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아산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산군(牙山郡)은 원래 아산시 북부의 염치읍·음봉면·둔포면·영인면·인주면 지역을 관할했던 이다. 오늘날의 아산시의 영역은 1914년에 이 지역과 온양군, 신창군과 합병해 갖추어졌다.

유래

아산이라는 이름은 백제시대의 이름인 아술(牙述)에서 비롯되었다.

  • 음봉(陰峯)면, 인주(仁州)면, 영인(寧仁)면은 아산의 고호(古號)에서 유래했다. 그외에도 아산은 음잠(陰岑), 아주(牙州)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 영인면이 옛 아산군의 치소이다.
  • 둔포면(屯浦面)은 소금배가 드나드는 포구에서 유래했다.

역사

1914년 이전

  • 마한시대에 염로국이 있던 지역이다. 9년(온조왕 27년)에 마한이 백제에 합병되면서 백제의 영역이 되었다.
  • 백제의 행정체제가 정비되면서 아술현(牙述縣)이 설치되었다.
  • 나당 전쟁 중인 671년(문무왕 11년)에 탕정주에 속했다가 나중에 681년 전국의 행정체제를 9주 5소경으로 제편하면서 탕정주가 웅천주에 합병되면서 주치가 탕정군으로 환원되자 아술현은 그 관할현으로 들어갔다.
  • 757년(경덕왕 16년) 행정체제 개편으로 음봉현(陰峯縣)으로 개명했다.
  • 고려 초기에 인주(仁州)가 되었다.
  • 1005년(고려 목종 8년) 주가 폐지되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아주현(牙州縣)으로 개칭하고 감무를 두었다.
  • 1413년(조선 태종 13년) 아산현(牙山縣)이 됨으로써 지금의 아산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 1895년 23부府제로 행정구역이 재편되면서 홍주부 관할 아산군이 되었다가 이듬해 13도제로 환원되면서 충청남도에 편입되었다.

1914년 이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12면 - 영인면, 음봉면, 인주면, 염치면, 둔포면, 배방면, 온양면, 송악면, 탕정면, 학성면, 초정면, 도고면
대통령령 제11027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Remove ads

주요인물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