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영국의 제약 회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글락소스미스클라인
Remove ads

글락소스미스클라인 plc(영어: GlaxoSmithKline plc)은 약품 제조, 생물학, 의료 분야에 관련된 영국기업이다.[1] 이 회사는 직원으로 따지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제약 회사이며 항감염, 중추 신경, 호흡, 위장/신진대사, 종양, 백신 관련 제품을 비롯한 다양한 의약 제품(애드베어 등)을 다루는 리서치 기반 회사이다. 이 회사는 또 구강 의료 제품, 영양제 등을 이루는 컨슈머 헬스케어(Consumer Healthcare)를 운영하고 있다. 런던 증권거래소FTSE 100 지수에 등재되어 있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2000년에 글락소웰컴(GlaxoWellcome plc)과 스미스클라인 비첨(SmithKline Beecham plc)과의 합병으로 태어났다. 이 회사는 새로운 CEO 승계를 앞두고, 적게는 3명 많게는 10명의 후보자를 뽑는다. 이들의 기준은 전문성보다는 경영자로서의 자질을 본다.[2] 한편, 이 업체는, 2000년대 들어서, 안산공장 부지를 화일약품 등의 업체에 매각하고, 이중 일부 부지는, 다른 용도의 공장이 세워져, 여러 업체가 입주하여 가동하고 있다.[3] 2018년 12월에 미국의 화이자에 일반의약품 사업을 양도하였다.[4]

간략 정보 형태, 창립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글락소웰컴

Thumb
1918년에 건설된 뉴질랜드 버니소프의 글락소 공장으로, 글락소 연구소 간판이 여전히 보인다.

글락소

조셉 나단 앤 코(Joseph Nathan and Co.)는 1873년 런던 출신의 조셉 에드워드 나단에 의해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종합 무역 회사로 설립되었다.[5] 1904년, 이 회사는 버니소프 근처 낙농장에서 생산된 잉여 우유로 건조 분유 아기 식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제품은 처음에는 디파이언스(Defiance)로 알려졌다가 글락소(Glaxo, 'lacto'에서 유래)로 이름이 바뀌었고, "글락소가 예쁜 아기를 키웁니다(Glaxo builds bonnie babies)."라는 슬로건과 함께 판매되었다.[6][7]:306[8] 현재 버니소프의 주요 도로에 있는 자동차 수리점에는 글락소 연구소 간판이 여전히 눈에 띈다. 이 회사의 첫 번째 의약품은 1924년에 출시된 비타민 D였다.[7]:306

Thumb
밸브와 젖꼭지가 달린 글락소 연구소 (그린포드, 미들섹스) 수유병

글락소 연구소는 1935년 런던에 별도의 자회사로 설립되었다.[9] 조셉 나단의 주주들은 1947년에 그룹 구조를 재편하여 글락소를 모회사로 만들었고,[10] 런던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다.[11] 글락소는 1958년 앨런 앤 핸버리스를 인수했다. 스코틀랜드 약리학자 데이비드 잭은 글락소가 앨런 앤 핸버리스를 인수한 지 몇 년 후 연구원으로 고용되었으며, 1987년까지 이 회사의 R&D를 이끌었다.[7]:306 글락소는 1978년 마이어 연구소(Meyer Laboratories)를 인수한 후 미국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1983년, 미국 지사인 글락소 인크(Glaxo Inc.)는 노스캐롤라이나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미국 본사/연구)와 제불론 (미국 제조)으로 이전했다.[8]

버로우스 웰컴

버로우스 웰컴 앤 컴퍼니(Burroughs Wellcome & Company)는 1880년 미국 약사 헨리 웰컴실라스 버로우스에 의해 런던에서 설립되었다.[12] 웰컴 열대 연구소(Wellcome Tropical Research Laboratories)는 1902년에 문을 열었다. 1920년대에 버로우스 웰컴은 뉴욕 터카호에 연구 및 제조 시설을 설립했는데,[13]:18[14][15] 이 시설은 1971년 노스캐롤라이나의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로 이전할 때까지 미국 본사 역할을 했다.[16][17] 노벨상 수상 과학자 거트루드 엘리언조지 히칭스가 그곳에서 일하며 메르캅토퓨린과 같은 약물을 발명했다.[18] 1959년, 웰컴 재단은 동물 건강 분야에서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기 위해 쿠퍼, 맥두걸 앤 로버트슨 인크(Cooper, McDougall & Robertson Inc)를 인수했다.[8]

버로우스 웰컴이 본사 이전을 결정했을 때, 이 회사는 폴 루돌프에게 새 건물 설계를 의뢰했다.[19] 폴 루돌프 헤리티지 재단 회장인 켈빈 디킨슨(Kelvin Dickinson)에 따르면 엘리온-히칭스 빌딩은 "건설 당시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았다"고 한다. 조지아 주립 대학교의 알렉스 세이프 커밍스(Alex Sayf Cummings)는 2016년에 "상징적인 이 건물은 RTP의 이미지를 정의하는 데 기여했다"며 "좋아하든 싫어하든 루돌프의 디자인은 인상적인 대담한 창조적 제스처이자 건축과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역사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고 썼다.[20] 2012년 이 건물을 인수한 유나이티드 테라퓨틱스는 2020년에 철거 계획을 발표했다.[20]

합병

글락소와 웰컴은 1995년 합병하여 글락소웰컴(Glaxo Wellcome plc)을 설립했다.[21][7] 이 합병은 당시 영국 기업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간주되었다.[12] 글락소웰컴은 그 해 R&D 운영을 재편하여 전 세계적으로 10,000개의 일자리를 감축하고 켄트 주 베켄햄의 R&D 시설을 폐쇄했으며, 하트퍼드셔 스티버니지에 의약품 연구 센터를 개설했다.[22][23][24] 같은 해 글락소웰컴은 조합 화학 분야의 선두 주자인 캘리포니아 기반의 아피맥스(Affymax)를 인수했다.[25]

1999년까지 글락소웰컴은 매출 기준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제약 회사(노바티스, 머크 다음)가 되었으며, 세계 시장 점유율은 약 4%였다.[26] 주요 제품으로는 이미그란 (편두통 치료), 살부타몰 (벤토린) (천식 치료), 조비락스 (입술 포진 치료), 레트로비르에피비르 (에이즈 치료) 등이 있었다. 1999년 이 회사는 천식 및 HIV/AIDS 치료제 분야에서 세계 최대 제조업체였다.[27] 이 회사는 영국에 13,400명을 포함하여 59,0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었고, 전 세계적으로 76개의 운영 회사와 50개의 제조 시설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7개 제품이 세계 50대 베스트셀러 의약품에 포함되었다. 이 회사는 하트퍼드셔, 켄트, 런던 및 베로나 (이탈리아)에 R&D 시설을,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북부에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미국과 일본에 R&D 센터를, 미국, 유럽 및 극동 지역에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었다.[28]

스미스클라인 비첨

비첨

Thumb
비첨 시계탑 (1877년 건축), 비첨 공장의 일부, 머지사이드 세인트 헬렌스

1848년, 토마스 비첨은 영국에서 비첨스 필스 완하제를 출시하며 비첨 그룹의 시작을 알렸다. 1859년, 비첨은 랭커셔 머지사이드 세인트 헬렌스에 첫 공장을 열었다. 1960년대까지 비첨은 의약품 및 맥클린스 치약, 루코자드와 같은 소비재, 그리고 합성 페니실린 연구에 광범위하게 참여했다.[8][29]

스미스클라인

존 K. 스미스는 1830년 필라델피아에 첫 약국을 열었다. 1865년 말론 클라인이 사업에 합류했으며, 10년 후 스미스, 클라인 앤 코(Smith, Kline & Co.)가 되었다. 1891년 프랑스, 리처드 앤 컴퍼니(French, Richard and Company)와 합병했고, 1929년 연구에 더 집중하면서 스미스 클라인 앤 프렌치 연구소(Smith Kline & French Laboratories)로 이름을 변경했다. 몇 년 후, 동물 건강 연구를 하는 노르덴 연구소(Norden Laboratories)와 1963년 벨기에의 리셰르슈 에 앵뒤스트리 테라퓨티크(Recherche et Industrie Thérapeutiques)를 인수하여 백신에 주력했다. 이 회사는 1969년 캐나다와 미국에서 7개의 연구소를 인수하며 전 세계적으로 확장하기 시작했다. 1982년에는 눈 및 피부 관리 제품 제조업체인 앨러간을 인수했다.[8]

스미스 클라인 앤 프렌치는 1982년 벡맨 인크(Beckman Inc.)와 합병하여 스미스클라인 벡맨(SmithKline Beckman)으로 이름을 변경했다.[30] 1988년에는 인터내셔널 클리니컬 연구소(International Clinical Laboratories)를 인수했다.[31]

합병

1989년, 스미스클라인 벡맨은 비첨 그룹과 합병하여 스미스클라인 비첨 P.L.C.(SmithKline Beecham P.L.C.)를 설립했다.[32] 본사는 미국에서 영국으로 이전되었다. 미국 내 R&D 확장을 위해 1995년 새로운 연구 센터를 인수했으며, 1997년에는 영국 할로뉴 프론티어스 과학 공원에 또 다른 센터를 개설했다.[8]

2000년: 글락소웰컴과 스미스클라인 비첨의 합병

글락소웰컴과 스미스클라인 비첨은 2000년 1월 합병 의사를 발표했다. 합병은 같은 해 12월 27일에 완료되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탄생했다.[33][34] 회사의 글로벌 본사는 런던 브렌트퍼드의 GSK 하우스에 있었으며, 2002년 당시 총리였던 토니 블레어에 의해 공식 개장되었다. 이 건물은 3억 파운드의 비용으로 지어졌으며 2002년 기준으로 3,000명의 행정 직원이 근무했다.[35]

2001–2010

Thumb
2008년 5월부터 2017년 4월까지 GSK의 CEO였던 앤드루 위티

GSK는 2001년 뉴저지 기반의 블록 드럭을 12억 4천만 미국 달러에 인수 완료했다.[36] 2006년 GSK는 브리드 라이트(Breathe Right) 코 막힘 해소 밴드와 파이버초이스(FiberChoice) 식이 보충제 등을 생산하는 미국 소비재 건강 관리 회사 CNS Inc.를 5억 6천 6백만 미국 달러 현금으로 인수했다.[37]

이전에 보다폰의 CEO였던 크리스 젠트는 2005년 이사회 의장으로 임명되었다.[38] GSK는 2007년 상하이에 중국 최초의 R&D 센터를 개설했으며, 초기에는 신경퇴행성 질환에 중점을 두었다.[39] 앤드루 위티는 2008년 최고경영자(CEO)가 되었다.[40] 위티는 1985년 글락소에 입사했으며 2003년부터 GSK 유럽 제약 부문 사장을 역임했다.[41]

2009년, GSK는 당시 세계 최대 독립 피부과 제약 회사였던 스티펠 연구소를 36억 미국 달러에 인수했다.[42] 2009년 11월, FDA는 GSK의 2009년 H1N1 인플루엔자 예방 백신을 승인했으며, 이 백신은 캐나다의 이 회사 ID 바이오메디컬 코프(ID Biomedical Corp)에서 제조되었다.[43] 또한 2009년 11월, GSK는 화이자와 합작 투자를 통해 HIV 연구 전문 기업인 비이브 헬스케어를 설립했다.[44] 2010년 이 회사는 아르헨티나 제약 회사인 라보라토리오스 피닉스(Laboratorios Phoenix)를 2억 5천 3백만 미국 달러에 인수했으며,[45] 영국 기반 스포츠 영양 회사인 맥시뉴트리션(Maxinutrition)을 1억 6천 2백만 파운드 (2억 5천 6백만 미국 달러)에 인수했다.[46]

2011–2022

2011년, 6억 6천만 미국 달러 규모의 거래에서 프레스티지 브랜드 홀딩스(Prestige Brands Holdings)는 BC 파우더, 비노, 에코트린(Ecotrin), 파이버 초이스(Fiber Choice), 굿디스 파우더(Goody's Powder), 소미넥스, 타가메트 등 2억 1천만 미국 달러의 매출을 올리는 17개 GSK 브랜드를 인수했다.[47] 2012년 이 회사는 잉글랜드 북부 울버 스턴의 제조 시설에 5억 파운드를 투자하여 이전에 발표된 생명공학 공장 부지로 지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48] 같은 해 5월에는 독일 생명공학 회사인 셀좀(CellZome)을 9,800만 미국 달러에 인수했으며,[49] 6월에는 습진 치료제인 알리트레티노인 (톡티노)의 전 세계 판권을 3억 2백만 미국 달러에 인수했다.[50] 2013년 GSK는 휴먼 게놈 사이언스 (HGS)를 30억 미국 달러에 인수했다. 이 두 회사는 루푸스 치료제 벨리무맙 (벤리스타),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알비글루타이드, 죽상동맥경화증 치료제 다라플라디브 개발에 협력했었다.[51] 9월에는 음료 사업부를 산토리에 매각했다. 여기에는 루코자드리베나 브랜드가 포함되었지만, 호릭스는 제외되었다.[52]

2014년 3월, GSK는 신흥 시장에 집중하기 위한 일환으로 인도 제약 자회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 파마슈티컬스의 지분을 49%에서 75%로 늘리기 위해 10억 미국 달러를 지불했다.[53] 2014년 4월, 노바티스와 글락소는 200억 미국 달러 이상의 거래에 합의했으며, 노바티스는 백신 사업을 GSK에 매각하고 GSK의 암 사업을 인수했다.[54][55] 2015년 2월, GSK는 스위스 제약 회사인 글리코백신(GlycoVaxyn)을 1억 9천만 미국 달러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56] 같은 해 6월에는 두 가지 수막염 치료제인 니멘릭스(Nimenrix)와 멘세박스를 약 1억 3천만 미국 달러에 화이자에 매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57]

당시 왕립 스코틀랜드 은행 의장이었던 필립 햄튼은 2015년 9월 GSK 의장이 되었다.[58]

2017년 3월 31일, 엠마 웜슬리CEO가 되었다. 그녀는 이 회사의 첫 여성 CEO이다.[59][60]

2017년 12월, 로이터는 글락소가 사우디아라비아 자회사의 지분을 49%에서 75%로 늘려 사우디 파트너인 바나자 KSA 홀딩 컴퍼니(Banaja KSA Holding Company)로부터 경영권을 인수했다고 보도했다.[61]

희귀 질환과 관련하여, 이 회사는 2018년 4월 유전자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오차드 테라퓨틱스(Orchard Therapeutics)에 매각했다.[62] 2018년 11월, 로이터유니레버가 GSK의 인도 자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슈머 헬스케어(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hcare Ltd) 지분 인수에 유리한 위치에 있으며, 이는 회사에 약 40억 미국 달러의 수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매각이라고 보도했다.[63] 네슬레코카콜라 또한 인도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 사업부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63][64] 2018년 12월 3일, GSK는 유니레버가 인도 상장 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컨슈머 헬스케어 사업을 38억 미국 달러 (29억 8천만 파운드)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유니레버는 거래 대금의 대부분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는 인도 사업부인 힌두스탄 유니레버 주식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거래 완료 시 GSK는 힌두스탄 유니레버의 약 5.7%를 소유하게 되며, 이 지분은 여러 차례에 걸쳐 매각될 예정이다.[65] 같은 날, 이 회사는 또한 종양학 전문 기업인 테사로를 51억 미국 달러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거래는 GSK에 난소암 치료제인 제줄라 - 폴리 ADP 리보스 중합효소 (PARP) 억제제 계열의 약물 - 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할 것이다.[66]

2019년 10월, GSK는 광견병 백신인 라바버트와 진드기 매개 뇌염 백신인 엔세푸르바바리안 노르딕에 10억 6천만 미국 달러 (9억 5천 5백만 유로)에 매각하기로 합의했다.[67][68]

2020년 7월, GSK는 독일 생명공학 회사 큐어백의 지분 10%를 인수했다.[69]

GSK-노바티스 소비자 건강 관리 사업 인수

2018년 3월, GSK는 노바티스와의 소비자 건강 관리 합작 투자 법인의 지분 36.5%를 130억 미국 달러 (92억 파운드)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70][62]

GSK-화이자 합작 투자

2018년 12월, GSK는 화이자와 함께 소비자 건강 관리 사업부를 단일 법인으로 통합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통합된 법인은 약 98억 파운드 (127억 미국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이며, GSK는 합작 투자 법인의 68% 지배 지분을 유지한다. 화이자는 나머지 32% 지분을 소유할 것이다. 이 거래는 GSK가 GSK-노바티스 소비자 건강 관리 합작 사업에서 노바티스의 지분을 인수한 2018년 이전 거래를 기반으로 한다.[4]

이후 분할

소비자 건강 관리 관련 거래가 마무리되면서, GSK는 분사 및 합작 법인의 후속 상장을 통해 두 개의 독립된 회사로 분할되었다. 이는 제약 및 연구 개발에 중점을 둔 회사와 소비자 건강 관리에 중점을 둔 두 개의 상장 회사를 탄생시켰다. 2022년 2월 22일, GSK는 분사된 소비자 건강 관리 회사의 이름을 헤일리온으로 발표했다.[4][71]

2022년 1월, 이 회사는 유니레버로부터 소비자 건강 관리 사업부를 인수하려는 세 차례의 비공개 제안을 받았다고 발표했으며, 최종 제안은 사업부를 500억 파운드 (현금 417억 파운드, 유니레버 주식 83억 파운드)로 평가했다.[72] 그러나 GSK는 소비자 건강 관리 사업을 인수하려는 모든 외부 제안/시도를 거부하고 주요 생물제약 사업부에서 분사를 완료할 계획을 추진했다.[73]

최신 역사

2022년 4월, 이 회사는 시에라 온콜로지(Sierra Oncology Inc)를 19억 미국 달러 (주당 55 미국 달러)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4] 2022년 5월, GSK는 아피니백스(Affinivax)와 그 2상 24가 폐렴구균 백신 후보를 최대 33억 미국 달러에 인수하여 백신 사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5]

2022년 5월 16일, 이 회사는 이름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에서 GSK로 변경했다.[76]

2023년 4월, GSK는 벨루스 헬스 인크(Bellus Health Inc.)를 20억 미국 달러에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77]

2024년 2월, 이 회사는 아이올로스 바이오(Aiolos Bio)를 10억 미국 달러 이상에 인수했으며, 이는 흉선 기질 림프포이에틴 사이토카인을 표적으로 하는 장기 지속형 단일클론항체인 AIO-001을 통해 기존 천식 사업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78][79]

2024년 5월, GSK는 헤일리온(Haleon)의 남은 지분 4.2%를 15억 8천만 미국 달러에 매각했다.[80][81][82]

2024년 7월, GSK는 본사를 브렌트퍼드에서 런던 중심부의 뉴 옥스퍼드 스트리트로 이전했다.[83]

2025년 기준으로, 뉴욕미국 예탁 증서를 통한 회사에 대한 자본 투자는 런던의 주요 상장을 통한 투자를 능가했다.[84] 경쟁사인 아스트라제네카에 대한 유사한 추측에 이어 GSK가 주요 주식 상장을 뉴욕 증권 거래소로 옮길 것이라는 소문이 확산되었으나, GSK 경영진은 이를 부인했다.[85]

2025년 9월, 이 회사는 엠마 웜슬리가 2026년 초에 최고경영자 자리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발표했다.[86] GSK는 그녀의 후임으로 2017년부터 이 회사의 최고사업책임자(Chief Commercial Officer)를 맡아온 루크 밀스(Luke Miels)를 임명했다.[86]

인수 역사 다이어그램

글락소스미스클라인 구조

GSK

    • 글락소스미스클라인
      • 스미스클라인 비첨 Plc (1989년 사명 변경)
        • 스미스클라인 벡맨 (1982년 사명 변경)
          • 스미스클라인-RIT (1968년 사명 변경)
            • 스미스, 클라인 앤 프렌치 (1929년 스미스 클라인 앤 프렌치 연구소로 재편)
              • 프랑스, 리처드 앤 컴퍼니 (1891년 인수)
              • 스미스, 클라인 앤 컴퍼니
            • 리셰르슈 에 앵뒤스트리 테라퓨티크 (1968년 인수)
          • 벡맨 인스트루먼트, Inc. (1982년 합병, 1989년 매각)
            • 스페셜라이즈드 인스트루먼트 코프. (1954년 인수)
            • 오프너 일렉트로닉스 (1961년 인수)
          • 인터내셔널 클리니컬 연구소 (1989년 인수)
          • 레킷 앤 콜맨 (1999년 인수)
        • 비첨 그룹 Plc (1989년 합병)
          • 비첨 그룹 Ltd
            • S. E. 매센질 컴퍼니 (1971년 인수)
            • C.L. 벤카드 (1953년 인수)
            • 카운티 케미컬스
          • 노클리프 세이어 (1986년 인수)
      • 글락소웰컴
        • 글락소 (1995년 합병)
          • 조셉 나단 앤 코
          • 앨런 앤 핸버리스 (1715년 설립, 1958년 인수)
          • 마이어 연구소 (1978년 합병)
          • 아피맥스 (1995년 인수)
        • 웰컴 재단 (1924년 사명 변경, 1995년 합병)
          • 버로우스 웰컴 앤 컴퍼니 (1880년 설립)
          • 맥두걸 앤 로버트슨 인크 (1959년 인수)
    • 블록 드럭 (2001년 인수)
    • CNS Inc. (2006년 인수)
    • 스티펠 연구소 (2009년 인수)
    • 라보라토리오스 피닉스 (2010년 인수)
    • 맥시뉴트리션 (2010년 인수)
    • 셀좀 (2011년 인수)
    • 휴먼 게놈 사이언스 (2013년 인수)
    • 글리코백신 (2015년 인수)
    • 테사로 (2019년 인수)
    • 시타리 파마슈티컬스 (2019년 인수)
    • 시에라 온콜로지 (2022년 인수)
    • 아피니백스 (2022년 인수)
    • 벨루스 헬스 인크. (2023년 인수)
    • 아이올로스 바이오 (2024년 인수)
    • 엘시 바이오테크놀로지스 (2024년 인수)
Remove ads

제품

각주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