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화병
진균성 곤충 질병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경화병 또는 굳음병(硬化病, muscardine)은 곤충이 걸리는 질병이다. 많은 종의 곤충병원성 곰팡이들이 일으킨다. 여러 계열의 경화봉이 누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석회병(calcino)로도 불린다.[2]

19세기에 누에가 걸리는 경화병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아고스티노 바시Agostino Bassi는 이 발병 인자가 곰팡이임을 발견했다. 이는 미생물이 동물의 병원체임을 처음으로 인정한 미생물병원설(germ theory of disease)의 첫 입증 사례였다.[3] 다양한 유형의 경화병들이 존재한다. 이 병들은 숙주 위에 각 곰팡이가 남긴 분생자층의 색에서 이름을 따왔다.[1]
흑강병
흑강병(Black muscardine)은 Beauveria brongniartti와 Metarhizium anisopliae가 일으키는 병이다.[1]
Metarhizium anisopliae는 200종 이상의 곤충에게 치명적인 병이다.[4]
갈강병
곤충의 아스페르길루스증을 갈강병(brown muscardine)이라고 부른다. A. flavus, A. tamari 등 아스페르길루스속에 속하는 10개 이상의 곰팡이종이 병을 유발한다. 분생자층의 색은 갈색 또는 황록색을 띤다.[1]
연두강병
연두강병(grassy muscardine)은 Hirsutella necatrix가 일으키는 병이다.[5] 이 곰팡이는 숙주의 몸을 두르는 키틴을 파괴하는 효소를 만든다.[6]
녹강병
녹강병(Green muscardine disease)은 녹강균속에 속하는 곰팡이들이 곤충에게 일으키는 병으로, 이 곰팡이가 숙주을 죽이게 되면, 습한 조건 하에서 균사가 숙주의 몸으로 침투하고 곤충의 체벽은 녹색을 띠는 포자층으로 덮이게 되기 때문에[2] 그렇게 이름이 붙었다.[7] 녹강병은 원래 누에의 매우 치명적인 병해로 발견되었다.[8] 곤충진균학자와 미생물방제 전문가들에게 '녹강병'은 Metarhizium spp.이 일으키는 진균성 감염을 의미하는 반면, 양잠업계에서는 Nomuraea rileyi가 일으키는 진균성 감염을 의미한다.[9] 녹강병은 200종 이상의 알려진 곤충들에게서 확인된다.[10]
주황강병
주황강병(Orange muscardine)은 Sterigmatocystis japonica이 일으키는 병이다.[1]
페니실리움증
곤충의 페니실리움증(Penicillosis)은 경화병의 일종으로, 특히 Penicillium citrinum과 P. granulatum가 발병했을 때 나타난다.[1]
적강병
적강병(Red muscardine)은 Sporosporella uvella[1]와 Isaria fumosoroseus가 일으킨다.[5]
백강병
경화병 중 가장 알려진 병은 바로 백강병(white muscardine)으로,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이 일으킨다.[11]
백강병이 발생할 때 곤충의 애벌레는 먹는 걸 멈추고 활동이 비활성화된다. 체벽의 탄성이 떨어지고 구토와 설사를 겪는다. 죽으면서 몸이 단단해진다.[1] 이 곰팡이는 숙주의 몸을 가루처럼 하얀 분생포자로 뒤덮인 채로 남긴다.[11] 이 곰팡이 층은 수산염 결정 때문에 단단하며, 시체의 부패를 느려지게 한다.[1] 번데기가 감염되었을 때에는 종종 미라화된다. 곰팡이 코팅이 성장하기 전에 쪼그라들고 주름진다. 나방 성충이 이 병에 걸럈을 때에는 몸이 단단해지고 날개가 떨어진다.[2]

이 곰팡이는 숙주에 감염이 되어있는 동안 수분 및 영양분을 흡수한다. 숙주 곤충의 혈림프가 결정화되어 딱딱하게 굳는다. 보통은 독소도 생산한다. 숙주를 죽인 후에는 시체로부터 수분을 계속 흡수해 시체가 점점 굳어지는 결과를 낳는다.[2]
백강병에 걸리기 쉬운 다른 곤충으로는 벼멸구[11]와 감귤뿌리바구미가 있다.[12] [13][14][15][16]
Remove ads
황강병
적황강병
적황강병(Yellow red muscardine)은 Isaria fumosoroseus가 일으키는 병이다. 곤충 시체 안에는 포자 가루 덩어리가 생기고 겉에는 붉은색의 조각들이 만들어진다.[1]
방제
아자디라크틴, 파이코알렉신 같은 살균제은 일부 경화병원균에 대응하여 사용되었다.[17] 양잠업자들은 곰팡이의 성장을 억제시키기 위해 소석회를 사육장에 뿌린다.[18] 인도에서는 포르말린을 흡수시킨 겉겨 가루를 누에 상태일 때에 사용한다.[19]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