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짝짓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짝짓기
Remove ads

짝짓기(交尾·交接, copulation)는 수컷이 암컷의 생식관 속으로 정자를 직접 유입시키는 성적 행위를 일컫는다.[1][2] 이것은 교배의 한 양상이다. 여러 수생 동물들이 체외수정을 하는 반면, 체내수정오르도비스기 후기에 액체 매질에 있는 배우자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필요성에서 발달한 것이다. 여러 척추동물들(모든 파충류, 일부 어류, 대부분의 들)의 체내수정은 총배설강 교접(cloacal kiss) 또는 반음경과의 교접으로 일어나는 한편, 대부분의 포유류들은 과 교접하며, 많은 초기 척추동물들은 체외수정으로 유성 번식을 한다.[3][4]

거미와 곤충

거미곤충으로 자주 혼동되지만 이들은 곤충이 아니고, 거미류에 속한다.[5][6] 거미는 짝짓기를 하기 전에 수컷이 작은 거미집을 돌리다가 위에 사정한다. 더듬이다리로 정자 덩이에 거미줄을 덮어 정포처럼 저장해 암컷의 생식기로 이를 옮긴다. 암컷은 저정낭에 정자를 저장한다.[7]

Thumb
나비 교미

원시적인 곤충의 경우, 수컷은 기질 위에 특수 구조물로 저장하는 정포를 내놓는데, 구애를 함으로써 암컷이 생식공으로 정포를 붙이도록 유도하지만 실제 교접 행위는 일어나지 않는다.[8][9] 잠자리 같이 거미와 비슷한 생식을 하는 계통군의 경우, 수컷은 암컷의 생식공으로 제2 생식기를 통해 정자를 내보낸다. 이 생식기는 제2배마디에 일련의 변형된 배판이다.[10] 곤충의 진보한 계통군의 경우, 수컷은 정자(또는 정협)를 암컷의 생식관으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 배끝마디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기를 이용한다.[11]

Remove ads

포유류

요약
관점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포유류의 짝짓기 자세

성적 행위는 보상 동기('결여감'), 기쁨('호감')으로 알려진 보상 성관계, 그리고 포만감('억제')과 관련된 행동 상태로 분류될 수 있는데,[12] 이러한 행동 상태는 포유류에게서 보상 기반 성적 학습 및 여러 신경화학물질에서(예: 도파민 - 성 욕구, 노르에피네프린 - 성적 각성, 옥시톡신·멜라노코르틴 - 성적 매력)의 변동, 생식샘 호르몬 주기로 인해 조절되며 일부 포유류의 경우에서는 성 페로몬모터 반사(예: 척추전만행동)에 영향을 받는다.[12][13]

이러한 행동 상태는 성반응 주기의 단계와 연관이 있다.

동기(흥분기) → 성관계(고조 및 절정기) → 포만감(불응기)[12]

성 학습(연합학습의 한 형태)은 동물이 신체적 특징, 성격, 맥락적 단서 및 기타 자극을 생식기로 인한 성적 쾌락과 연관짓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12][13] 일단 형성되면 이러한 연관성은 성적 욕구와 성적 호감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포유류 암컷들의 경우 짝짓기 행동은 척추전만이라는 모터 성적 반응을 비롯한 여러 고유의 신경생물학적 과정으로 제어받는다.[14] 수컷의 경우, 몇몇 학습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짝짓기 행동이 좀 더 복잡해지지만, 고유의 과정들(로의 음경삽입 재통제, 골반의 운율적 운동, 암컷 페로몬의 감지)로 인해 짝짓기에 능숙해진다. 이러한 고유 과정을 이성 교미(heterosexual copulation)라고 한다.[15] 암컷의 척추전만행동은 사람과에서 이차적으로 변했으며 사람에게는 기능이 멈춰있다.[16] 포유류는 보통 정상위·후배위(ventro-dorsal posture)로 짝짓기를 진행한다.[17][18]

대부분의 포유류들은 성 페로몬을 비롯한 여러 페로몬들을 감지하는 서비기관을 가지고 있다.[19] 사람은 이 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도, 성인은 후각상피에 있는 추정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감지할 수 있는 특정 포유류 페로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note 1][19]성 페로몬은 일부 포유류의 성 행위를 수정하는 데 분명히 역할을 하지만, 일반적인 페로몬 검출 능력과 인간의 성 행위에 대한 페로몬의 관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2]

짝짓기 시간은 포유류 종마다 크게 다르며,[23] 체질량과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는데, 대형 포유류가 소형 포유류보다 이 행위를 더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24] 짝짓기 시간도 포유류에 있는 음경뼈의 길이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25]

포유류 수컷은 짝짓기 도중 음경을 통해 정액을 암컷의 생식관으로 사정한다.[26][27] 사정은 보통 사람, , 그리고 유제류가 단 한 번의 음경삽입 후에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포유류들 종은 여러 번의 음경삽입 후에야 발생한다.[28][29]

짝짓기를 할 때, 자발적으로 배란을 하지 않는 포유류 종에게서 유도배란이 일어날 수 있다.[30]

Remove ads

내용주

  1. 사람과 다른 동물에 있는 후각상피로 표현되는 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TAAR)는 특정 페로몬을 포함하는 휘발성 아민 취기물질을 감지하는 후각수용체로서 작용하는데,[20][21] 이 TAAR은 사회적 신호의 후각감지에 관여하는 페로몬 수용체의 한 종류로 추정된다.[20][21]

    비인간 동물을 비롯한 여러 연구의 검토에 따르면, TAAR은 후각상피에서 효능제에 대하여 매력적 또는 혐오적 행동 반응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20] 또한 TAAR로 촉발하는 행동 반응이 종마다 다른 점에 주목한다.[20] 예를 들어, TAAR5는 트리메틸아밀로 생쥐에게 매력을 주며 시궁쥐에게 혐오감을 준다.[20] 사람의 경우, hTAAR5는 hTAAR5 효능제로 작용하며 사람에게 혐오감을 주는 구역질 나는 비린내를 가진 것으로 알려진 트리메틸아민에 대한 혐오감을 매개하는 것으로 추정되나,[20][22] hTAAR5는 사람에게서 트리메틸아민 냄새로 반응하는 후각수용체일 정도만이 아니다.[20][22] 2015년 12월년 기준, hTAAR5 매개 트리메틸아민 혐오성은 발표된 연구에서 조사되지 않았다.[22]

참고주

참고 서적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