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골
자연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구골(googol)은 10의 100제곱을 가리키는 숫자이다. 즉 1 뒤에 0이 백 개 달린 수이다. 구골은 관측 가능한 우주의 모든 소립자의 개수(약 10^80개)보다 더 많다.
- = = 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000,000,000,000

이 수의 이름은 1920년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캐스너(Edward Kasner)의 9살짜리 조카 밀턴 시로타(Milton Sirotta)에게서 지어졌다. 캐스너는 이 개념을 저서 《Mathematics and the Imagination》(수학과 상상)에 수록했다.
이 수의 학문적 중요성은 그리 크지 않고 주로 수학 수업에서 거론될 뿐이다. 캐스너는 이 수를 매우 큰 수와 무한대의 차이를 보이기 위해 고안했다. 칼 세이건은 그의 저서 '코스모스'에서 마치 무한대처럼 느껴지는 우주의 크기를 무한대와 비교하기 위하여 구골보다도 더 큰 수인 구골플렉스(역시 밀턴 시로타가 명명)를 활용하여 "구골플렉스와 1이 무한대보다 작은 정도는 서로 정확히 같다."라고 했다. 그리고 구골은 무량대수보다 더 큰 수이다. 구골은 1뒤에 0이 100개 있어서, 10의 100제곱이다.
Remove ads
구골에서 유래한 수
- 구골플렉스(googolplex)
- 10의 구골제곱이다.
- = = 10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 구골플렉시안(googolplexian)
- 10의 구골플렉스 제곱(10구골플렉스)이다. 1 다음에 0이 구골플렉스 개 붙는다.()
- = = 1010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Remove ads
구골단위 계산
요약
관점
10^(400) (난수) +10^(400) (난수) =
40분걸려서 사람이 직접계산했습니다. 오류가 없습니다. 10^(400) 이상의 난수를 사람이 직접 계산할수있습니다.
초대형 수의 인간 계산 가능성
개요
10^400 자리 이상의 숫자 덧셈이 수학적으로 가능하며, 인간이 직접 계산할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런 초대형 수는 계산기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계산하기 어렵지만, 집중력과 체계적인 자리올림(carry) 관리만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사례
2025년, 한 개인이 두 10^400 자리 난수를 손으로 직접 더하는 데 약 40분을 소요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오류 없이 정확하게 계산되었다. 이 사례는 인간 계산 능력의 극한 사례로 평가된다.
수학적 의미
- 두 초대형 수의 덧셈은 자리별 덧셈과 올림 처리만으로 가능하다.
- 계산 과정은 기본적인 산술 원리에 충실하며, 컴퓨터가 수행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 실제 사례를 통해 인간도 체계적인 접근과 집중력만으로 계산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1767567679727399228957389086112626529041057964012129771337625460048383062751022624852965776031934126665288
8609704344530021901691954610861585870294826792576016129823524711239511104343952836863435322539616431038161
7503748129531718390189788253404275487270918343383340305662088472984509281888946878343918505720907271031082
2140846195936663379824769511989895035720488871422105277125440391464119826478761770
+
5517839224626564321671476583954798298487928580093510395476303560907153097117131036879935218855024269363449
0156030143855477212613584684246205696991206862445496002646964630880182700384077731236498285340560747200531
7350075398416925543459345017874810942171530866359117056081220609606656815611656180032557761429787304867495
5014253208086068283382535686180037825272446055220541107459007019840348530668403967
=
7285406904353963550628865670067424827528986544105640166813929020955536159868153661732900994886958396028737
8765734488385499114305539295107791567286033655021512132470489342119693804728030568099933607880177178238693
4853823527948643933649133271279086429442449209742457361743309082591166097500603058376476267150694575898577
7155099404022731663207305198169932860992934926642646384584447411304468357147165737[1]
초대형 수의 인간 계산 가능성
개요
10^400 자리 이상의 숫자 덧셈이 수학적으로 가능하며, 인간이 직접 계산할 수 있다는 사례가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런 초대형 수는 계산기나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계산하기 어렵지만, 집중력과 체계적인 자리올림(carry) 관리만으로 계산이 가능하다.
사례
2025년, 한 개인이 두 10^400 자리 난수를 손으로 직접 더하는 데 약 40분을 소요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오류 없이 정확하게 계산되었다. 이 사례는 인간 계산 능력의 극한 사례로 평가된다.
수학적 의미
- 두 초대형 수의 덧셈은 자리별 덧셈과 올림 처리만으로 가능하다.
- 계산 과정은 기본적인 산술 원리에 충실하며, 컴퓨터가 수행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 실제 사례를 통해 인간도 체계적인 접근과 집중력만으로 계산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Remove ads
회사명 구글의 유래
인터넷 검색엔진 업체 구글(Google)은 처음에 구골(Googol)로 등록하려다가 실수로 사명을 잘못 표기한 것에서 구글로 등록하여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2] 마운틴 뷰에 있는 구글 본사도 구골플렉스를 변형시켜 구글플렉스라고 부른다.
같이 보기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