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37년
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연호
기년
사건
- 1월 - 일본에서 조선노동동흥회 해체
- 1월 3일 -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국민회 대표회의 개최
- 1월 17일 - 중국 상하이에서 무정부청년동맹 및 흑색공포당 수령 김성수 체포
- 1월 29일 - 부산 조선방직공장 직공 3000여명, 임금인상 요구하며 파업
- 1월 31일 - 대구비행장 설치
- 2월 - 조선혁명당이 중국 국민당 삼중대회에서 한국혁명 원조 등을 요청
- 2월 16일 - 백백교 사건에 관련된 교단 간부들 검거
- 2월 20일 - 최승희, 서울 부민관에서 유럽순회공연 출국기념 고별무용회 개최.
- 3월 9일 - 경성-봉천 간 직통전화 개통
- 3월 15일 - 강원도 춘천에서 남궁태, 용환각 등이 항일비밀결사 독서회 조직
- 3월 18일 - 조선총독부가 각 관서에 집무 중에는 일본어를 사용하도록 지시
- 3월 31일 - 김말봉 장편 <찔레꽃>이 <조선일보>에 연재
- 4월 - 조선물산장려회 강제해산
- 4월 1일 - 함흥사범학교 개교
- 4월 10일 - 에어 캐나다 설립.
- 4월 15일 - 조선 천주교가 전주교구와 광주교구 설치
- 5월 1일 - 경부선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경원선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개명
- 5월 6일 - 독일 비행선 LZ 129 힌덴부르크 공항 계류 도중 폭발. (힌덴부르크 참사)
- 5월 11일 - 일본 척무성, 만주국에 한인노동자 10만 명 이주 결정
- 5월 28일 - 체임벌린이 영국의 총리로 취임.
- 6월 5일 - 청진방송국 개국
- 6월 6일 -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수양동우회 회원 150여명 투옥
- 6월 8일 - 백백교 사건 피해자 시신 380명 발굴
- 6월 22일 - 제2차 백백교 사건
- 7월 7일 - 노구교 사건 발생. 중일전쟁 발발.(~ 1945년)
- 7월 하순 - 조선어학회, <표준말 모음> 발간
- 7월 15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중국 전장에서 국무회의 개최, 군무부에 군사위 설치 결정
- 8월 1일 - 우익 진영이 한국광복전선 결성, 좌익 진영은 조선민족전선 결성
- 8월 20일 - 일제강점기: 친일여성단체 애국금차회 결성, 금비녀 헌납 운동 시작.
- 8월 21일 - 중화민국과 소련, 불가침조약 체결.
- 8월 22일 - 일제강점기: 일본, 서울 전역에 등화관제 실시
- 9월 - 조선총독부가 군수공업동원법 실시 결정
- 9월 6일 - 광주의 숭일학교, 수피아학교, 목포의 정명학교, 영흥학교가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 조치됨
- 9월 14일 - 조선총독부, 군수동원법 실시 결정
- 9월 22일 -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에 제2차 국공합작이 성립되다. 장제스의 담화를 통해 중국 공산당의 합법화와 국공합작의 성립을 승인함.
- 9월 27일 - 순천의 매산학교와 매산여학교, 담양의 광덕학교가 신사참배 거부로 폐교 조치됨
- 10월 1일 - 조선총독부, 황국신민서사 제정 및 전국 시행 강요
- 10월 8일 - 황국신민체조 제정
- 11월
- 11월 5일 - 조선중앙일보 폐간
- 11월 9일 - 전문학교 대학생에 단발령 실시
- 11월 21일 - 톨킨의 소설 《호빗》 출판
- 11월 25일 - 조선 전국 1,400여개 시장 장날에 양력 사용 결정
- 11월 26일 - 동해북부선 간성-양양 구간 개통
- 12월 1일 - 재만주한국인의 치외법권 철폐
- 12월 3일 - 경성에 지하방공피난소, 방호수용소, 저수지 등 방공시설 착수
- 12월 23일 - 조선총독부가 일본 덴노의 사진을 각급 학교에 배부하여 경배하게 함
- 스탈린의 소수민족 강제이주정책 시행됨.
- 1937년 12월∼1938년 2월 - 난징대학살
탄생
1월
- 1월 1일
- 1월 5일 - 일본의 정치인 고노 요헤이.
- 1월 6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황승민. (~2003년)
- 1월 9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감독, 야구 평론가 모리 마사아키.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차경복. (~2006년)
- 1월 14일 - 덴마크의 배우 벤트 메이딩. (~2024년)
- 1월 15일
- 1월 18일 - 일본의 체조 선수 엔도 유키오. (~2009년)
- 1월 19일
- 일본의 기업인 사쿠라다 사토시. (~1997년)
- 스웨덴의 왕녀 스웨덴 공주 비르지타. (~2024년)
- 1월 24일
- 1월 30일
- 대한민국의 외교관 홍순영. (~2014년)
- 영국의 배우 버네사 레드그레이브.
- 러시아의 체스 선수 보리스 스파스키. (~2025년)
- 1월 31일 - 미국의 작곡가 필립 글래스.
2월
3월
- 3월 3일
- 3월 6일
- 미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 샘 새뮤디오.
- 구 소련의 우주 비행사·정치인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3월 8일 - 르완다의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 (~1994년)
- 3월 10일 - 대한민국의 배우 송재호. (~2020년)
- 3월 11일 - 브라질의 정치인 아로우지 지 올리베이라. (~2020년)
- 3월 19일 - 구 동독의 정치인 에곤 크렌츠.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호동. (~1986년)
- 3월 29일 - 일본의 영화 감독 짓소지 아키오. (~2006년)
- 3월 30일 -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워런 비티.
- 3월 31일
4월
5월
- 5월 1일 - 잉글랜드의 배우 우나 스텁스. (~2021년)
- 5월 5일
- 5월 7일 - 대한민국의 만화가 박기정. (~2022년)
- 5월 8일
- 5월 12일 - 미국의 희극인, 영화배우 조지 칼린. (~2008년)
- 5월 13일 - 미국의 소설가 로저 젤라즈니. (~1995년)
- 5월 14일 - 중화민국의 승려 정옌.
- 5월 15일 - 미국의 정치인 매들린 올브라이트. (~2022년)
- 5월 18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브룩스 로빈슨. (~2023년)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신상우. (~2012년)
- 5월 21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곽정출. (~2019년)
- 5월 22일 - 프랑스의 배우, 가수 기 마르샹. (~2023년)
- 5월 29일
6월
- 6월 1일 - 미국의 영화 배우 모건 프리먼.
- 6월 2일 - 일본의 기업인 이데이 노부유키. (~2022년)
- 6월 4일 - 대한민국의 개신교 목회자 김명혁. (~2024년)
- 6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문희갑.
- 6월 11일
- 6월 13일 - 독일의 극작자 폴커 루트비히.
- 6월 16일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정치인 조기상. (~2021년)
- 대한민국의 군인 겸 정치인 이양호. (~2020년)
- 불가리아의 마지막 국왕, 총리 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
- 6월 23일 - 핀란드의 정치가 마르티 아티사리. (~2023년)
- 6월 25일 - 제16대 쿠웨이트 에미르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2023년)
- 6월 26일
7월
8월
- 8월 1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현소환. (~2018년)
- 8월 2일
- 8월 4일
- 8월 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손문주. (~2007년)
- 8월 8일 - 미국의 영화 배우 더스틴 호프먼.
- 8월 10일 - 러시아의 정치인 아나톨리 솝차크. (~2000년)
- 8월 16일 - 대한민국의 배우 민지환.
- 8월 18일 -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겸 시나리오 작가 최하원.
- 8월 19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이상주. (~2023년)
- 8월 20일
- 대한민국의 생물학자 박상대. (~2024년)
- 러시아의 영화감독 안드레이 콘찰롭스키.
- 스코틀랜드의 싱어송라이터 로니 브라운.
- 8월 23일 -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이이화. (~2020년)
- 8월 26일 - 구 소련의 정치인 겐나디 야나예프. (~2010년)
- 8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천용택.
- 8월 29일 - 대한민국의 교육인 최성호.
- 8월 31일 - 태국의 작곡가 촌라티 탄텅. (~2023년)
9월
- 9월 3일 - 일본의 야구 선수 도이 쇼스케.
- 9월 4일 - 미국의 배우 니컬러스 워스. (~2007년)
- 9월 5일 - 미국의 배우 윌리엄 드베인.
- 9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재건. (~2022년)
- 9월 10일 -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 권정생. (~2007년)
- 9월 11일 - 소련과 러시아의 가수 이오시프 코브존. (~2018년)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윤석순. (~2021년)
- 아르헨티나의 정치인 페르난도 데 라 루아. (~2019년)
- 9월 16일 - 소련의 레슬링 선수 알렉산드르 메드베디. (~2024년)
- 9월 17일 - 미국의 야구 선수 올랜도 세페다. (~2024년)
- 9월 18일 - 대한민국의 법조인 고중석. (~2024년)
- 9월 1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유재건. (~2022년)
- 9월 21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자노 슈와르크. (~2025년)
- 9월 24일 - 대한민국의 성우 이강식. (~2015년)
- 9월 26일 - 소련의 정치인 발렌틴 파블로프.
- 9월 27일 - 스페인의 배우 호세 사크리스탄.
- 9월 28일 - 미국의 육상 선수 로버트 슐. (~2024년)
10월
- 10월 2일 - 이탈리아의 배우 로베르토 에를리츠카. (~2024년)
- 10월 3일 ~ 10월 4일 개천절 징검다리 연휴 (2일)
- 10월 4일 - 미국의 정치인, 휴스턴의 첫 흑인 시장 리 브라운.
- 10월 5일 - 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 장주원.
- 10월 6일 - 미국의 이탈리아계 생물학자 마리오 카페키.
- 10월 7일 - 홍콩의 소설가 시시. (~2022년)
- 10월 8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가 이계익. (~2016년)
- 10월 9일 ~ 10월 11일 한글날 징검다리 연휴 (3일)
- 10월 11일 - 영국의 축구 선수 보비 찰턴. (~2023년)
- 10월 15일
- 10월 17일 - 일본의 건축가 다니구치 요시오. (~2024년)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상순. (~2015년)
- 10월 22일 - 미국의 영화감독 앨런 래드 주니어. (~2022년)
- 10월 27일 - 미국의 배우 라라 파커. (~2023년)
- 10월 30일 - 프랑스의 영화 감독 클로드 를루슈.
11월
12월
미상
Remove ads
사망



- 2월 17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고이허. (1902년~)
- 3월 15일 - 미국의 소설가 H. P. 러브크래프트. (1890년~)
- 3월 29일 - 폴란드의 작곡가 카롤 시마노프스키. (1882년~)
- 3월 29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김유정. (1908년~)
- 4월 13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김동삼. (1878년~)
- 4월 17일 - 대한민국의 작가, 소설가 이상. (1910년~)
- 6월 10일 - 캐나다의 총리 로버트 보든. (1854년~)
- 6월 12일 - 구 소련의 군인 미하일 투하쳅스키. (1893년~)
- 7월 9일 - 미국의 사회운동가 올리버 로. (1899년~)
- 7월 11일 - 미국의 작곡가 조지 거슈윈. (1898년~)
- 7월 20일 - 이탈리아 과학자, 발명가 굴리엘모 마르코니. (1874년~)
- 8월 9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영화배우 나운규. (1902년~)
- 10월 14일 -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치인, 철학자, 언론인 토마시 가리크 마사리크. (1850년~)
- 12월 28일 - 프랑스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 (1875년~)
Remove ads
노벨상
- 문학상:
- 물리학상: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 조지 패짓 톰슨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달력
음양력 대조 일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