 ‘오미야 방면’으로 표기한다. 좌석 예약 시스템인 마르스 전산상에서는 게이힌 도호쿠 선의 경로를 다바타 - 가미나카자토 - 아카바네로 지정하고 있다.

노선 정보

네기시 선의 정보는 포함하지 않았다.

Remove ads

운행 형태

구간 및 밀도

일본 수도권의 JR 노선 중에서 운전 편수 및 보유 차량 편성 수가 제일 많은 노선이다.

기본적인 운행은 오미야 - 요코하마 - 네기시 선 오후나 간의 반복 운행이나, 차량 기지나 운전 간격 등의 문제로 중간역 시종착 열차도 다수 존재한다. 차량 기지나 회차 시설이 대개 주요역 앞에 설비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역 바로 전 역까지만 운행하는 경우가 많은게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NH 시간대에는 미나미우라와 - 가마타 간은 5분 간격이고, 그 외의 구간은 1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것이 보통이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미나미우라와 - 가마타 구간의 경우 약 2.5분 간격으로, 그 외의 구간은 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히가시카나가와역요코하마역 사이 구간은 요코하마 선의 열차도 직통하나, 운행 계통 및 사용 차량은 분리되어 있다.

쾌속

일본국유철도 분할 민영화 이후 1988년 3월 13일 시각표 개정부터 야마노테 선과의 병행 구간인 다바타 - 다마치 구간에 일부 역을 통과하는 쾌속 열차를 신설하고, 모든 낮 시간대(대략 10시 30분 - 15시 30분 사이)의 열차를 쾌속 열차로 변경하였다. 당시의 정차역은 다바타, 우에노, 아키하바라, 도쿄, 다마치로, 다바타 - 시나가와 구간에서 약 7분 정도 시간을 단축하였다. 다만 쾌속 운행과 완행 운행이 겹치는 시간대에는 추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 간격이 불규칙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2002년 3월동일본 여객철도도쿄 모노레일을 매수하면서 같은 해 7월 14일부터 도쿄 모노레일 하네다 선의 환승역인 하마마쓰초역에도 쾌속이 정차하게 되었다. 2015년 3월 14일부터 간다 역에도 정차하고 오카치마치역에는 주말, 공휴일에만 정차하게 되었다.

다만 연말 연시의 경우에는 통과역 부근의 상점 등에서 쾌속 운전에 대해서 반대하는 의견이 많고, 승객 증가에 대비하여 원활한 운행을 하기 위해 쾌속 운전을 하지 않는다. 아메요코초 상점가가 새해를 준비하려는 사람들로 미어터져서 야마노테선 하나만으로는 답이 안나오기 때문이다. 또, 쾌속 운전 시간대라 하더라도 병행 노선인 야마노테 선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쾌속 운전을 하지 않는다.

쾌속 운전을 하는 경우, 시발역에서부터 쾌속 운전이 끝나는 지점까지는 쾌속이라고 안내되지만, 그 지점부터 종착역까지는 각역정차 열차로 안내된다.

Remove ads

차량

사용하는 차량에는 대부분 하늘색 도장이 되어있거나 하늘색 띠를 사용하여 게이힌 도호쿠 선의 차량임을 표시한다.

현용 차량

주오 쾌속선에 투입되었던 E233계 0번대를 게이힌 도호쿠 선에 맞춘 것으로, 209계 전동차를 치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870억 엔을 투입하여 830량 생산되어 기존의 209계 전 차량을 2010년 1월까지 모두 대차하였다. 209계와는 다르게 편성에 6비차가 없다. 2007년 12월 22일 우라 102편성의 23A 운용을 시작으로 영업 운전을 개시하였으며[1], 2010년 1월 25일부터는 모든 차량이 E233계 1000번대로 통일되었다.

Thumb
E233계 1000번대

과거에 운행되었던 차량

  • 데하 6340계
  • 데하 33500계
  • 데하 63100계
  • 30계
  • 31계
  • 40계
  • 50계
  • 63계, 72계
  • 101계
  • 103계
  • 205계
  • 209계
    • 0번대만 모든 편성의 6호차에 6비차를 편입하였고, 나머지 번대에서는 6비차가 편입되어 있지 않다.
    • 양산시제차였던 900, 910, 920번대 차량은 2007년 3월주오·소부 완행선의 500번대 일부 편성을 전입함에 따라 운용에서 이탈되었고, 2008년에 전량 폐차되었다.
    • 0번대는 일부가 조사 목적의 차량으로 개조되거나 2000, 2100, 2200번대로 개조 및 재활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량 폐차되었다.
    • 500번대 4편성은 게이요 차량 센터로, 1편성은 미타카 차량 센터로 전출되었다.
    • 2010년 1월 24일 우라와 전차구 소속 우라 52편성의 1620A (21A 운용)열차를 마지막으로 0번대 전 차량이 운용에서 이탈되고, 다음 날부터 E233계 1000번대로 통일되었다.

역사

Remove ads

역 목록

  • 각 역 정차는 전 구간 전 역에 정차한다.
  • 쾌속 … ●:정차,|:통과
  • 쾌속 열차는 다바타 ~ 하마마쓰초 구간 이외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자세한 정보 노 선, 역 번호 ...
Remove ads

역명판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