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 기소된 인물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94년에서 2004년 사이에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ICTY)[1]는 161명을 기소했으며, 고란 하지치가 2011년 7월 20일 체포된 이후로는 도주 중인 기소자는 없다.[2] 이 문서는 기소된 사람과 소속, 혐의 내용, 사건 처분 내역을 나열한다. ICTY가 기소를 철회한 사람도 포함된다.
세르브계 보스니아 부대에서 싸운 크로아트계 보스니아인인 드라젠 에르데모비치와 크로아트족 출신으로 유고슬라비아 국가보안국 고위 관리였던 프랑코 시마토비치는 이 목록에서 종교 및 민족적 경계를 넘나든 유일한 기소자이다. 빌랴나 플라브시치는 유일한 여성 ICTY 기소자이다.
ICTY는 2017년 11월 22일 마지막 진행 중인 사건의 판결을 발표했다. 판결 결과 라트코 믈라디치는 종신형을 선고받았다.[3] 국제형사재판소 잔여업무처리기구는 2023년 5월 31일 마지막 항소 절차를 완료했다. 이후 진행 중인 재판은 없다.[4] 13명의 피고인은 다른 법원으로 이송되었는데[3] 그 중 11명은 유죄 판결을 받았고, 1명인 라힘 아데미는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다른 1명인 블라디미르 코바체비치는 2004년 재판에 참여가 불가능할 정도로 정신 이상 상태라고 판결되었다.
이 목록에는 161명이 나열되어 있다. 이 중 94명은 세르브인, 29명은 크로아트인, 9명은 알바니아인, 9명은 보슈냐크인, 2명은 마케도니아인, 2명은 몬테네그로인이다. 나머지는 민족이 불분명하거나 혐의가 철회되었다. 이 목록에는 유죄 판결을 받은 세르브인 62명, 유죄 판결을 받은 크로아트인 18명, 유죄 판결을 받은 보슈냐크인 5명, 유죄 판결을 받은 몬테네그로인 2명, 유죄 판결을 받은 마케도니아인 1명, 유죄 판결을 받은 알바니아인 1명이 있다.
Remove ads
기소자 목록
자세한 정보 소속, 사건명 ...
소속 | 사건명 | 이름 | 상태 | 유죄 혐의 | 재판 시작 | 최종 판결 | 결과 | 링크 | ||||
---|---|---|---|---|---|---|---|---|---|---|---|---|
G | H | W | C | 선고 | 날짜 | |||||||
스릅스카 공화국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스레브레니차 | 라트코 믈라디치 | IRMCT 선고 | ![]() |
![]() |
![]() |
2012년 5월 16일 | 종신형 | 2021년 6월 8일 | 형 집행 중. | MICT-13-56 | |
라도반 카라지치 | ![]() |
![]() |
![]() |
2009년 10월 26일 | 2019년 3월 20일 | 영국에서 형 집행 중.[5] | MICT-13-55 | |||||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 라슈바 계곡 | 즐라트코 알렉솝스키 | ICTY 선고 | ![]() |
1998년 1월 6일 | 7년 | 2000년 3월 24일 | 핀란드에서 형 복역. 2001년 11월 14일 조기 석방. | IT-95-14/1 | |||
티호미르 블라슈키치 | ![]() |
![]() |
1997년 6월 24일 | 9년 | 2004년 7월 29일 | 2004년 8월 2일 조기 석방. | IT-95-14 | |||||
미로슬라브 브랄로 | ![]() |
![]() |
![]() |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20년 | 2007년 4월 2일 | 스웨덴에서 형 집행 중.[6] | IT-95-17 | ||||
안토 푸룬지야 | ![]() |
1998년 6월 8일 | 10년 | 2000년 7월 21일 | 핀란드에서 형 복역. 2004년 8월 17일 조기 석방. | IT-95-17/1 | ||||||
다리오 코르디치 | ![]() |
![]() |
![]() |
1999년 4월 12일 | 25년 | 2004년 12월 17일 | 오스트리아에서 형 복역. 2014년 6월 6일 조기 석방. | IT-95-14/2 | ||||
마리오 체르케즈 | ![]() |
6년 | 형 복역 후 2004년 12월 2일 석방. | |||||||||
이반 샨티치 | 기소 철회 | |||||||||||
페로 스코플랴크 | ||||||||||||
드라고 요시포비치 | ICTY 선고 | ![]() |
1998년 8월 17일 | 12년 | 2001년 10월 23일 | 스페인에서 형 복역. 2006년 1월 30일 조기 석방. | IT-95-16 | |||||
블라디미르 샨티치 | ![]() |
18년 | 스페인에서 형 복역. 2009년 2월 9일 조기 석방. | |||||||||
조란 쿠프레슈키치 | 무죄 | 무죄 판결. | 즉시 석방. | |||||||||
미리얀 쿠프레슈키치 | ||||||||||||
블라트코 쿠프레슈키치 | ||||||||||||
드라간 파피치 | 2000년 1월 14일 | |||||||||||
스티포 알릴로비치 | 재판 전 사망 | |||||||||||
마린코 카타바 | 기소 철회 | 1997년 12월 19일 기소 철회. | ||||||||||
조란 마리니치 | 2002년 10월 2일 기소 철회. | IT-95-15 | ||||||||||
파슈코 류비치치 | 국내 법원으로 이송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사건 이송. 10년형 선고. | IT-00-41 | |||||||||
야드란코 프를리치 | ICTY 선고 | ![]() |
![]() |
![]() |
2006년 4월 26일 | 25년 | 2017년 11월 29일 | 영국에서 형 집행 중.[6] | IT-04-74 | |||
브루노 스토이치 | ![]() |
![]() |
![]() |
20년 | 오스트리아에서 형 집행 중.[6] | |||||||
슬로보단 프랄랴크 | ![]() |
![]() |
![]() |
2017년 11월 29일 선고 중 법정에서 자살.[7] | ||||||||
밀리보이 페트코비치 | ![]() |
![]() |
![]() |
벨기에에서 형 복역. 2021년 12월 23일 조기 석방.[8] | ||||||||
발렌틴 초리치 | ![]() |
![]() |
![]() |
16년 | 2019년 1월 16일부로 조기 석방.[9] | |||||||
베리슬라브 푸시치 | ![]() |
![]() |
![]() |
10년 | 2018년 4월 24일부로 조기 석방.[10] | |||||||
투타와 슈텔라 | 믈라덴 날레틸리치 투타 | ![]() |
![]() |
![]() |
2001년 9월 10일 | 20년 | 2006년 5월 3일 | 이탈리아에서 형 복역. 2012년 11월 29일 조기 석방. | IT-98-34 | |||
빈코 마르티노비치 슈텔라 | ![]() |
![]() |
![]() |
18년 | 이탈리아에서 형 복역. 2011년 12월 16일 조기 석방. | |||||||
스투프니 도 | 이비차 라지치 | ![]() |
제네바 협약 중대 위반에 대해 유죄 인정. | 12년 | 2006년 5월 8일 | 스페인에서 형 복역. 2011년 8월 22일 조기 석방. | IT-95-12 | |||||
첼레비치 수용소 | 즐라드코 무치치 | ![]() |
1997년 3월 10일 | 9년 | 2003년 4월 8일 | 2003년 7월 18일 조기 석방. | IT-96-21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 하지프 델리치 | ![]() |
18년 | 핀란드에서 형 복역. 2008년 6월 24일 조기 석방. | ||||||||
에사드 란조 | ![]() |
15년 | 핀란드에서 형 복역. 2006년 5월 2일 조기 석방. | |||||||||
제이니르 델라리치 | 무죄 | 무죄 판결. | 2001년 2월 20일 |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RSK | 밀란 바비치 | ICTY 선고 | ![]() |
박해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13년 | 2005년 7월 18일 | 2006년 3월 5일 영국 교도소에서 자살. | IT-03-72 | |||
밀란 마르티치 | ![]() |
![]() |
2005년 12월 13일 | 35년 | 2008년 10월 8일 | 에스토니아에서 형 집행 중.[6] | IT-95-11 | |||||
스릅스카 공화국 | 비도예 블라고예비치 | ![]() |
![]() |
2003년 5월 14일 | 15년 | 2007년 5월 9일 | 노르웨이에서 형 복역. 2012년 12월 22일 조기 석방. | IT-02-60 | ||||
드라간 요키치 | ![]() |
![]() |
9년 | 오스트리아에서 형 복역. 2010년 1월 13일 조기 석방. | ||||||||
크라이나 | 라도슬라브 브르자닌 | ![]() |
![]() |
![]() |
2002년 1월 23일 | 30년 | 2007년 4월 3일 | 덴마크에서 형 복역. 2022년 9월 3일 건강 문제로 조기 석방. 2022년 9월 7일 사망.[11] | IT-99-36 | |||
모미르 탈리치 | 재판 중 사망 | 2003년 5월 28일 사망. 2003년 6월 12일 절차 종료. | IT-99-36/1 | |||||||||
브르치코 | 란코 체시치 | ICTY 선고 | ![]() |
![]() |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18년 | 2004년 3월 11일 | 덴마크에서 형 복역. 2014년 5월 25일 조기 석방. | IT-95-10/1 | |||
고란 옐리시치 | ![]() |
![]() |
인도에 반한 죄 15건과 전쟁법 또는 관습 위반 16건에 대해 유죄 인정 | 40년 | 2001년 7월 5일 | 이탈리아에서 형 집행 중.[6] | IT-95-10 | |||||
스레브레니차-드리나 군단 | 라디슬라브 크르스티치 | ![]() |
![]() |
![]() |
2000년 3월 13일 | 35년 | 2004년 4월 19일 | 폴란드에서 형 집행 중.[6] | IT-98-33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 라심 델리치 | ![]() |
2007년 7월 9일 | 3년 | 2008년 9월 15일 | 임시 석방 중이던 2010년 4월 16일 사망. 항소심은 항소 절차를 종료하고 재판부 판결을 최종으로 간주한다고 발표. | IT-04-83 | |||||
스릅스카 공화국 | 글로고바 | 미로슬라브 데로니치 | ![]() |
박해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10년 | 2005년 7월 20일 | 2007년 5월 19일 스웨덴 교도소에서 사망 | IT-02-61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코소보 | 블라스티미르 조르제비치 | ![]() |
![]() |
2009년 1월 27일 | 18년 | 2014년 1월 27일 | 독일에서 형 집행 중.[6] | IT-05-87/1 | |||
스릅스카 공화국 | 필리카 농장 | 드라젠 에르데모비치 | ![]() |
전쟁법 또는 관습 위반 살인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5년 | 1998년 3월 5일 | 노르웨이에서 형 복역. 1999년 8월 13일 조기 석방. | IT-96-22 | ||||
스타니슬라브 갈리치 | ![]() |
![]() |
2001년 12월 3일 | 종신형. | 2006년 11월 30일 | 독일에서 형 집행 중.[6] | IT-98-29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 중앙 보스니아 | 엔베르 하지하사노비치 | ![]() |
2003년 12월 2일 | 3+1⁄2년 | 2008년 4월 22일 | 형 집행 완료 후 2008년 4월 23일 석방. | IT-01-47 | ||||
아미르 쿠부라 | ![]() |
2년 | 2006년 4월 11일 조기 석방. | |||||||||
메흐메드 알라기치 | 재판 중 사망 | 2003년 3월 7일 사망. 2003년 3월 21일 절차 종료. | ||||||||||
그라보비차-우즈돌 | 세페르 할릴로비치 | 무죄 | 2005년 1월 31일 | 무죄 판결. | 2007년 10월 16일 | 즉시 석방. | IT-01-48 | |||||
코소보 해방군 | 라무시 하라디나이 | 2007년 3월 5일 | 2012년 11월 29일 | IT-04-84 | ||||||||
이드리즈 발라지 | ||||||||||||
라히 브라히마지 | ICTY 선고 | ![]() |
6년 | 2010년 7월 21일 | ||||||||
마케도니아 공화국 | 류베 보슈코스키 | 무죄 | 2007년 4월 16일 | 무죄 판결. | 2010년 5월 19일 | IT-04-82 | ||||||
요한 타르출롭스키 | ICTY 선고 | ![]() |
12년 | 독일에서 형 복역. 2013년 4월 8일 조기 석방. | ||||||||
스릅스카 공화국 | 포차 | 드라골류브 쿠나라츠 | ![]() |
![]() |
2000년 3월 20일 | 28년 | 2002년 6월 12일 | 독일에서 형 집행 중.[12] | IT-96-23 & 23/1 | |||
라도미르 코바치 | ![]() |
![]() |
20년 | 노르웨이에서 형 복역. 2013년 6월 30일 조기 석방. | ||||||||
조란 부코비치 | ![]() |
![]() |
12년 | 노르웨이에서 형 복역. 2008년 3월 11일 조기 석방. | ||||||||
밀로라드 크르노옐라츠 | ![]() |
![]() |
2000년 10월 30일 | 15년 | 2003년 9월 17일 | 이탈리아에서 형 복역. 2009년 7월 9일 조기 석방. | IT-97-25 | |||||
드라간 젤레노비치 | ![]() |
![]() |
강간 및 고문 7건에 대해 유죄 인정 | 15년 | 2007년 10월 31일 | 벨기에에서 형 복역. 2015년 9월 4일 조기 석방. | IT-96-23/2 | |||||
얀코 야니치 | 재판 전 사망 | 2001년 4월 20일 기소 철회. | ||||||||||
드라간 가고비치 | 1999년 사망. 1999년 7월 30일 기소 철회. | |||||||||||
고이코 얀코비치 | 국내 법원으로 이송 | 2005년 12월 8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 법원으로 이송. 2007년 11월 19일 34년형 선고. | IT-96-23/2 | |||||||||
라도반 스탄코비치 | 2005년 9월 29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 법원으로 이송. 2007년 3월 28일 20년형 선고. | |||||||||||
미타르 라셰비치 | 2006년 10월 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 법원으로 이송. 2008년 2월 28일 8+1⁄2년형 선고. | IT-97-25/1 | ||||||||||
사보 토도비치 | 2006년 10월 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 법원으로 이송. 2008년 2월 28일 12+1⁄2년형 선고. | |||||||||||
오마르스카, 케라테르프 & 트르노폴레 수용소 | 미로슬라브 크보치카 | ICTY 선고 | ![]() |
![]() |
2000년 2월 28일 | 7년 | 2005년 2월 28일 | 2005년 3월 30일 조기 석방. | IT-98-30/1 | |||
드라골류브 프르차치 | ![]() |
![]() |
5년 | 2005년 3월 3일 조기 석방. | ||||||||
믈라조 라디치 | ![]() |
![]() |
20년 | 프랑스에서 형 복역. 2012년 12월 31일 조기 석방. | ||||||||
조란 지기치 | ![]() |
![]() |
25년 | 오스트리아에서 형 복역. 2014년 12월 16일 조기 석방. | ||||||||
밀로이차 코스 | ![]() |
![]() |
6년 | 2001년 11월 2일 | 2002년 7월 30일 조기 석방. | |||||||
코소보 해방군 | 라푸슈니크 수용소 | 파트미르 리마지 | 무죄 | 2004년 11월 15일 | 무죄 판결. | 2007년 9월 27일 | 즉시 석방. | IT-03-66 | ||||
이사크 무슬리우 | ||||||||||||
하라딘 발라 | ICTY 선고 | ![]() |
13년 | 프랑스에서 형 복역. 2012년 12월 31일 조기 석방. | ||||||||
아김 무르테지 | 기소 철회 | |||||||||||
스릅스카 공화국 | 비셰그라드 | 미타르 바실리예비치 | ICTY 선고 | ![]() |
![]() |
2001년 9월 10일 | 15년 | 2004년 2월 25일 | 오스트리아에서 형 복역. 2010년 3월 12일 조기 석방. | IT-98-32 | ||
밀란 루키치 | ![]() |
![]() |
2008년 7월 9일 | 종신형. | 2012년 12월 4일 | 에스토니아에서 형 집행 중.[6] | IT-98-32/1 | |||||
스레도예 루키치 | ![]() |
![]() |
27년 | 노르웨이에서 형 집행 중.[6] | ||||||||
사라예보 | 드라고미르 밀로셰비치 | ![]() |
![]() |
2007년 1월 11일 | 29년 | 2009년 11월 12일 | 에스토니아에서 형 집행 중.[13] | IT-98-29/1 | ||||
블라시치산 | 다르코 므르자 | ![]() |
![]() |
살인 및 비인도적 행위에 대해 유죄 인정 | 17년 | 2004년 3월 31일 | 스페인에서 형 복역. 2013년 10월 10일 조기 석방. | IT-02-59 |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부코바르 병원 | 슬라브코 도크마노비치 | 재판 중 사망 | 1998년 1월 19일 | 1998년 6월 29일 ICTY 구금시설에서 사망. | IT-95-13a | ||||||
밀레 므르크시치 | ICTY 선고 | ![]() |
2005년 10월 11일 | 20년 | 2009년 5월 5일 | 2015년 8월 16일 포르투갈 교도소에서 사망.[6] | IT-95-13/1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베셀린 슈리반차닌 | ![]() |
10년 | 2011년 7월 5일 조기 석방. | ||||||||
미로슬라브 라디치 | 무죄 | 무죄 판결. | 2007년 9월 27일 | |||||||||
보이슬라브 셰셸 | IRMCT 선고 | ![]() |
2006년 11월 27일 | 10년 | 2018년 4월 11일 | ICTY에 구금되어 재판을 기다리던 시간을 고려하여 형 집행 완료 선언. | MICT-16-99 | |||||
스릅스카 공화국 | 수시차 수용소 | 드라간 니콜리치 | ICTY 선고 | ![]() |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20년 | 2005년 2월 4일 | 2013년 8월 20일부로 조기 석방. | IT-94-2 | |||
스레브레니차 | 모미르 니콜리치 | ![]() |
박해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2006년 3월 8일 | 2014년 7월 1일부로 조기 석방. | IT-02-60/1 | ||||||
드라간 오브레노비치 | ![]() |
17년 | 2003년 12월 10일 | 2011년 9월 21일 조기 석방. | IT-02-60/2 | |||||||
부야딘 포포비치 | ![]() |
![]() |
![]() |
2006년 8월 21일 | 종신형 | 2015년 1월 30일 | 독일에서 형 집행 중.[6] | IT-05-88 | ||||
류비샤 베아라 | ![]() |
![]() |
![]() |
2017년 2월 8일 독일 교도소에서 사망. | ||||||||
드라고 니콜리치 | ![]() |
![]() |
![]() |
35년 | 임시 석방 중이던 2015년 10월 11일 사망. | |||||||
라디보예 밀레티치 | ![]() |
![]() |
18년 | 핀란드에서 형 집행 중.[14] | ||||||||
빈코 판두레비치 | ![]() |
![]() |
13년 | 2015년 4월 9일 조기 석방. | ||||||||
류보미르 보로브차닌 | ![]() |
![]() |
17년 | 2010년 6월 10일 | 덴마크에서 형 복역. 2016년 8월 1일부로 조기 석방. | |||||||
밀란 그베로 | ![]() |
5년 | 2010년 6월 28일 조기 석방. 2013년 2월 17일 항소 절차 중 사망. | |||||||||
즈드라브코 톨리미르 | ![]() |
![]() |
![]() |
2010년 2월 26일 | 종신형 | 2015년 4월 8일 | 교도소 이송을 기다리던 중 2016년 2월 8일 사망. | IT-05-88/2 | ||||
밀로라드 트르비치 | 국내 법원으로 이송 | 2007년 6월 11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 법원으로 이송. 30년형 선고. | IT-05-88/1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밀란 밀루티노비치 | 무죄 | 2006년 7월 10일 | 무죄 판결. | 2009년 2월 26일 | IT-05-87 | ||||||
드라골류브 오이다니치 | ICTY 선고 | ![]() |
15년 | 2013년 7월 10일 조기 석방. | ||||||||
니콜라 샤이노비치 | ![]() |
![]() |
18년 | 2014년 1월 23일 | 스웨덴에서 형 복역. 2015년 7월 10일 조기 석방. | |||||||
네보이샤 파브코비치 | ![]() |
![]() |
22년 | 핀란드에서 형 집행 중.[6] | ||||||||
블라디미르 라자레비치 | ![]() |
14년 | 2015년 9월 7일 조기 석방. | |||||||||
스레텐 루키치 | ![]() |
![]() |
20년 | 폴란드에서 형 복역. 2021년 10월 10일 조기 석방.[15] | ||||||||
스릅스카 공화국 | 케라테르프 수용소 | 두슈코 시키리차 | ![]() |
2001년 3월 19일 | 15년 (유죄 인정.) | 2001년 11월 13일 | 오스트리아에서 형 복역. 2010년 6월 21일 조기 석방. | IT-95-8 | ||||
다미르 도센 | ![]() |
5년 (유죄 인정.) | 오스트리아에서 형 복역. 2003년 2월 28일 조기 석방. | |||||||||
드라간 콜룬지야 | ![]() |
3년 (유죄 인정.) | 2001년 12월 5일 조기 석방. | |||||||||
네젤코 티마라치 | 기소 철회 | 1998년 5월 5일 기소 철회. | ||||||||||
고란 라지치 | ||||||||||||
드라간 콘디치 | ||||||||||||
드라고미르 샤포냐 | ||||||||||||
니키차 야니치 | 재판 전 사망 | 야니치에 대한 기소는 그의 사망 후 철회되었다. | ||||||||||
보산스키샤마츠 | 밀란 시미치 | ICTY 선고 | ![]() |
고문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5년 | 2002년 10월 17일 | 2003년 11월 3일부로 조기 석방. | IT-95-9/2 | ||||
스테반 토도로비치 | ![]() |
박해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10년 | 2001년 7월 31일 | 스페인에서 형 복역. 2005년 6월 22일 조기 석방. 2006년 9월 3일 사망. | IT-95-9/1 | ||||||
블라고예 시미치 | ![]() |
2001년 9월 10일 | 15년 | 2006년 11월 28일 | 영국에서 형 복역. 2011년 3월 16일 조기 석방. | IT-95-9 | ||||||
미로슬라브 라디치 | ![]() |
8년 | 2003년 10월 17일 | 2004년 11월 4일부로 조기 석방. | ||||||||
시모 자리치 | ![]() |
6년 | 2004년 1월 28일부로 조기 석방. | |||||||||
슬로보단 밀리코비치 | 재판 전 사망 | 1998년 8월 8일 사망. 1998년 8월 8일 기소 철회.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빌랴나 플라브시치 | ICTY 선고 | ![]() |
박해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11년 | 2003년 2월 27일 | 스웨덴에서 형 복역. 2009년 10월 27일 조기 석방. | IT-00-39 & 40/1 | ||||
몸칠로 크라이슈니크 | ![]() |
2004년 2월 3일 | 20년 | 2009년 3월 17일 | 영국에서 형 복역. 2013년 8월 30일 조기 석방. | IT-00-39 | ||||||
미초 스타니시치 | ![]() |
![]() |
2009년 9월 14일 | 22년 | 2016년 6월 30일 | 폴란드에서 형 집행 중.[6] | IT-08-91 | |||||
스토얀 주플랴닌 | ![]() |
![]()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두브로브니크 | 미오드라그 요키치 | ![]() |
모든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7년 | 2005년 8월 30일 | 덴마크에서 형 복역. 2008년 9월 1일 조기 석방. | IT-01-42/1 | ||||
파블레 스트루가르 | ![]() |
2003년 12월 16일 | 8년 | 2008년 7월 17일 | 2009년 2월 20일 조기 석방. | IT-01-42 | ||||||
밀란 제치 | 기소 철회 | 2002년 7월 26일 기소 철회. | ||||||||||
블라디미르 코바체비치 | 국내 법원으로 이송 | 2006년 11월 17일, 사건이 세르비아로 이송되었다. 코바체비치는 세르비아에서 기소되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재판을 진행하기가 부적합하다고 판결되었다. | IT-01-42/2 | |||||||||
스릅스카 공화국 | 프리예도르 | 밀로미르 스타키치 | ICTY 선고 | ![]() |
![]() |
2002년 4월 16일 | 40년 | 2006년 3월 22일 | 프랑스에서 형 집행 중.[6] | IT-97-24 | ||
두슈코 타디치 | ![]() |
![]() |
![]() |
1996년 5월 7일 | 20년 | 2000년 1월 26일 | 2008년 7월 17일 조기 석방. | IT-94-1 | ||||
고란 보로브니차 | 재판 전 사망 | 1995년 실종되었고 1996년 11월 22일 공식 사망 선언. 2005년 4월 기소 철회. | ||||||||||
시모 드를랴차 | 재판소 이송 전 사망. | IT-97-24 | ||||||||||
밀란 코바체비치 | 재판 중 사망 | 1998년 7월 6일 | 1998년 8월 1일 ICTY 구금시설에서 사망. 1998년 8월 24일 절차 종료. | |||||||||
크로아티아 공화국 | 폭풍 작전 | 이반 체르마크 | 무죄 | 2008년 3월 11일 | 무죄 판결. | 2011년 4월 15일 | IT-06-90 | |||||
안테 고토비나 | 2012년 11월 16일 | |||||||||||
믈라덴 마르카치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몸칠로 페리시치 | 2008년 10월 2일 | 2013년 2월 28일 | IT-04-81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 나세르 오리치 | 2004년 10월 6일 | 2008년 7월 3일 | IT-03-68 | ||||||||
크로아티아 공화국 | 메다크 포위 | 얀코 보베트코 | 재판 전 사망 | 2003년 4월 29일 사망. 2003년 6월 24일 절차 종료 | IT-02-62 | |||||||
라힘 아데미 | 국내 법원으로 이송 | 2005년 11월 1일 크로아티아로 이송. 자그레브 지방법원에서 모든 혐의 무죄 판결. | IT-04-78 | |||||||||
미르코 노라츠 | 2005년 11월 1일 크로아티아로 이송. 자그레브 지방법원에서 7년형 선고. | |||||||||||
스릅스카 공화국 | 오마르스카 및 케라테르프 수용소 | 프레드라그 바노비치 | ICTY 선고 | ![]() |
박해 혐의에 대해 유죄 인정 | 8년 | 2003년 10월 28일 | 프랑스에서 형 복역. 2008년 9월 3일 조기 석방 | IT-02-65/1 | |||
젤코 메야키치 | 국내 법원으로 이송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사건 이송. 21년형 선고. | IT-02-65 | |||||||||
몸칠로 그루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사건 이송. 7년형 선고. | |||||||||||
두샨 푸스타르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사건 이송. 9년형 선고. | |||||||||||
두슈코 크네제비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사건 이송. 31년형 선고. | |||||||||||
즈드라브코 고베다리카 | 기소 철회 | 1998년 5월 8일 기소 철회. | ||||||||||
그루반 (이름 미상) | ||||||||||||
프레드라그 코스티치 | ||||||||||||
네젤코 파스팔리 | ||||||||||||
밀란 파블리치 | ||||||||||||
밀루틴 포포비치 | ||||||||||||
드라젠코 프레도예비치 | ||||||||||||
젤코 사비치 | ||||||||||||
미르코 바비치 | ||||||||||||
네나드 바노비치 | ||||||||||||
스릅스카 공화국 | 조르제 주키치 | 재판 전 사망 | 1996년 2월 12일 ICTY로 이송. 1996년 4월 24일 건강상의 이유로 석방. 1996년 5월 18일 사망. | IT-96-20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젤코 라주나토비치 "아르칸" | 2000년 1월 베오그라드에서 사망. | IT-97-27 | |||||||||
코소보, 크로아티아 및 보스니아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 재판 중 사망 | 2002년 2월 12일 | 2006년 3월 11일 사망. 2006년 3월 14일 절차 종료. | IT-02-54 |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 고란 하지치 | 2012년 10월 16일 | 2016년 3월 24일 재판을 진행하기 부적합하다고 선언 - 2016년 7월 12일 사망할 때까지 절차 무기한 중단. 2016년 7월 22일 절차 종료. | IT-04-75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 프랑코 시마토비치 | IRMCT 선고 | ![]() |
![]() |
2009년 6월 9일 | 15년 | 2023년 5월 31일 | 건강이 심각하게 악화되어 2023년 8월 29일 석방.[16] | MICT-15-96 | |||
요비차 스타니시치 | ![]() |
![]() |
독일에서 형 집행 중.[17] |
닫기
Remove ads
같이 보기
-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에 기소된 인물 목록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