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대 동유라시아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대 동유라시아인(Ancient East Eurasians)은 집단유전체학에서 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거주하는 다양한 인구 집단의 유전적 조상과 계통학적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들은 인류의 유전적 다양성에 있어서 "동유라시아의 분기군"에 속하며,[1][2][3][4][5][6] 이들은 최소 60,000년 전 출아프리카 이주에 이은 초기 후기 구석기 시대(Initial Upper Paleolithic, IUP)의 대이주 물결과 연관될 수 있다.[4][6]

초기 분산

Thumb
출아프리카(OoA) 인구 허브로부터 유라시아로의 반복적인 확장을 나타낸 그림. 유라시아 전역에서 45,000~40,000년 전으로 추정되는 대표적 표본들은 IUP 확장과 일치하는 균일한 유전적 특징과 물질 문화를 가진 인구 이동에 기인할 수 있다.
Thumb
동아시아의 세석인 및 석핵·격지 유적지들

초기 후기 구석기 시대(IUP) 이주에서 보이는 현생 인류인 고대 동유라시아인들은 약 48,000년 전 페르시아 고원에 위치한 인구 허브에서 고대 서유라시아인(Ancient West Eurasians)과 분리되어 최소 45,000년 전 별 모양의 확장 패턴을 통해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고 제안되고 있다.[7][6]

고대 동유라시아인들은 이르면 45,000년 전부터 서로 분화하기 시작했다.[6] 이러한 분화는 2가지의 주요한 IUP 관련 물질문화 유형의 발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데, 바로 "세석인"(細石刃, microlithic blade)와 "석핵·격지"(core & flake)이다. 유럽, 중앙아시아,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표본으로 대표되는 특정 IUP 인구, 예를 들어 우스티이심인(Ust'-Ishim man), 바초 키로인(Bacho Kiro), 오아세 2(Oase 2), 카라봄(Kara-Bom) 등은 세석인 유적의 확산과 관련이 있으며, 유라시아 내륙 북방 경로를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9][10] 반면, 톈위안인과 같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및 오세아니아에서 발견된 표본으로 대표되는 IUP 인구는 석핵·격지 유적의 확산과 관련이 있으며, 아시아 남부 해안을 따라 남방 분산 경로를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11][12][13]

남방 분산 경로를 통해 확장된 IUP 인구는 모든 현대 동유라시아 인구("동유라시아인 핵심부", EEC)의 조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EEC 인구는 최소 40,000년 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빠르게 분화하여 동유라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대륙의 현대 인구, 특히 동아시아인, 동남아시아인, 시베리아 원주민,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파푸아인, 태평양 도서민, 아메리카 원주민, 그리고 부분적으로 남아시아인중앙아시아인의 조상이 되었다.[7][14][15][16][17][18][19][20][21] 남아시아는 동아시아와 오스트랄라시아의 정착화에 있어서 중심 허브 역할을 했을 수 있다.[22]

Thumb
동유라시아인 인구의 계통학적 하부구조에 대한 추론 모델.
Remove ads

동유라시아인의 혈통들

요약
관점

현대 인구에 기여한 주요 동유라시아 조상 혈통들은 다음과 같다.[14]

  • 오스트랄라시아 혈통(Australasian, AA) —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 뉴질랜드, 남태평양의 인접 도서 및 필리핀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에 기여한 조상 인구를 지칭한다. 오늘날의 오스트랄라시아인, 즉 파푸아인과 호주 원주민, 그리고 필리핀 네그리토족으로 대표된다.
  • 고대 조상 남아시아 혈통(Ancient Ancestral South Indian, AASI) — 주로 남아시아 토착민에 기여한 조상 인구를 지칭한다. 5,000년에서 1,500년 전의 인더스 주변(Indus Periphery)의 개인 및 현대 남아시아인이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파니야족이룰라족과 같은 남인도의 부족 집단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이 혈통은 종종 멀리 떨어진 안다만족으로 대표되기도 하지만, 안다만족은 유전적으로 '기저 동아시아인'인 톈위안인에 더 가깝거나[23][24] 오스트랄라시아 지류에서 매우 초기의 분화를 나타낸다.[21]
  •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혈통(East and Southeast Asian, ESEA) — 주로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대부분, 그리고 시베리아와 아메리카 대륙에 거주하는 인구에 기여한 조상 인구를 지칭한다. 고대 톈위안인호아빈 문화 표본, 그리고 오늘날의 동남아시아인으로 대표된다.
Thumb
Changmai et al.(2022)에 따른 선정된 현대 인구의 추정된 조상 구성 요소.[25]

"오스트랄라시아", "고대 조상 남아시아",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혈통은 모든 비아시아 혈통보다 서로에게 더 가까운 유전적 관계를 보이며, 초기 동유라시아 IUP 혈통(바초 키로 동굴 등)보다 서로 더 가깝다. 이들은 모두 "아시아 관련 조상"(Asian-related ancestry)의 주요 분기군을 대표하며, 최소 40,000년 전 서로 분화되었다.[14] 그러나 오스트랄라시아 혈통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더 높은 고대의 혼합을 받았으며, 다른 어떤 인구에도 기여하지 않은 초기 인류 분산 중의 "xOoA"(비-출아프리카인) 혼혈을 소량 포함할 수도 있다. 혹은, 오스트랄라시아인은 "기저 동아시아인" 원천(톈위안인 또는 옹게족으로 대표됨)과 아직 샘플링되지 않은 더 깊은 동유라시아 혈통 사이의 거의 동일한 비율의 혼합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7][1][14]:11

샘플링되지 않은 깊이 분기된 동유라시아인 혈통의 흔적은 티베트고원의 고대 및 현대 주민 유전체에서 관찰될 수 있다. 현대 티베트인은 대부분 북부 동아시아 원천(특히 황하 농경민)으로부터 조상을 물려받았지만, 작지만 의미 있는 기여가 깊이 분기된 동유라시아 지역의 "유령 인구"(우스트이심인, 호아빈인/옹게족 또는 톈위안인과 같은 다른 깊이 분기된 혈통과도 구별됨)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티베트고원의 토착 구석기 시대 인구를 대표한다.[26][27] 윈난성에서 발견된 7,100년 전의 Xingyi_EN 표본은 새로운 깊이 분기된 기저 아시아인 혈통을 대표하며, 이는 티베트인들 사이에서 추론된 유령 혈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28]

더 깊은 분기의 IUP 관련 동유라시아인 혈통은 유럽 남동부의 오아세바초 키로 동굴 유적의 표본들과 관련이 있는데, 이는 IUP 물질문화의 확산과 관련된 내륙 북방 이주를 나타내며 다른 모든 동유라시아인 인구(EEC)와도 깊은 분기를 보인다. 이들 깊은 동유라시아인 인구는 이후의 유라시아 인구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으며, 오리냐크 문화와 관련된 고예트 동굴 표본(GoyetQ116-1; 약 17–23%), 또는 그라베트 문화와 관련된 순기르 표본(약 0–14%, 오리냐크 유전자 흐름을 통해) 등 후기 구석기 시대 유럽 집단으로의 다양한 유전자 흐름은 예외적이다. 반면, 후기 구석기 시대 유럽 코스텐키-14(Kostenki-14) 표본은 IUP 관련 혼합의 증거를 보이지 않았다.[7][29][21][14][30][31]

깊은 IUP 관련 혈통은 톈위안인에게도 혈통 기여(최대 39%)를 했을 수 있으며, 이는 톈위안인과 GoyetQ116-1, 그리고 GoyetQ116-1과 BachoKiro_IUP 사이에서 관찰된 친화도를 설명한다. GoyetQ116-1 표본에서 발견된 이러한 다양한 동유라시아인 기층은 "IUP 인구 분기 내에서 아직 설명되지 않은 복잡성"을 암시할 수 있다.[31][7] 이 혈통은 시베리아와 중국 서북부의 IUP 유적지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현재 이들 유적지에 관한 고고유전학적 데이터는 없다.[21]

시베리아우스티이심인이 다른 IUP/동유라시아 혈통과 정확히 어떤 관계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우스티이심인은 서유라시아(코스텐키-14)와 IUP/동유라시아 혈통 사이에서 거의 세번째 갈래를 형성하지만, 동유라시아인들과 짧은 기간의 진화적 부동을 공유한다.[7][6] 우스티이심인 혈통은 현대 인구에 혈통 기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21]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