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고려불화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목록은 고려(918년 ~ 1392년)에서 제작된 불화인 고려불화의 목록이다. 약 160점의 족자가 알려져 있다.[1][2][3][4][5][6][7][8][9][10][11][12]
자세한 정보 그림, 날짜 ...
그림 | 날짜 | 위치 | 기관 | 비고 | 이미지 | 크기 | 좌표 | 참고 |
---|---|---|---|---|---|---|---|---|
관경서분변상도 絹本著色王宮曼荼羅図 | 1312 | 도요카와시 | 다이온지 (大恩寺) | 우측 하단 비문으로 1312년 제작 확인; 일본 중요문화재[5] | ![]() | 133.3 센티미터 (4 ft 4.5 in) by 51.4 센티미터 (1 ft 8.2 in) | 북위 34° 49′ 14″ 동경 137° 18′ 38″ | |
관경서분변상도 王宮曼荼羅図 | 고려 후기 | 쓰루가시 | 사이후쿠지 (쓰루가시) (西福寺) | ![]() | 150.5 센티미터 (4 ft 11.3 in) by 113.2 센티미터 (3 ft 8.6 in) | 북위 35° 39′ 25″ 동경 136° 01′ 56″ | [5] | |
관경십육관변상도 観経十六観変相図 | 1323 | 교토시 | 지온인 | ![]() | 224.2 센티미터 (7 ft 4.3 in) by 139.1 센티미터 (4 ft 6.8 in)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3] | |
관경서분변상도 観経変相図 | 14세기 | 쓰루가시 | 사이후쿠지 (쓰루가시) (西福寺) | ![]() | 202.8 센티미터 (6 ft 7.8 in) by 129.8 센티미터 (4 ft 3.1 in) | 북위 35° 39′ 25″ 동경 136° 01′ 56″ | [4] | |
미륵하생경변상도 弥勒下生経変相図 | 1350 | 고야정 | Shinnō-in (親王院) | ![]() | 178.0 센티미터 (5 ft 10.1 in) by 90.3 센티미터 (2 ft 11.6 in) | 북위 34° 12′ 50″ 동경 135° 34′ 53″ | [6] | |
미륵하생경변상도 弥勒下生経変相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지온인 | ![]() | 171.8 센티미터 (5 ft 7.6 in) by 92.1 센티미터 (3 ft 0.3 in)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3] | |
원각경변상도 원각경변상도 | 14세기 | 보스턴 | 보스턴 미술관 | ![]() | 165.5 센티미터 (5 ft 5.2 in) by 85.5 센티미터 (2 ft 9.7 in) | 북위 42° 20′ 21″ 서경 71° 05′ 39″ | ||
견본채색 관경십육관변상도 絹本著色観経十六観変相図 kenpon chakushoku kangyō jūroku kanhensō zu | 고려 후기 | 다카하기시 | Ōtakaji (大高寺) | 현 지정 문화재 | ![]() | 183.0 센티미터 (6 ft 0 in) by 121.0 센티미터 (3 ft 11.6 in) | 북위 36° 42′ 55″ 동경 140° 42′ 33″ | 보관됨 2021-07-27 - 웨이백 머신 |
관경서분변상도 絹本著色弥勒下生経変相図 | 1294 | 교토시 | 묘만지 (妙満寺) | 일본 중요문화재; 画文翰待詔李晟, 至元三十一年甲午 명문 | ![]() | 227 센티미터 (7 ft 5 in) by 129 센티미터 (4 ft 3 in) | 북위 35° 04′ 03″ 동경 135° 46′ 28″ | |
석가설법도 釈迦説法図 | 고려 후기 | 고야정 | Shinnō-in (親王院) | 178.0 센티미터 (5 ft 10.1 in) by 90.3 센티미터 (2 ft 11.6 in) | 북위 34° 12′ 50″ 동경 135° 34′ 53″ | [5] | ||
비로자나불변상도 | 고려 후기 | 히로시마시 | 후도인 (不動院) | 일만오천불상으로도 알려져 있음 | ![]() | 162.0 센티미터 (5 ft 3.8 in) by 88.2 센티미터 (2 ft 10.7 in) | 북위 34° 25′ 37″ 동경 132° 28′ 16″ | [3] |
비로자나불변상도 毘盧遮那仏変相図 | 고려 후기 | 효고현 | 개인 소장 | 196.0 센티미터 (6 ft 5.2 in) by 133.5 센티미터 (4 ft 4.6 in) | 보관됨 2018-05-13 - 웨이백 머신 | |||
비로자나불 삼존불상도 | 고려 후기 | 쾰른 | 쾰른 동아시아 미술관 | ![]() | 123.0 센티미터 (4 ft 0.4 in) by 82.0 센티미터 (2 ft 8.3 in) | 북위 50° 56′ 06″ 동경 6° 55′ 32″ | [3] | |
약사여래 설법도 | 교토시 | 지샤쿠인 (智積院) | 북위 34° 59′ 17″ 동경 135° 46′ 35″ | [6] | ||||
견본채색 오불존상 絹本著色五仏尊像 | 고려 후기 | 다카사고시 | 주린지 (다카사고시) (十輪寺) | 일본 중요문화재; 16세기 작품으로도 추정됨[13] | 북위 34° 44′ 50″ 동경 134° 47′ 59″ | |||
치성광여래왕림도 | 14세기 후반 | 보스턴 | 보스턴 미술관 | ![]() | 124.4 센티미터 (4 ft 1.0 in) by 54.8 센티미터 (1 ft 9.6 in) | 북위 42° 20′ 21″ 서경 71° 05′ 39″ | ||
아미타여래도 | 1286 | 교토시 | 개인 소장; 옛 시마즈 가문 소장 (島津家旧蔵) | ![]() | 203.5 센티미터 (6 ft 8.1 in) by 105.1 센티미터 (3 ft 5.4 in) | [4] | ||
아미타여래도 阿弥陀如来像 | 고려 후기 | 간온지시 | Hagiwara-ji (萩原寺) | ![]() | 110.8 센티미터 (3 ft 7.6 in) by 50.4 센티미터 (1 ft 7.8 in) | 북위 34° 04′ 16″ 동경 133° 41′ 18″ | 보관됨 2015-09-24 - 웨이백 머신 | |
아미타여래도 阿弥陀如来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Shōbō-ji (正法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90.0 센티미터 (6 ft 2.8 in) by 87.2 센티미터 (2 ft 10.3 in) | [3] | |
아미타여래도 | 14세기 | 교토시 | Tōkai-an (東海庵) | 116.4 센티미터 (3 ft 9.8 in) by 54.5 센티미터 (1 ft 9.5 in) | 북위 35° 01′ 22″ 동경 135° 43′ 14″ | [4]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絹本著色阿弥陀如来像 | 1306 | 도쿄도 | 네즈 미술관 | 일본 중요문화재 | ![]() | 162.5 센티미터 (5 ft 4.0 in) by 91.7 센티미터 (3 ft 0.1 in) | 북위 35° 39′ 44″ 동경 139° 43′ 02″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絹本著色釈迦如来像 | 고려 후기 | 교토시 | 교쿠린인 (玉林院) | 일본 중요문화재 | ![]() | 163.0 센티미터 (5 ft 4.2 in) by 87.0 센티미터 (2 ft 10.3 in) | 북위 35° 02′ 33″ 동경 135° 44′ 35″ | [3] |
아미타여래도] 阿弥陀如来像 | 히가시오미시 | Ishiba-ji (石馬寺) | 98.0 센티미터 (3 ft 2.6 in) by 55.5 센티미터 (1 ft 9.9 in) | 북위 35° 09′ 41″ 동경 136° 09′ 52″ | [5] | |||
약사여래 如来像 | 고려 후기 | 나고야시 | 반쇼지 | ![]() | 151.0 센티미터 (4 ft 11.4 in) by 86.2 센티미터 (2 ft 9.9 in) | 북위 35° 09′ 33″ 동경 136° 54′ 17″ | [5]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絹本著色釈迦如来像 | 14세기 | 교토시 | 젠린지 | 일본 중요문화재 | 177.9 센티미터 (5 ft 10.0 in) by 106.9 센티미터 (3 ft 6.1 in) | 북위 35° 00′ 52″ 동경 135° 47′ 43″ | [4] | |
아미타여래도 | 고려 후기 | 파리 | 기메 박물관 | ![]() | 104.0 센티미터 (3 ft 4.9 in) by 46.0 센티미터 (1 ft 6.1 in) | 북위 48° 51′ 54″ 동경 2° 17′ 37″ | [3] | |
아미타여래도 | 14세기 | 로마 | 국립 동양 미술관 | ![]() | 105.6 센티미터 (3 ft 5.6 in) by 47.0 센티미터 (1 ft 6.5 in) | 북위 41° 53′ 40″ 동경 12° 30′ 01″ | 보관됨 2021-12-09 - 웨이백 머신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좌상 絹本著色阿弥陀如来坐像 | 고려 후기 | 야이타시 | Kagamiyama-dera (鏡山寺) | 현 지정 문화재; 오야마시의 Kōbō-ji (興法寺)에 고려 불화 두 점 더 있음 | ![]() | 149.3 센티미터 (4 ft 10.8 in) by 94.0 센티미터 (3 ft 1.0 in) | 북위 36° 50′ 14″ 동경 139° 55′ 17″ | 보관됨 2018-06-25 - 웨이백 머신 |
아미타여래도 | 고려 후기 | 용인시 | 우학문화재단 | 보물 제1238호 | ![]() | 105.6 센티미터 (3 ft 5.6 in) by 52.3 센티미터 (1 ft 8.6 in) | [3] | |
견본채색 아미타삼존상 (아미타여래도)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1309 | 요네자와시 | 우에스기 신사 (上杉神社) | 세 폭 중 중앙에 위치한 작품으로 함께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됨[14][15] | ![]() | 148 센티미터 (4 ft 10 in) by 77 센티미터 (2 ft 6 in) | 북위 37° 54′ 33″ 동경 140° 06′ 15″ | |
견본채색 아미타삼존상 (관음도)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1309 | 요네자와시 | 우에스기 신사 (上杉神社) | 세 폭 중 오른쪽에 위치한 작품으로 함께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됨[14][15] | ![]() | 148 센티미터 (4 ft 10 in) by 77 센티미터 (2 ft 6 in) | 북위 37° 54′ 33″ 동경 140° 06′ 15″ | |
견본채색 아미타삼존상 (대세지보살)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1309 | 요네자와시 | 우에스기 신사 (上杉神社) | 세 폭 중 왼쪽에 위치한 작품으로 함께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됨[14][15] | ![]() | 148 센티미터 (4 ft 10 in) by 77 센티미터 (2 ft 6 in) | 북위 37° 54′ 33″ 동경 140° 06′ 1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및 아난다와 마하카샤파 絹本著色釈迦三尊及阿難迦葉像 | 1330 | 오고세정 | Hōon-ji (法恩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19.4 센티미터 (3 ft 11.0 in) by 64.2 센티미터 (2 ft 1.3 in) | 북위 35° 57′ 44″ 동경 139° 17′ 50″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도쿄도 | 네즈 미술관 | ![]() | 111.2 센티미터 (3 ft 7.8 in) by 50.9 센티미터 (1 ft 8.0 in) | 북위 35° 39′ 44″ 동경 139° 43′ 02″ | [3]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도쿄도 | 네즈 미술관 | 129.0 센티미터 (4 ft 2.8 in) by 62.0 센티미터 (2 ft 0.4 in) | 북위 35° 39′ 44″ 동경 139° 43′ 02″ | [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도쿄도 | 네즈 미술관 | 139.0 센티미터 (4 ft 6.7 in) by 87.9 센티미터 (2 ft 10.6 in) | 북위 35° 39′ 44″ 동경 139° 43′ 02″ | [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가코가와시 | 가쿠린지 | 일본 중요문화재 | ![]() | 130.0 센티미터 (4 ft 3.2 in) by 73.3 센티미터 (2 ft 4.9 in) | 북위 34° 45′ 08″ 동경 134° 49′ 57″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 13세기 경 | 뉴욕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 114.9 센티미터 (3 ft 9.2 in) by 59.1 센티미터 (1 ft 11.3 in) | 북위 40° 46′ 45″ 서경 73° 57′ 47″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지온인 | 170.3 센티미터 (5 ft 7.0 in) by 92.2 센티미터 (3 ft 0.3 in)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12]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지온인 | 160.6 센티미터 (5 ft 3.2 in) by 80.6 센티미터 (2 ft 7.7 in)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지온인 | 160.6 센티미터 (5 ft 3.2 in) by 80.6 센티미터 (2 ft 7.7 in)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지온인 | 160.6 센티미터 (5 ft 3.2 in) by 80.6 센티미터 (2 ft 7.7 in)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사카이시 | 호도지 (사카이시) (法道寺) | 시 지정 문화재 | ![]() | 166.4 센티미터 (5 ft 5.5 in) by 88.8 센티미터 (2 ft 11.0 in) | 북위 34° 27′ 50″ 동경 135° 31′ 04″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13/14세기 | 도쿄도 | 도쿄 국립박물관 | ![]() | 122.9 센티미터 (4 ft 0.4 in) by 56.6 센티미터 (1 ft 10.3 in) | 북위 35° 43′ 08″ 동경 139° 46′ 35″ | ||
아미타삼존도 | 14세기 | 서울특별시 | 리움미술관 | 국보 제218호 | ![]() | 110.7 센티미터 (3 ft 7.6 in) by 51.0 센티미터 (1 ft 8.1 in) | 북위 37° 32′ 17″ 동경 126° 59′ 55″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14세기 | 아타미시 | MOA 미술관 | 일본 중요문화재 | ![]() | 100.9 센티미터 (3 ft 3.7 in) by 54.2 센티미터 (1 ft 9.3 in) | 북위 35° 06′ 32″ 동경 139° 04′ 30″ | [4]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고베시 | 하쿠쓰루 미술관 | 133.3 센티미터 (4 ft 4.5 in) by 58.9 센티미터 (1 ft 11.2 in) | 북위 34° 43′ 52″ 동경 135° 15′ 29″ | [5]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 14세기 | 뉴욕 | 브루클린 미술관 | ![]() | 130.2 센티미터 (4 ft 3.3 in) by 81.9 센티미터 (2 ft 8.2 in) | 북위 40° 40′ 17″ 서경 73° 57′ 50″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고려 후기 | 마이즈루시 | 마쓰노오데라 (마이즈루시) (松尾寺) | 현 지정 문화재 | ![]() | 109.5 센티미터 (3 ft 7.1 in) by 55.7 센티미터 (1 ft 9.9 in) | 북위 35° 29′ 50″ 동경 135° 28′ 10″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센오쿠 하쿠코칸 | 130.0 센티미터 (4 ft 3.2 in) by 83.0 센티미터 (2 ft 8.7 in) | 북위 35° 01′ 03″ 동경 135° 47′ 34″ | [12]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kenpon chakushoku Amida sanzon zō | 고려 후기 | 교토시 | 지온지 (知恩寺) | ![]() | 103.0 센티미터 (3 ft 4.6 in) by 86.0 센티미터 (2 ft 9.9 in) | 북위 35° 01′ 49″ 동경 135° 46′ 51″ | 보관됨 2018-06-25 - 웨이백 머신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교토시 | 개인 소장 | ![]() | 99.2 센티미터 (3 ft 3.1 in) by 51.7 센티미터 (1 ft 8.4 in) | [12] | ||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阿弥陀三尊図 | 고려 후기 | 이즈모시 | 이치바타지 (一畑寺) | [12]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고려 후기 | 쓰시 | Senju-ji (専修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68.5 센티미터 (5 ft 6.3 in) by 92.4 센티미터 (3 ft 0.4 in) | 북위 34° 45′ 43″ 동경 136° 30′ 13″ | 보관됨 2015-09-23 - 웨이백 머신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絹本著色阿弥陀三尊像 | 고려 후기 | 도쿄도 | 오쿠라 슈코칸 | 113.0 센티미터 (3 ft 8.5 in) by 61.0 센티미터 (2 ft 0 in) | 북위 35° 40′ 01″ 동경 139° 44′ 36″ | [12] | ||
석가모니와 두 협시 보살 | 14세기 | 클리블랜드 | 클리블랜드 미술관 | ![]() | 217.8 센티미터 (7 ft 1.7 in) by 112.7 센티미터 (3 ft 8.4 in) | 북위 41° 30′ 32″ 서경 81° 36′ 41″ | ||
견본 감지금니 아미타여래도 삼존불 絹本紺地金泥阿弥陀三尊像 | 1359 | 고후시 | Hontai-ji (尊躰寺) | 시 지정 문화재 | ![]() | 164.9 센티미터 (5 ft 4.9 in) by 85.6 센티미터 (2 ft 9.7 in) | 북위 35° 39′ 35″ 동경 138° 34′ 48″ | 보관됨 2016-03-03 - 웨이백 머신 |
아미타여래도과 팔대보살 | 고려 후기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21.0 센티미터 (8.3 in) by 13.0 센티미터 (5.1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12] | ||
견본채색 석가모니 팔대보살상 絹本著色釈迦八大菩薩像 | 1320 | 야마토코리야마시 | 마쓰오데라 (松尾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77.3 센티미터 (5 ft 9.8 in) by 91.2 센티미터 (2 ft 11.9 in) | 북위 34° 38′ 03″ 동경 135° 43′ 41″ |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絹本着色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후기 | 사가시 | Kōfuku-ji (広福寺), 정식명칭 Kōfukugokokuzen-ji (廣福護国禅寺)의 소유로, 다케오시에 위치하며 사가현립박물관에 소장됨 | 현 지정 문화재 | ![]() | 155.4 센티미터 (5 ft 1.2 in) by 87.2 센티미터 (2 ft 10.3 in) | 북위 33° 14′ 42″ 동경 130° 18′ 02″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14세기 | 도쿄도 | 도쿄예술대학교 미술관 (東京藝術大学大学美術館) | ![]() | 180.3 센티미터 (5 ft 11.0 in) by 92.5 센티미터 (3 ft 0.4 in) | 북위 35° 43′ 09″ 동경 139° 46′ 17″ | 보관됨 2013-10-29 - 웨이백 머신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후기 | 아시카가시 | 반나지 (鑁阿寺) | 무로마치 시대의 현 지정 문화재인 석가모니 팔대보살상으로도 알려져 있음[16] | 153.0 센티미터 (5 ft 0.2 in) by 84.3 센티미터 (2 ft 9.2 in) | 북위 36° 20′ 15″ 동경 139° 27′ 08″ | [5]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후기 | 나라시 | 야마토 분카칸 | 110.2 센티미터 (3 ft 7.4 in) by 57.7 센티미터 (1 ft 10.7 in) | 북위 34° 41′ 43″ 동경 135° 45′ 24″ | [12]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14세기 후반 | 샌프란시스코 | 아시아 예술 박물관 | ![]() | 151.1 센티미터 (4 ft 11.5 in) by 88.7 센티미터 (2 ft 10.9 in) | 북위 37° 46′ 49″ 서경 122° 24′ 59″ | 보관됨 2016-03-04 - 웨이백 머신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 14세기 | 워싱턴 D.C. | 프리어 미술관 | ![]() | 160.3 센티미터 (5 ft 3.1 in) by 86.0 센티미터 (2 ft 9.9 in) | 북위 38° 53′ 17″ 서경 77° 01′ 39″ | 보관됨 2015-09-30 - 웨이백 머신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14세기 | 나고야시 | 도쿠가와 미술관 | ![]() | 143.0 센티미터 (4 ft 8.3 in) by 87.0 센티미터 (2 ft 10.3 in) | 북위 35° 11′ 02″ 동경 136° 56′ 00″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후기 | 교토시 | Jōkyō-ji (浄教寺) | ![]() | 173.1 센티미터 (5 ft 8.1 in) by 91.1 센티미터 (2 ft 11.9 in) | 북위 35° 00′ 10″ 동경 135° 46′ 02″ | [3]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후기 | 고베시 | 개인 소장 옛 가와사키 가문 소장 | 107.3 센티미터 (3 ft 6.2 in) by 58.5 센티미터 (1 ft 11.0 in) | [12]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후기 | 도쿄도 | 네즈 미술관 | ![]() | 222.5 센티미터 (7 ft 3.6 in) by 166.8 센티미터 (5 ft 5.7 in) | 북위 35° 39′ 44″ 동경 139° 43′ 02″ | [5] | |
견본 자금 은니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紫絹金銀泥絵 阿弥陀八大菩薩像 | 고려 말기 | 쓰루가시 | Zenmyō-ji (善妙寺) | 현 지정 문화재 | 155.0 센티미터 (5 ft 1.0 in) by 146.0 센티미터 (4 ft 9.5 in) | 북위 35° 39′ 13″ 동경 136° 04′ 19″ | ||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阿弥陀八菩薩像 | 14세기 중/후반 | 니시오시 | Keigan-ji (桂岩寺) 소유; 이와세 문고 (西尾시 이와세 문고) 소장 | 시 지정 문화재 | ![]() | 139.4 센티미터 (4 ft 6.9 in) by 85.0 센티미터 (2 ft 9.5 in) | 북위 34° 52′ 28″ 동경 137° 03′ 14″ | 보관됨 2021-01-13 - 웨이백 머신 |
견본채색 아미타여래도 팔대보살상 絹本着色阿弥陀八大菩薩像 | 오쓰시 | 시가인 (滋賀院) | 북위 35° 04′ 11″ 동경 135° 52′ 03″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가라쓰시 | 가라쓰 거울 신사 (가라쓰 거울 신사) | 일본 중요문화재 | ![]() | 419.5 센티미터 (13 ft 9.2 in) by 254.2 센티미터 (8 ft 4.1 in) | 북위 33° 25′ 56″ 동경 130° 00′ 29″ | [5]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徐九方筆/至治三年六月の年記がある〉 | 1323 | 교토시 | 센오쿠 하쿠코칸 | 일본 중요문화재 | ![]() | 164.8 센티미터 (5 ft 4.9 in) by 101.7 센티미터 (3 ft 4.0 in) | 북위 35° 01′ 03″ 동경 135° 47′ 34″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도쿄도 | 센소지 | ![]() | 144.0 센티미터 (4 ft 8.7 in) by 62.6 센티미터 (2 ft 0.6 in) | 북위 35° 42′ 52″ 동경 139° 47′ 49″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나라시 | 야마토 분카칸 | 100.4 센티미터 (3 ft 3.5 in) by 49.6 센티미터 (1 ft 7.5 in) | 북위 34° 41′ 43″ 동경 135° 45′ 24″ | [12]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교토시 | 다이토쿠지 | 일본 중요문화재 | ![]() | 227.9 센티미터 (7 ft 5.7 in) by 135.8 센티미터 (4 ft 5.5 in) | 북위 35° 02′ 38″ 동경 135° 44′ 46″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교토시 | 다이토쿠지 | 일본 중요문화재 | 154.3 센티미터 (5 ft 0.7 in) by 84.7 센티미터 (2 ft 9.3 in) | 북위 35° 02′ 38″ 동경 135° 44′ 46″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교토시 | 다이토쿠지 | 일본 중요문화재 | 129.6 센티미터 (4 ft 3.0 in) by 63.8 센티미터 (2 ft 1.1 in) | 북위 35° 02′ 38″ 동경 135° 44′ 46″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교토시 | 후지이사이세이유린칸 미술관 (후지이사이세이유린칸 미술관) | 105.5 센티미터 (3 ft 5.5 in) by 54.3 센티미터 (1 ft 9.4 in) | 북위 35° 00′ 42″ 동경 135° 46′ 53″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아타미시 | MOA 미술관 | 99.0 센티미터 (3 ft 3.0 in) by 46.2 센티미터 (1 ft 6.2 in) | 북위 35° 06′ 32″ 동경 139° 04′ 30″ | [1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사쿠라이시 | 단잔 신사 | ![]() | 110.0 센티미터 (3 ft 7.3 in) by 57.7 센티미터 (1 ft 10.7 in) | 북위 34° 27′ 57″ 동경 135° 51′ 42″ | [3]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미요시시 | Chōraku-ji (長楽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19.0 센티미터 (3 ft 10.9 in) by 63.5 센티미터 (2 ft 1.0 in) | 북위 34° 01′ 48″ 동경 133° 51′ 44″ | [5]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오쓰시 | 쇼주라이고지 (聖衆来迎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45.5 센티미터 (4 ft 9.3 in) by 82.7 센티미터 (2 ft 8.6 in) | 북위 35° 04′ 21″ 동경 135° 53′ 09″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야정 | Hōju-in (宝寿院) | 166.4 센티미터 (5 ft 5.5 in) by 88.8 센티미터 (2 ft 11.0 in) | 북위 34° 12′ 53″ 동경 135° 34′ 40″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다이시정 | 에이후쿠지 (叡福寺) | 99.9 센티미터 (3 ft 3.3 in) by 50.7 센티미터 (1 ft 8.0 in) | 북위 34° 31′ 07″ 동경 135° 38′ 23″ | [5]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14세기 후반 | 니시오시 | Yōju-ji (養寿寺) 소유; 이와세 문고 (니시오시 이와세 문고) 소장 | 현 지정 문화재 | ![]() | 101.0 센티미터 (3 ft 3.8 in) by 56.0 센티미터 (1 ft 10.0 in) | 북위 34° 52′ 28″ 동경 137° 03′ 14″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白衣観音像 | 고려 후기 | 고베시 | 다이산지 (고베시) | 일본 중요문화재 | ![]() | 109.2 센티미터 (3 ft 7.0 in) by 56.7 센티미터 (1 ft 10.3 in) | 북위 34° 41′ 47″ 동경 135° 04′ 01″ | [3] |
수월관음도 水月観音菩薩図 | 14세기 | 서울특별시 | 리움미술관 | 보물 제926호 | ![]() | 119.2 센티미터 (3 ft 10.9 in) by 59.8 센티미터 (1 ft 11.5 in) | 북위 37° 32′ 17″ 동경 126° 59′ 5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히토요시시 | Ganjō-ji (願成寺) | 106.6 센티미터 (3 ft 6.0 in) by 48.6 센티미터 (1 ft 7.1 in) | 북위 32° 13′ 05″ 동경 130° 46′ 21″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나라시 | 나라 국립박물관 | ![]() | 163.0 센티미터 (5 ft 4.2 in) by 84.7 센티미터 (2 ft 9.3 in) | 북위 34° 41′ 01″ 동경 135° 50′ 1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케임브리지 | 하버드 미술관 | 158.3 센티미터 (5 ft 2.3 in) by 82.1 센티미터 (2 ft 8.3 in) | 북위 42° 22′ 27″ 서경 71° 06′ 51″ | [1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14세기 전반 | 뉴욕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화엄경에 선재동자와의 만남 (우측 하단)이 기술되어 있음 | ![]() | 114.5 센티미터 (3 ft 9.1 in) by 55.6 센티미터 (1 ft 9.9 in) | 북위 40° 46′ 45″ 서경 73° 57′ 47″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효고현) | 개인 소장 | 163.9 센티미터 (5 ft 4.5 in) by 61.0 센티미터 (2 ft 0 in) | [1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후쿠오카현) | 108.5 센티미터 (3 ft 6.7 in) by 57.1 센티미터 (1 ft 10.5 in) | [1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14세기 | 쾰른 | 쾰른 동아시아 미술관 | ![]() | 98.0 센티미터 (3 ft 2.6 in) by 55.0 센티미터 (1 ft 9.7 in) | 북위 50° 56′ 06″ 동경 6° 55′ 3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오카야마현) | 개인 소장 | 143.8 센티미터 (4 ft 8.6 in) by 77.2 센티미터 (2 ft 6.4 in) | [12]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오카야마현) | Chōraku-ji (長楽寺) | 152.3 센티미터 (5 ft 0 in) by 86.5 센티미터 (2 ft 10.1 in) | [12] | |||
견본채색 수월관음도 絹本著色楊柳観音像 | 돗토리시 | 지즈정 부조지 (부조지) 소유; 돗토리 현립박물관에 보관됨 | 일본 중요문화재 | ![]() | 106.0 센티미터 (3 ft 5.7 in) by 54.6 센티미터 (1 ft 9.5 in) | 북위 35° 30′ 30″ 동경 134° 14′ 10″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사쿠라이시 | 하세데라 | 99.0 센티미터 (3 ft 3.0 in) by 52.5 센티미터 (1 ft 8.7 in) | 북위 34° 32′ 09″ 동경 135° 54′ 25″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려 후기 | 파리 | 기메 박물관 | ![]() | 105.0 센티미터 (3 ft 5.3 in) by 58.0 센티미터 (1 ft 10.8 in) | 북위 48° 51′ 54″ 동경 2° 17′ 37″ | [3]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14세기 중반 | 워싱턴 D.C. | 프리어 미술관 | ![]() | 98.3 센티미터 (3 ft 2.7 in) by 47.7 센티미터 (1 ft 6.8 in) | 북위 38° 53′ 17″ 서경 77° 01′ 39″ |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수월관음도 水月観音像 | 고려 후기 | 도쿄도 | 세이카도 문고 미술관 | 북위 35° 37′ 21″ 동경 139° 37′ 09″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가마쿠라시 | 켄초지 | 141.5 센티미터 (4 ft 7.7 in) by 77.2 센티미터 (2 ft 6.4 in) | 북위 35° 19′ 54″ 동경 139° 33′ 18″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고야정 | Daitoku-in (大徳院) | 143.8 센티미터 (4 ft 8.6 in) by 77.2 센티미터 (2 ft 6.4 in) | [5] | ||||
수월관음도 楊柳観音像 | ![]() | 99.0 센티미터 (3 ft 3.0 in) by 49.0 센티미터 (1 ft 7.3 in) | [5] | |||||
수월관음도 絹本着色楊柳観音坐像 | 14세기 중반 | 시모노세키시 | 고잔지 (시모노세키시) 소유; 시모노세키시 조후 박물관 (시모노세키시 조후 박물관) 소장 | 현 지정 문화재 | ![]() | 146.9 센티미터 (4 ft 9.8 in) by 85.8 센티미터 (2 ft 9.8 in) | 북위 33° 59′ 44″ 동경 130° 58′ 56″ | |
수월관음도 水月観音図 | 고려 후기 | 용인시 |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 보물 제1426호 | ![]() | |||
관음도 観音像 | 고려 후기 | 기후현 | Tōkō-ji (東光時) | 109.2 센티미터 (3 ft 7.0 in) by 53.7 센티미터 (1 ft 9.1 in) | [5] | |||
백의관음도 白衣観音像 | 도쿄도 | 일본 문화청 | 99.0 센티미터 (3 ft 3.0 in) by 40.3 센티미터 (1 ft 3.9 in) | [5] | ||||
견본채색 백의관음도 絹本著色白衣観音図 | 1377 | 나라시 | 나라 국립박물관 | 풀이 우거진 바위에 앉아 흰 옷을 입고 있음; 대일경 5장에는 흰색이 "순수한 깨달음의 열망의 흰색"이라고 명시됨; 우측 상단에 稽首淨聖甘露除焔 | 眞大依怙普施福縁 | 丁巳仲夏 | 壽峯海燁謹題 먹 글씨가 있음; 간지에 따르면 丁巳는 1377년으로 거슬러 올라감; 고려, 원, 또는 명 시대의 작품; 일본 중요문화재[17][18] | ![]() | 99.1 센티미터 (3 ft 3.0 in) by 40.3 센티미터 (1 ft 3.9 in) | 북위 34° 41′ 01″ 동경 135° 50′ 12″ | |
관음도 | 14세기 | 클리블랜드 | 클리블랜드 미술관 | ![]() | 155.0 센티미터 (5 ft 1.0 in) by 51.4 센티미터 (1 ft 8.2 in) | 북위 41° 30′ 32″ 서경 81° 36′ 41″ | ||
천수천안관음도 千手観音図 | 14세기 | 서울특별시 | 리움미술관 | ![]() | 93.8 센티미터 (3 ft 0.9 in) by 51.2 센티미터 (1 ft 8.2 in) | 북위 37° 32′ 17″ 동경 126° 59′ 55″ | ||
지장보살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21.0 센티미터 (8.3 in) by 12.0 센티미터 (4.7 in) | [12] | ||||
지장보살 地藏菩薩像 | 후쿠오카시 | 젠도지 (후쿠오카시) (젠도지) | 시 지정 문화재 | ![]() | 111.0 센티미터 (3 ft 7.7 in) by 43.5 센티미터 (1 ft 5.1 in) | 북위 33° 35′ 58″ 동경 130° 24′ 38″ | [19] | |
지장보살 地藏菩薩像 | 고려 후기 | 도쿄도 | 네즈 미술관 | ![]() | 155.4 센티미터 (5 ft 1.2 in) by 87.2 센티미터 (2 ft 10.3 in) | 북위 35° 39′ 44″ 동경 139° 43′ 02″ | [3] | |
지장보살 地藏菩薩像 | 14세기 | 나고야시 | 도쿠가와 미술관 | ![]() | 105.1 센티미터 (3 ft 5.4 in) by 43.9 센티미터 (1 ft 5.3 in) | 북위 35° 11′ 02″ 동경 136° 56′ 00″ | ||
지장보살 地藏菩薩図 | 14세기 | 나라시 | 주구지 | 102.5 센티미터 (3 ft 4.4 in) by 40.0 센티미터 (1 ft 3.7 in) | 북위 34° 36′ 54″ 동경 135° 44′ 22″ | [12] | ||
지장보살 地藏菩薩図 | 14세기 | (시가현) | Hōren-ji (法蓮寺) | 93.0 센티미터 (3 ft 0.6 in) by 38.5 센티미터 (1 ft 3.2 in) | [12] | |||
견본채색 지장보살상 絹本著色地蔵菩薩像 | 14세기 | 니시오시 | Yōju-ji (養寿寺) 소유; 이와세 문고 (니시오시 이와세 문고) 소장 | 현 지정 문화재 | ![]() | 101.0 센티미터 (3 ft 3.8 in) by 56.0 센티미터 (1 ft 10.0 in) | 북위 34° 52′ 28″ 동경 137° 03′ 14″ | |
피모지장보살도 絹本著色被帽地蔵菩薩像 | 가마쿠라시 | 엔가쿠지 | 일본 중요문화재 | ![]() | 239.4 센티미터 (7 ft 10.3 in) by 130.0 센티미터 (4 ft 3.2 in) | 북위 35° 20′ 12″ 동경 139° 32′ 52″ | [5] | |
지장도 地藏図 | 14세기 | 서울특별시 | 리움미술관 | 보물 제784호 | ![]() | 104.0 센티미터 (3 ft 4.9 in) by 55.3 센티미터 (1 ft 9.8 in) | 북위 37° 32′ 17″ 동경 126° 59′ 55″ | |
지장보살 | 14세기 전반 | 뉴욕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 84.5 센티미터 (2 ft 9.3 in) by 36.8 센티미터 (1 ft 2.5 in) | 북위 40° 46′ 45″ 서경 73° 57′ 47″ | ||
지장보살 | 13세기 후반/14세기 초반 | 워싱턴 D.C. | 아서 M. 새클러 갤러리 | ![]() | 107.6 센티미터 (3 ft 6.4 in) by 49.4 센티미터 (1 ft 7.4 in) | 북위 38° 53′ 17″ 서경 77° 01′ 37″ | 보관됨 2015-09-30 - 웨이백 머신 | |
지장보살도 | 14세기 후반 | 보스턴 | 보스턴 미술관 | ![]() | 92 센티미터 (3 ft 0 in) by 40 센티미터 (1 ft 4 in) | 북위 42° 20′ 21″ 서경 71° 05′ 39″ | ||
견본채색 지장보살 시왕도 絹本著色地蔵十王像 | 고려 후기 | 가사오카시 | Nikkō-ji (日光寺) | 일본 중요문화재 | ![]() | 117.1 센티미터 (3 ft 10.1 in) by 59.2 센티미터 (1 ft 11.3 in) | 북위 34° 27′ 08″ 동경 133° 30′ 41″ | 보관됨 2016-03-04 - 웨이백 머신 |
지장보살 시왕도 地蔵十王図 | 고려 후기 | 도쿄도 | 세이카도 문고 미술관 | ![]() | 143.5 센티미터 (4 ft 8.5 in) by 55.9 센티미터 (1 ft 10.0 in) | 북위 35° 37′ 21″ 동경 139° 37′ 09″ | ||
지장보살 시왕도 地蔵十王像 | 고려 후기 | 서울특별시 | 호림박물관 | 보물 제1048호 | ![]() | 111.1 센티미터 (3 ft 7.7 in) by 60.4 센티미터 (1 ft 11.8 in) | 북위 37° 28′ 51″ 동경 126° 55′ 06″ | 보관됨 2018-06-25 - 웨이백 머신 |
지장보살 시왕도 地蔵十王図 | 고려 후기 | 베를린 | 베를린 아시아 미술관 | ![]() | 109.0 센티미터 (3 ft 6.9 in) by 56.8 센티미터 (1 ft 10.4 in) | 북위 52° 27′ 26″ 동경 13° 17′ 35″ | [20] | |
지장보살 시왕도 地蔵十王図 | 고려 후기 | 사가에시 | Kezō-in (華蔵院) | 시 지정 문화재 | ![]() | 115.2 센티미터 (3 ft 9.4 in) by 59.1 센티미터 (1 ft 11.3 in) | 북위 38° 24′ 37″ 동경 140° 15′ 07″ | |
관음도와 지장보살 観音地蔵像 | 고려 후기 | 쓰루가시 | 사이후쿠지 (쓰루가시) (사이후쿠지) | 99.0 센티미터 (3 ft 3.0 in) by 52.2 센티미터 (1 ft 8.6 in) | 북위 35° 39′ 25″ 동경 136° 01′ 56″ | [5] | ||
관음도 | 다카토리정 | 미나미홋케지 (미나미홋케지) | 105.9 센티미터 (3 ft 5.7 in) by 36.4 센티미터 (1 ft 2.3 in) | 북위 34° 25′ 35″ 동경 135° 48′ 36″ | [6] | |||
지장보살 | 다카토리정 | 미나미홋케지 (미나미홋케지) | 105.9 센티미터 (3 ft 5.7 in) by 36.4 센티미터 (1 ft 2.3 in) | 북위 34° 25′ 35″ 동경 135° 48′ 36″ | [6] | |||
관음도와 지장보살 観音地蔵像 Kannon Jizō zō | 고려 후기 | 구조시 | Ana-in (阿名院) | 90.2 센티미터 (2 ft 11.5 in) by 45.0 센티미터 (1 ft 5.7 in) | [12] | |||
아미타여래도과 지장보살 | 14세기 전반 | 뉴욕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비단 양면에 안료를 칠함; 이 도상의 유일한 현존 예시; 관음도를 함께 그린 아미타삼존불상이 더 일반적 | ![]() | 94.6 센티미터 (3 ft 1.2 in) by 55.6 센티미터 (1 ft 9.9 in) | 북위 40° 46′ 45″ 서경 73° 57′ 47″ | |
지장보살삼존도 地藏三尊図 | 고려 후기 | 서울특별시 | 호림박물관 | 보물 제1287호 | ![]() | 98.8 센티미터 (3 ft 2.9 in) by 50.2 센티미터 (1 ft 7.8 in) | [3] | |
지장보살 만다라 絹本著色地蔵曼荼羅図 | 고려 후기/조선 초기 | 히가시카가와시 | 요다지 (요다지) | 지장보살 아래에 여섯 보살과 두 인물이 원을 이루고 있음; 원, 고려, 또는 조선 초기 작품; 일본 중요문화재 | ![]() | 128.0 센티미터 (4 ft 2.4 in) by 76.5 센티미터 (2 ft 6.1 in) | 북위 34° 14′ 30″ 동경 134° 19′ 18″ | [21] |
지장보살 만다라 地藏曼荼羅図 | 104.3 센티미터 (3 ft 5.1 in) by 55.6 센티미터 (1 ft 9.9 in) | [5] | ||||||
석가모니 삼존불 및 십육아라한 석가삼존십육나한도 釈迦三尊十六羅漢図 | 14세기 | 서울특별시 | 리움미술관 | ![]() | 93.0 센티미터 (3 ft 0.6 in) by 46.2 센티미터 (1 ft 6.2 in) | 북위 37° 32′ 17″ 동경 126° 59′ 55″ | ||
마리치 摩利支天像 | 고려 후기 | 교토시 | Shōtaku-in (聖澤院) | 일본 중요문화재 | ![]() | 97.4 센티미터 (3 ft 2.3 in) by 54.0 센티미터 (1 ft 9.3 in) | 북위 35° 01′ 22″ 동경 135° 43′ 09″ | |
제석천 帝釈天像 | 고려 후기 | 도쿄도 | 세이카도 문고 미술관 | 북위 35° 37′ 21″ 동경 139° 37′ 09″ | ||||
견본 종이 채색 데바닷타상 紙本著色提婆達多像 | 요코하마시 | 소지지 | 일본 중요문화재 | ![]() | 150.2 센티미터 (4 ft 11.1 in) by 91.6 센티미터 (3 ft 0.1 in) | 북위 35° 30′ 25″ 동경 139° 40′ 12″ |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견본채색 주야신상 絹本著色主夜神像 | 고려 말기 | 쓰루가시 | 사이후쿠지 (쓰루가시) (사이후쿠지) | 일본 중요문화재 | ![]() | 161.0 센티미터 (5 ft 3.4 in) by 91.0 센티미터 (2 ft 11.8 in) | 북위 35° 39′ 25″ 동경 136° 01′ 56″ | |
견본채색 불열반도 絹本著色仏涅槃図 | 히라도시 | 사이쿄지 (히라도시) (사이쿄지) | 일본 중요문화재 | ![]() | 북위 33° 21′ 50″ 동경 129° 33′ 10″ | |||
오백아라한 五百羅漢図 | 교토시 | 지온인 | 북위 35° 00′ 22″ 동경 135° 47′ 02″ | [6] | ||||
아라한 15 羅漢図 | 13세기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53.5 센티미터 (1 ft 9.1 in) by 39.5 센티미터 (1 ft 3.6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23 五百羅漢図 | 1235 | 도쿄도 | 도쿄 국립박물관 | ![]() | 60.2 센티미터 (1 ft 11.7 in) by 41.6 센티미터 (1 ft 4.4 in) | 북위 35° 43′ 08″ 동경 139° 46′ 35″ | ||
아라한 五百羅漢図 | 1235 | 도쿄도 | 이데미쓰 미술관 | 59.0 센티미터 (1 ft 11.2 in) by 41.3 센티미터 (1 ft 4.3 in) | 북위 35° 40′ 36″ 동경 139° 45′ 39″ | [3] | ||
아라한 92 羅漢図 | 1235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64.7 센티미터 (2 ft 1.5 in) by 42.2 센티미터 (1 ft 4.6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125 羅漢図 | 1235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57.0 센티미터 (1 ft 10.4 in) by 50.2 센티미터 (1 ft 7.8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145 羅漢図 | 1236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59.2 센티미터 (1 ft 11.3 in) by 42.0 센티미터 (1 ft 4.5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170 羅漢図 | 1236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53.9 센티미터 (1 ft 9.2 in) by 37.7 센티미터 (1 ft 2.8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329 羅漢図 | 1235 | 한국 | 일람관 | ![]() | 59.0 센티미터 (1 ft 11.2 in) by 42.0 센티미터 (1 ft 4.5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357 羅漢図 | 1235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52.5 센티미터 (1 ft 8.7 in) by 36.8 센티미터 (1 ft 2.5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아라한 427 羅漢図 | 1236 | 서울특별시 | 국립중앙박물관 | ![]() | 58.2 센티미터 (1 ft 10.9 in) by 40.4 센티미터 (1 ft 3.9 in) | 북위 37° 31′ 24″ 동경 126° 58′ 47″ | [3] | |
오백아라한 五百羅漢図 | 1235 | 55.1 센티미터 (1 ft 9.7 in) by 38.1 센티미터 (1 ft 3.0 in) | [5] | |||||
아라한 | 1235 | 클리블랜드 | 클리블랜드 미술관 | 500 아라한을 묘사한 두루마리의 약 10개 알려진 조각 중 하나로, 족자로 재표장됨 | ![]() | 54.29 센티미터 (1 ft 9.37 in) by 40.64 센티미터 (1 ft 4.00 in) | 북위 41° 30′ 32″ 서경 81° 36′ 41″ | |
미륵 삼존불 | Hōkyō-ji (寳鏡寺) | [6] | ||||||
화엄정토도 | 13세기 | 하단에 다섯 주불, 구름 위에 52 보살이 내려옴; 비단에 먹, 채색, 금으로 그림; 2003년 크리스티스에서 판매됨 | ![]() | 131.1 센티미터 (4 ft 3.6 in) by 58.5 센티미터 (1 ft 11.0 in) | ||||
진광왕, 시왕 중 첫 번째 왕 | 14세기 | 케임브리지 | 하버드 미술관 | 우측 상단 명문에 第一秦廣王 (제1 진광왕)이라고 적혀 있음 | ![]() | 61.5 센티미터 (2 ft 0.2 in) by 45 센티미터 (1 ft 6 in) | 북위 42° 22′ 27″ 서경 71° 06′ 51″ | |
오관왕, 시왕 중 네 번째 왕 | 14세기 | 뉴욕 | 클리블랜드 미술관 | 1992년 크리스티스에서 판매됨; 클리블랜드 미술관 2019.224[22] | ![]() | 61.2 센티미터 (2 ft 0.1 in) by 45 센티미터 (1 ft 6 in) | ||
염라왕, 시왕 중 다섯 번째 왕 | 14세기 | 뉴욕 | 개인 소장 | 1992년 크리스티스에서 판매됨 | ![]() | 61.2 센티미터 (2 ft 0.1 in) by 45 센티미터 (1 ft 6 in) | ||
평등왕, 시왕 중 여덟 번째 왕 | 14세기 | 뉴욕 | 개인 소장 | 1992년 크리스티스에서 판매됨 | ![]() | 61.2 센티미터 (2 ft 0.1 in) by 45 센티미터 (1 ft 6 in) | ||
오도전륜왕, 시왕 중 열 번째 왕 | 14세기 | 뉴욕 | 개인 소장 | 1992년 크리스티스에서 판매됨 | ![]() | 61.2 센티미터 (2 ft 0.1 in) by 45 센티미터 (1 ft 6 in) | ||
닫기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