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구축함과 해군기지 협정

1940년 영국이 카리브해의 해군기지와 미국의 구축함을 맞바꾼 협정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구축함과 해군기지 협정
Remove ads

구축함 대 기지 협정(Destroyers-for-bases deal)은 미국영국 간에 1940년 9월 2일 체결된 협정으로, 영국 왕립 해군미국 해군으로부터 50척의 콜드웰급, 위키스급, 클렘슨급 미 해군 구축함을 받고 그 대가로 영국령 내의 토지 권리를 미국에 부여했다. 당시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국이었다.

간략 정보 서명일, 서명국 ...

일반적으로 "1,200톤급" (또는 "플러시 데크" 또는 4개의 굴뚝 때문에 "포 파이퍼"로도 알려짐)으로 불리던 구축함은 영국 타운급급이 되었고, 양국에 공통적으로 있는 도시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의회 승인이 필요 없는 행정명령을 사용했다. 루즈벨트는 협정이 중립법을 위반한다고 주장하는 반전 미국인으로부터 날카로운 비판을 받았다.[2]

Remove ads

배경

1940년 6월 말까지 프랑스독일과 이탈리아에 항복했다. 대영 제국영연방은 히틀러와 무솔리니에 맞서 단독으로 전쟁을 벌였다. 5월, 영국 참모장위원회는 만약 프랑스가 무너진다면, 미국의 "전적인 경제적, 재정적 지원" 없이는 "성공 가능성이 있는 전쟁을 계속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3] 미 정부는 영국의 곤경에 동정적이었지만, 미 여론은 "또 다른 유럽 전쟁"에 개입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고립주의를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이러한 정서를 반영하여, 미국 의회는 3년 전에 중립법을 통과시켜 미국에서 어떤 교전국으로든 무기 선적 또는 판매를 금지했다.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은 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가 다가오면서 더욱 제약을 받았다. 비평가는 루즈벨트를 전쟁 지지자로 묘사하려 했다. 미국 법무부의 법률 자문은 이 거래가 합법적이라고 밝혔다.[4]

5월 말까지 프랑스 됭케르크에서 영국군이 다이나모 작전으로 철수하면서 영국 왕립 해군은 당장 쓸 수 있는 함선이 필요해졌다. 특히 대서양 전투에서 독일 U보트가 영국의 식량 및 전쟁 노력에 필수적인 다른 자원 공급을 위협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독일군이 프랑스로 빠르게 진격하고 있었고, 많은 미국 정부 관계자가 프랑스와 영국의 패배가 임박했다고 확신하는 가운데 미국은 영국 대사 로디언 후작을 통해 런던에 트리니다드섬, 버뮤다, 뉴펀들랜드섬의 비행장 임차를 제안했다.[5]

윈스턴 처칠 총리는 처음에는 5월 27일 즉각적인 보상이 없으면 받아들일 수 없다며 제안을 거부했다. 6월 1일, 프랑스의 패배가 임박하자 루스벨트는 수백만 발의 미국 탄약과 구식 소화기를 "잉여"로 선언하고 영국으로의 선적을 승인함으로써 중립법을 회피했다. 루스벨트는 영국 왕립 해군을 위한 구축함 요청을 거부했다. 8월이 되자 영국은 최악의 상황에 이르렀고, 조지프 P. 케네디 미국 대사는 런던에서 영국이 "항복할 것이 불가피하다"고 보고했다. 루스벨트를 설득하여 구축함을 보내도록 하기 위해 처칠은 루스벨트에게 영국이 패배하면 미국 해안에 가까운 식민지 섬이 독일의 손에 넘어갈 경우 미국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Remove ads

거래

요약
관점

루스벨트는 1940년 8월 30일 저녁 이 거래를 승인했다.[6] 영국 본토 항공전이 격화되던 1940년 9월 2일, 코델 헐 국무장관은 영국 왕립 해군으로 군함 이양에 동의한다는 신호를 보냈다. 1940년 9월 3일, 해롤드 레인스포드 스타크 제독은 구축함이 미국 안보에 필수적이지 않다고 증명했다. 그 대가로 미국은 다양한 영국령 영토에 해군 또는 공군 기지 설립을 위한 토지를 99년 임대로 무상으로 부여받았다. 그 지역은 다음과 같다.

또한 이 협정으로 미국에게 다음과 같은 지역에 공군 및 해군 기지 접근 권한을 부여했다.

  • 버뮤다 그레이트 사운드캐슬 하버
  • 뉴펀들랜드 남부 및 동부 해안

버뮤다와 뉴펀들랜드의 기지에 대한 대가로 구축함은 받지 않았다. 이 두 영토는 대서양 횡단 운송, 항공, 대서양 전투 수행에 필수적이었다. 두 영토에 대한 공격은 가능성이 낮았지만 배제할 수는 없었고, 영국은 버뮤다 수비대를 포함한 방어 병력을 낭비적으로 유지해야 했다. 이 협정을 통해 영국은 버뮤다의 방어 대부분을 중립국인 미국에 넘겨줄 수 있었고, 이는 영국군을 더 활동적인 전선으로 재배치하고 영국군도 사용할 전략 시설을 미국 비용으로 개발할 수 있게 했다.

Thumb
미국과 영국 선원이 폭뢰를 검사하고 있다. 배경에는 이양되기 전의 미국 위키스급 구축함급이 보인다.

영국 왕립 공군(RAF)과 영국 해군 항공대(FAA)는 전쟁 초기에 버뮤다에 비행장을 유지했지만 수상 비행기만 운용했다. 대럴스 아일랜드의 RAF 기지는 영국 왕립 공군 수송사령부영국 왕립 공군 연락사령부, BOAC, 팬암의 대서양 횡단 비행 경유지 역할을 했으며 버뮤다 비행 학교를 운영했지만 해상 초계 임무는 수행하지 않았다. 보아즈 아일랜드FAA 기지영국 왕립 해군 조선소에서 운용되는 선박에 기반한 항공기를 정비했지만, 해군 함선, RAF 대럴스 아일랜드, 버뮤다 비행 학교의 조종사를 사용하여 해상 초계를 유지하려고 시도했다.

버뮤다 기지 협정은 미국이 자체 비용으로 대형 육상 항공기를 운용할 수 있는 비행장을 건설하고, 이 비행장은 미국 육군 항공대와 영국 왕립 공군이 공동으로 운용하도록 규정했다. 이 비행장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을 위해 싸운 미국 비행사 필드 킨들리의 이름을 따서 킨들리 비행장으로 명명되었다. 1943년 완공되자 RAF 수송사령부는 이 비행장으로 작전을 이전했지만, RAF 연락사령부는 대럴스 아일랜드에 남아 있었다. 미국 해군은 버뮤다 서쪽 끝에 해군 작전 기지를 건설했으며, 이는 수상 비행기 기지로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해상 초계 임무를 수행했다 (미국 해군은 실제로 수상 비행기를 사용하여 RAF 대럴스 아일랜드에서 이러한 초계 임무를 시작했으며 자체 기지가 가동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RAF와 FAA 시설은 전쟁 후에 폐쇄되었고, 버뮤다에는 미국 공군 기지만 남았다. 해군 작전 기지는 1965년에 수상 비행기가 킨들리 공군 기지 (이전 미 육군 비행장이었던 곳)에서 운용되는 록히드 P-2 넵튠으로 대체되면서 항공기지로서의 역할을 중단했다. 이 미 공군 기지들은 사실 20세기에 버뮤다에서 운영된 여러 미군 시설 중 두 곳에 불과했다. 99년 임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1949년에 많은 기지를 포기했으며, 나머지 몇 곳은 1995년까지 폐쇄되었다.

미국은 "미국의 국가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관대한 조치"를 수용하고 그 대가로 50척의 칼드웰급, 위키스급, 클렘슨급 미 해군 구축함을 즉시 이양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1,200톤급" (4개의 굴뚝 때문에 "플러시 데크" 또는 "포 파이퍼"로도 알려짐)으로 불렸다. 43척의 함선은 처음에는 영국 왕립 해군으로, 7척은 캐나다 왕립 해군으로 갔다. 영연방 해군에서는 함선들이 도시 이름을 따서 재명명되었고 그래서 "타운급"으로 알려졌지만, 원래는 세 가지 등급(칼드웰, 위키스, 클렘슨)에 속했다.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9척의 다른 함선들도 캐나다 왕립 해군에서 복무했다. 5척의 타운급 함선은 노르웨이 왕립 해군 승무원이 운용했고, 생존 함선은 나중에 영국 왕립 해군으로 반환되었다. HMS 캠벨타운생나제르 기습에 배정되기 전에 네덜란드 왕립 해군 선원이 운용했다. 9척의 다른 구축함은 결국 소련 해군으로 이양되었다. 50척의 구축함 중 6척은 U보트에 침몰했고, 캠벨타운을 포함한 3척은 다른 상황에서 파괴되었다.

영국은 이 거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지만, 이 거래는 영국보다는 미국에 훨씬 더 유리했기 때문에 처칠의 보좌관 존 콜빌은 이를 소련과 핀란드의 관계에 비유했다. 구축함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대규모 조선 프로그램으로 인해 예비 상태에 있었고, 많은 함선은 제대로 보존되지 않아 광범위한 정비가 필요했다. 한 영국 해군 제독은 이를 "지금까지 본 구축함 중 최악"이라고 불렀고,[7] 1941년 5월까지는 30척만이 운용 중이었다.[3] 처칠도 이 거래를 싫어했지만, 그의 고문은 그에게 루스벨트에게 이렇게만 말하도록 설득했다.

50척의 구축함 중 몇 척만이 작동 상태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오랫동안 보관되어 대서양의 험한 날씨에 노출되면서 자연스럽게 많은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7][7]

루스벨트는 1941년에 10척의 레이크급 해안경비대 커터를 영국 왕립 해군으로 이양함으로써 응답했다. 미국 해안경비대 함선은 구축함보다 10년이 젊었고 사거리가 더 길어서 대잠 호송선으로 더 유용했다.[8]

이 협정은 전시 영미 동맹의 시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훨씬 더 중요했다. 처칠은 영국 의회에서 "이 영어권 민주주의의 두 위대한 조직, 대영 제국과 미국은 상호 및 일반적인 이익을 위해 그들의 일부 문제에서 다소 혼합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3]

Remove ads

기지

요약
관점

뉴펀들랜드

[9]

Thumb
미국 해군 뉴펀들랜드 아르헨티아 해군 기지
Thumb
뉴펀들랜드 앰허스트 요새의 해안 포병대
Thumb
카레나지 만의 트리니다드 해군 기지

육군 항공대 비행장 목록

  • 페퍼럴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61년 8월 폐쇄; 캐나다군에 CFS 세인트 존스로 이양)
  • 구스 베이 육군 비행장 (이후 구스 공군기지) (1976년 7월 캐나다군에 CFB 구스 베이로 이양)
  • 스티븐빌 육군 비행장 (이후 어니스트 하몬 공군기지) (1966년 12월 폐쇄; 현재 스티븐빌 국제공항)
  • 맥앤드루 육군 비행장 (1948년 맥앤드루 공군기지; 1955년 미 해군에 이양)

해군 항공 기지 목록

  • 아르헨티아 해군 기지 (1994년 폐쇄). 1941년 8월 대서양 헌장을 낳은 대서양 회의 장소.

해안 방어 포대 목록

  • 미국 육군 해안포병대 통제 하의 아르헨티아 및 세인트 존스 항만 방어 (1945년 폐쇄)

미국 육군 일반 감시 지상 레이더 기지 목록

  • 앨런스 아일랜드;\, 케이프 스피어, 엘리스턴 릿지, 포고 아일랜드, 세인트 브라이즈 레이더 기지 (1945년 폐쇄)

영국령 서인도 제도

크랩스 반도의 크랩스 해군 항공기지
육군 항공대 비행장 (쿨리지 육군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49년 폐쇄)
엑수마조지타운의 해군 수상 비행기 기지.[10][11][12]
육군 항공대 비행장 (앳킨슨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49년 폐쇄)
서디 근처 해군 수상 비행기 기지, NAF 영국령 기아나
NAVFAC 해리슨스 포인트, 세인트루시 (1979년 폐쇄)
교환 협정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미국은 교환 조건 중 하나인 기지 외에 이곳에서 무료로 기지 권리를 받았다. 미 해군 작전 기지는 1940년에 설립되어 1965년까지 수상 비행기 기지로 운영되었다 (미 해군이 킨들리 공군 기지에서 육상 항공기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이 기지는 1995년까지 미 해군 별관으로 다른 목적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동시에 미 육군 항공대 비행장인 킨들리 비행장 건설이 시작되었고, 이는 포트 벨에 부속되었으며 나중에 킨들리 공군기지가 되었다. 1970년 미 해군으로 이양되어 1995년 폐쇄될 때까지 NAS 버뮤다로 운영되었다.
육군 항공대 비행장 (버남 육군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49년 폐쇄)
해군 항공 기지 (리틀 고트 아일랜드) 및 포트로열의 해군 시설
육군 항공대 비행장 (빈 육군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49년 폐쇄)
해군 항공 기지 (그로스 아일릿 만) NAF 세인트루시아 (1977년 폐쇄)
트리니다드 해군 기지, 1941년부터 1977년까지 주요 기지
두 개의 육군 항공대 비행장
월러 육군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49년 폐쇄)
칼슨 육군 비행장 (이후 공군기지) (1949년 폐쇄)
비상 활주로 (캠든 활주로)
해군 작전 기지, 해군 항공 기지, 연식비행선 기지, 라디오 방송국[13]

함선

요약
관점

총 50척의 함선이 재배치되었다. 3척의 칼드웰급, 27척의 위키스급, 20척의 클렘슨급 구축함이 포함된다.

자세한 정보 번호, 이름 ...
Remove ads

같이 보기

  • 밴프급 슬루프, 1941년 영국 왕립 해군으로 유사하게 이양됨
  • 티자드 임무
  • 무기대여법, 구축함 대 기지 협정을 느슨하게 모델링한 후속 협정
  • 북동부 공군 사령부 뉴펀들랜드섬래브라도의 비행장을 위해
  • 타운급 구축함, 일부는 소련 해군으로 이양됨
  • 미국 S급 잠수함, 일부는 영국 왕립 해군으로 이양됨

각주

참고 문헌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