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곽충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곽충구(郭忠求, 1950년 10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언어학자이다. 한국어 음운론과 방언학 연구로 저명하다. 문학박사(서울대학교, 1991년)이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 명예교수이다. 충청남도 아산군 출신으로 본관은 현풍.
2013년에 제16회 일석국어학상을,[2] 2020년에 제1회 학범 박승빈 국어학상의 저술 부문을 수상했다.[1]
생애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태어나고 머지않아 한국전쟁이 발발하여 잠시 연기군으로 피란을 갔다가 고향에서 중학교를 졸업한 후 상경했다. 고전 문학과 고문에 관심이 있었고, 고등학교 담임 선생의 권유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 진학하였다.[3]
《한국언어지도집》(1993년) 저술에 관여했으며, 1995년에 훈춘시 징신(敬信)에서, 1998년에는 공동 연구로서 중국 옌볜 조선족 자치구의 조선족 마을에 방문하여 육진 방언 현지 조사에 참여하였다.[4] 그 뒤로도 1995년부터 두만강 유역에서 수 차례의 현지 방언 채집을 실시하여 24년만인 2019년에 3만 2천여 표제어를 실은 《두만강 유역의 조선어 방언 사전》를 출간했다.[5] 현지조사 초기에는 간첩으로 오해를 받은 적도 있다고 한다.
2016년에 정년을 맞이해 명예교수가 되었다.[3]
Remove ads
주요 저서
- 《한국언어 자료집》(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1987년)
- 《한국언어 지도집》(대한민국학술원/성지문화사, 1993년)
- 《함북육진방언의 음운론》(국어학회, 1994년)
- 《두만강 유역의 조선어 방언 사전》(태학사, 2019년)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