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고고유전학에서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Ancient Northern East Asian, ANEA)은 고대의 동아시아 북부, 곧 바이칼에서부터 현대의 북중국(황하강 유역 또는 친링-화이허 선까지)에 이르는 지역의 인구와 연관된 조상 구성요소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1][2] 이들은 기원전 20,000년에서 26,000년 경에 고대 남부 동아시아인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1][3][4][5]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 계통은 아무르 지역의 후기 구석기(약 19kya) 시대 표본(Amur19k)을 비롯하여, 위민(중국 지린성 育民향), 악마의 문 동굴(~7.7kya), 산둥(~9.5-7.5kya) 및 바이칼호(~7.1-6.3kya)에서 발견된 유해를 포함한 초기 신석기 시대의 여러 샘플에서 나타난다.[1][6]

Remove ads

하위 그룹

요약
관점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ANEA)은 크게 3개의 하위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곧 "고대 동북아시아인"(Ancient Northeast Asians), "신시베리아인"(Neo-Siberians), "황하 농경민"(Yellow River farmers)이다.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은 이름이 유사한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계통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아무르 혈통"(Amur ancestry)으로도 알려져 있는 이 계통은 ANEA의 하위 그룹으로서, 특히 현재로부터 7~4천 년 전 아무르 지역의 수렵채집민으로 대표되며 나중에 극동 시베리아, 몽골, 바이칼 지역으로 확장되었는데, 초기 신석기시대 바이칼 지역에서 분명히 나타나는 더 일찍 확장된 "신시베리아인" 등의 다른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7][8]

북아시아에서는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 계통의 초기 분파가 고대 북유라시아인(Ancient North Eurasians)과 결합하여 고대 고시베리아인(Ancient Paleo-Siberians)을 형성했다. 동아시아에서는 고대 북동아시아 계통에 고대 남부 동아시아인(Ancient Southern East Asians)의 소규모 혼합이 더해져 "황하 농경민" 집단이 형성되었다.[1][3] 황하 농경민은 중국-티베트계 언어의 확산과 결부지어진다.[9]

"신시베리아인" 또는 "내륙 동북아시아인"(Yumin 수렵채집민과 Transbaikal_EMN 혈통을 포함)은 약 14,000년 전 일어난 고대 북부 동아시아인의 내륙 확장 경로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고대 동북아시아인(ANA) 조상을 지닌 "아무르 수렵채집민"(7,000~14,000년 전)과는 구별된다. 신시베리아인은 주로 바이칼 지역의 신석기 및 청동기 시대 인구에 기여했으며, 여기에는 키토이(Kitoi) 문화(기원전 5,200~4,200년)의 신석기 바이칼 수렵채집민, 후기 신석기/청동기 시대의 야쿠티아, 동시베리아알타이-사얀 지역의 크라스노야르스크 그룹이 포함된다. 이들은 우랄조어 사용자들의 초기 확산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으며, 고대 고시베리아인과 함께 (초기 예니세이어족 화자와 연관이 있는) 글라조코보 문화(기원전 약 2,500년)의 청동기 시대 서바이칼 수렵채집민과 연결될 수 있다.[10][11][12][13]

중석기 시대 아무르 표본들(약 7-14kya)과 몽골에서 발견된 후속 샘플로 대표되는 고대 동북아시아인은 "신시베리아인"과 유사 집단의 분산 이후 확장되었으며,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의 화자의 확산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12]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