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겨울

온대 지방의 사계절 중 하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겨울
Remove ads

겨울온대 또는 냉대 지방의 사계절 중 하나이다. 겨울철, 동계(冬季), 동절(冬節), 동기(冬期)라고도 한다.

한대 지방에서도 일부 지역은 나타나며, 냉대의 경우 온대보다 더 춥다.

만일 겨울이 없어진다면 정체 불명의 해충들이 출현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의

기상학에 따른 구분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미만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을 겨울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2][3][4][5][6][7]

이는 다음 같이 더 세분화한다.[8]

  • 초겨울, 늦겨울 : 일평균기온이 5°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0°C 이하
  • 한겨울 : 일평균기온이 0°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5°C 이하

일반적인 구분

천문학에 따른 구분

천문학에서는 동지점(또는 동지, 12월 22일 경)에서 춘분점(또는 춘분, 3월 20일 경)까지를 말한다.[11][12]

절기에 따른 구분

절기로는 입동(11월 7일 경)에서 입춘(2월 4일 경)까지를 말한다. (약 90일간이다. 아래에 언급된 기상학적 겨울 참고)

Remove ads

나라별 현황

요약
관점

대한민국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겨울의 시작일을 9일간 일평균 기온의 평균값이 5°C 미만으로 내려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은 첫날로 정의한다.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30년 단위, 10년 단위 평균 겨울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1][2][3][4][5][6][7]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3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 서울의 3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1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 서울의 1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자세한 정보 순번, 연도 ...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