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극전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극전선
Remove ads

기상학에서 극전선(極前線, polat front)은 두 반구의 극지 근처, 위도 60° 부근에서 극 순환페럴 순환 사이의 기상 전선 경계이다. 이 경계에서 두 기단 사이에 뚜렷한 온도 기울기가 발생하며, 각 기단은 매우 다른 온도를 가진다.[1]

Thumb
대기 순환도. 해들리 순환, 페럴 순환, 극 순환, 그리고 이들 사이의 다양한 상승 및 침강 구역을 보여준다.

극전선은 차가운 극지방 공기가 따뜻한 열대 공기와 만나면서 발생한다. 공기 덩어리가 서로 대치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정체전선이다.[2] 동부 북아메리카 해안, 특히 겨울에는 눈 덮인 육지와 따뜻한 근해 해류 사이에 뚜렷한 온도 기울기가 존재한다.

극전선 이론에 따르면 중위도 온대 저기압은 따뜻하고 차가운 공기 사이의 경계에서 형성된다.[3] 겨울에는 극전선이 적도 쪽으로 이동하는 반면, 여름에는 고기압이 더 지배적이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