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금강산청년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금강산청년선(金剛山靑年線)은 강원도 안변군의 안변역과 고성군의 감호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원래의 동해북부선을 분리시켜 개칭한 노선이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동해북부선으로 부른다. 제진역까지 시험운행으로 인해 삼일포역까지만 여객열차가 운행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주요로 운행한다. 금강산을 지나는 철도 중 하나이다.
Remove ads
노선 정보
역사
- 1929년 9월 11일 : 안변 - 흡곡 간 개통 (31.4km)
- 1930년 10월 25일 : 통천역 일대 공사 중지[2]
- 1930년 10월 29일 : 통천역 일대 공사 재개[3]
- 1931년 7월 21일 : 흡곡 - 통천 간 개통 (29.6km)
- 1932년 5월 21일 : 통천 - 두백 간 개통 (14.7km)
- 1932년 8월 1일 : 두백 - 장전 간 개통 (17.5km)
- 1932년 9월 16일 : 장전 - 외금강 간 개통 (7.8km)
- 1932년 11월 1일 : 외금강 - 고성 간 개통 (10.4km)
- 1935년 11월 1일 : 고성 - 간성 간 개통 (39.3km)
- 1937년 12월 1일 : 간성 - 양양 간 개통 (41.9km)
- 1950년 : 북측 구간 폐지
- 1996년 : 안변 - 금강산청년 간 복원, 금강산청년선으로 노선 명칭 변경
- 2005년 12월 : 금강산청년 - 제진 간 복원 공사 완료
- 2007년 5월 17일 : 삼일포 - 제진 간 남북 열차 시험운행
Remove ads
역 목록
- 폐역 정보
- 구 삼일포역(舊三日浦驛) - 금강산청년역과 삼일포역(구 고성역) 사이에 있었음(안변역 기점 109.2km).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