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광양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광양군
Remove ads

광양군(光陽郡)은 전라남도 광양시의 이전 행정 구역으로, 1995년 1월 1일 동광양시와 통합하여 도농복합도시가 되었다.[1]

역사

  • 고려시대 940년(태조 23년) 지금 이름인 광양(光陽)으로 개명하였다.
  • 983년(성종 2년) 전국에 12목(牧)을 두면서 승평군이 승주목(昇州牧)으로 승격되었다.
  • 1108년(예종 3년) 또는 1172년(명종 2년) 감무를 배치하면서 처음으로 순천에서 분리되었다. 그로 인해 총 18곳의 향·소·부곡이 광양현의 관할로 들어갔다.[2]
  • 조선시대 1392년 조선왕조가 건국되면서 감무가 현감으로 바뀜으로서 완전히 독립된 행정단위가 되었다.
  • 1597년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군이 광양읍성을 점령했다가 전라병사 이광악, 구례현감 이응서 등의 조선군에 탈환, 이로 인해 읍 전체가 폐허화되어 순천도호부로 일시 통폐합되었다가 복구되었다.
  • 1600년 ~ 1604년 행정관의 실수로 읍이 혁파당했다가 복구되었다.
  • 면리제가 확립되면서 광양현 내에 12개면이 구획되었다. 1789년 기준 광양현인구는 3,706호구 인구17,586명, 여자쪽이 남자보다 약간 많았다.
12면 - 우장면(牛藏面), 사라곡면(沙羅谷面) 또는 사곡면(四谷面), 골약면(骨若面) 또는 칠골약면(七骨若面), 옥곡면(玉谷面), 진상면(津上面), 진하면(津下面), 월포면(月浦面), 다압면(多鴨面), 칠성면(七星面), 인덕면(仁德面), 내면(內面), 옥룡면(玉龍面)
부령 제111호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
9면 : 광양면, 봉강면, 인덕면, 옥룡면, 골약면, 옥곡면, 진상면, 다압면, 진월면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