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미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구미시의 시내버스구미시를 관할하여 담당하는 시내버스이며, 운영 업체는 일선교통구미버스가 공동으로 배차하고 있다.

간략 정보 관리 주체, 차적지 ...

천연가스버스는 2007년에 처음 도입했으나, 부분적으로 디젤차량도 운용하고 있다. 2024년부터는 선기동 등지에 수소 충전소가 완공[1]되어 수소연료전지버스의 운행을 시작했다.

전기버스는 무선충전식 전기버스를 시범 운행한 적이 있었으나 잔고장으로 모두 조기에 대폐차됐으며, 일반적인 플러그인식 전기버스는 아직 없다. 2013년 8월 6일 무선충전 전기버스의 시범 운행을 개시하였고,[2] 2014년 3월 25일부터 정식으로 운행했다.[3] 하지만 운용 차량들 중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무선충전형은 잦은 잔고장으로 2020년 7월에 모두 조기 폐차됐으며, NEW BS110 무선충전형도 똑같은 이유로 2021년과 2022년에 모두 조기 폐차됐다. 경상북도 최초로 들어온 전기버스이지만 일반적인 플러그인 방식은 아니며, 경상북도 내에서는 포항코리아와이드포항에서 플러그인식을 2020년 7월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현재의 버스 체계는 2015년 8월 31일에 전면 개편된 체계이다.[4]

Remove ads

운임

자세한 정보 종류, 나이 ...
Remove ads

환승제도

대경선 연계 광역환승제 도입 전까지는 김천시와 더불어 하차 단말기 없이 최초 승차 시간을 기준으로 환승 기준을 적용했으며, 대경선 개통을 앞두고 환승 기준을 하차 시점으로 변경한다.

구미시 관내에 한하여 최초 승차 후 1시간 이내 2회 무료환승(좌석버스로 환승 시 일반버스와의 차액 지불)이 가능하다.

2013년 11월 1일부터 김천시와 광역환승 협약을 맺어 김천시의 시내버스와 무료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다.[6]

2015년에는 칠곡군과 협약을 맺어 2015년 12월부터 구미·김천·칠곡 광역환승으로 확대 시행한다.[7]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개통과 함께 기존 김천/칠곡 외 지역 버스와의 광역환승제를 실시한다.[8] 광역환승제 시행을 앞두고 하차단말기를 추가했으며, 환승 방식을 승차 시점에서 하차 시점으로 바꾸기로 했다. 동시에 시계외요금을 폐지했다.

Remove ads

구미시 차적의 버스 노선

요약
관점

비고란에 있는 지선 정보는 평일 및 토요일 기준이다.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본선의 운행 횟수, 지선 노선 종류 및 운행 횟수가 달라질 수 있다. 노선 번호 오른쪽에 녹색으로 표시한 노선은 일반버스 노선, 자색은 좌석버스 노선이다.

일반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좌석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왜관 방면 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김천 방면 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KTX 리무진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공단순환버스

1공단, 3공단, 4공단을 순환하는 공단순환버스는 2013년 12월 3일부터 운행을 개시하였다.[9]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학생 노선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구간 ...
Remove ads

운수 업체

갤러리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