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주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주시의 행정 구역은 4 8 11행정동으로 구성되며, 그 아래 186법정리·, 301행정리, 332통, 3,200반으로 나뉜다. 경주시의 면적은 1,324.41km2로, 경상북도에서 안동시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기초자치단체이다.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이름, 한자 ...

※세대 및 인구는 2015년 2월 기준.

Remove ads

시내동지구의 법정동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Remove ads

읍·면지역의 법정리

자세한 정보 읍·면, 법정리 ...

연혁

근대 이전

  • 신라 시대 서라벌 또는 계림이라 불리는 신라의 수도였다.
  • 935년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에 편입되면서, 경주(慶州)로 개칭되었다.경주에 동남도 도부서사(東南道 都部署使)를 두었다.
  • 987년 동경유수관(東京留守官)으로 개칭하였다.
  • 993년 동경유수사(留守使)로 칭하고 영동도(嶺東道)를 귀속시켰다. 영동도는 9주 35현으로 편제되었다.
  • 1012년 경주로 격하되었다.
  • 1018년 경주대도호부(慶州大都護府)로 개칭되었다.
  • 1027년 경주목(慶州牧)으로 개편되었다.
  • 1030년 다시 동경유수관이 되었다.
  • 1204년에 일어난 농민반란으로 인해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격하되고, 관내 일부 고을이 상주, 안동에 편입되었다. 1219년에 다시 동경유수관으로 환원되었다.
  • 1308년 계림부(鷄林府)로 개편되었다.
  • 조선 초기 경주부(慶州府)로 개칭하고, 경상도의 감영을 경주에 두었다. 경주부는 4개 속현과 3개 부곡을 관할하였다.
  • 1408년 경상도 감영이 상주로 이전하였다.
  • 1637년 속현이던 자인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여 경주부에서 독립하였다.
  • 1653년 구사부곡이 자인현에 편입되었다.
  • 조선 말기까지 남은 속현과 부곡이 모두 면으로 전환되었다.
    • 안강현 → 강동면, 강서면
    • 기계현 → 기계면
    • 신광현 → 신광면
    • 죽장부곡 → 죽장면
    • 북안곡부곡 → 북안면

근대 이후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동래부 경주군(慶州郡)으로 개편하였다.
15면 - 부내면(府內面), 내동면(內東面), 외동면(外東面), 동해면(東海面), 내남면(內南面), 외남면(外南面), 서면(西面), 산내면(山內面), 천북면(川北面), 현곡면(見谷面), 강동면(江東面), 강서면(江西面), 신광면(神光面), 기계면(杞溪面), 죽장면(竹長面)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경주군으로 개편하였다.
  • 1906년 외남면이 울산군에, 동해면이 장기군에, 신광면과 기계면이 흥해군에, 죽장면이 청하군에 편입되었다.
  • 1914년 4월 1일 장기군 내남면, 양남면(동해면이 장기군 관할 하에서 분면하였다)이 경주군에 환원되었다. 내남면을 양북면으로 개칭하였다.[1]
1914년의 행정구역[2]과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자세한 정보 1914년, 현재 ...
12면 - 부내면, 내동면, 외동면, 내남면, 산내면, 서면[3], 현곡면, 강서면, 강동면, 천북면, 양남면, 양북면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법률 제370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63년 10월 1일 구 내동면 지역에 불국사출장소와 덕동출장소가 설치되었다.
  • 1973년 7월 1일 경주시 39개 법정동을 22개 행정동으로 개편하였다. 월성군 서면 일부를 건천읍으로 분면하였다. 천북면 청령리와 사방리를 안강읍에 편입하였다.[8]
시조례 제469호
시조례 제469호
구 행정구역(법정동,출장소)신 행정구역(행정동(법정동,출장소))
경주시 동부동, 서부동, 북부동성내동(동부동, 서부동, 북부동)
경주시 노동동, 노서동중앙동(노서동, 노동동)
경주시 성동동, 황오동, 성건동, 사정동, 황남동, 교동, 인왕동, 탑동성동동, 황오동, 성건동, 탑정동(사정동, 교동, 인왕동, 탑동)
경주시 서악동, 효현동, 광명동, 충효동서현동(서악동, 효현동), 광명동, 충효동
경주시 동방동, 도지동, 남산동남산동(도지동, 동방동, 도지동)
경주시 배반동, 구황동, 보문동보황동(배반동, 구황동, 보문동)
경주시 황성동, 용강동, 동천동용황동(황성동, 용강동), 동천동
경주시 불국사출장소(평동,조양동,시동,시래동,구정동,마동,하동,진현동,천군1동)불국동(불국사출장소에 관할 정래동,구정동,시래동,시동,조양동)
경주시 덕동출장소(천군2동,신평동,덕동,암곡동,황용동)정래동(덕동출장소에 관할 하동, 마동, 진현동)
대통령령 제6543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75년 10월 1일 월성군 내남면 율동리, 배리를 경주시 탑정동에, 천북면 북군리, 손곡리를 경주시 천군동에, 양북면 범곡리 및 외동면 신계리의 각 일부를 경주시 불국동에 편입하였다.[9]
대통령령 제7817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 1980년 12월 1일 월성군 외동면을 외동읍으로 승격하였다.[10] (4읍 8면)
  • 1984년 9월 1일 경주시 불국사출장소와 덕동출장소를 폐지하였다.[11]
  • 1986년 5월 1일 경주시 충효동, 서현동, 광명동을 선도동으로, 천군동, 덕황동, 암곡동을 보덕동으로 통합하였다. 배남동과 삼성동이 폐지되고 배남동 관할의 남산동과 삼성동 관할의 평동이 도동동에, 배남동 관할의 배반동이 보황동에, 삼성동 관할의 시동, 조양동이 정래동에 편입되었다.
  • 1987년 1월 1일 월성군 양북면 봉길리 일부가 양남면 나아리에, 현곡면 금장리 일부가 경주시 성건동에 편입되었다. 경주시에 편입된 금장리 지역은 법정동인 석장동이 되었다.
  • 1989년 1월 1일 월성군을 경주군으로 명칭을 환원하였다.[12]
  • 1995년 1월 1일 경주시 일원과 경주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경주시가 설치되었다.[13] (4읍 8면 16동)
  • 1995년 3월 1일 용황동을 용강동, 황성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5년 5월 27일 안강읍 갑산2리 일부를 강동면 모서리에, 동천동 일부를 황성동에 편입하였다.
  • 1998년 11월 14일 성내동, 중앙동을 중부동으로, 인교동, 보황동, 도동동을 월성동으로 통합하고, 정래동을 불국동에 편입하였다.[14] (4읍 8면 13행정동)
  • 2009년 1월 5일 성동동을 황오동에, 탑정동을 황남동에 편입하였다. (4읍 8면 11행정동)
  • 2021년 4월 1일 양북면을 문무대왕면으로 개칭하였다.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