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기돈 크레머
라트비아 바이올리니스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기돈 크레머(라트비아어: Gidons Krēmers; 1947년 2월 27일 ~ )는 라트비아인 클래식 음악 바이올린 연주자, 예술 감독이자 크레메라타 발티카의 설립자이다.
생애
요약
관점
기돈 크레머는 리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유대인이었고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 그의 어머니는 독일-스웨덴 혈통이었다.[1] 그의 외조부인 카를 브뤼크너는 리가에서 잘 알려진 음악학자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였다.
4세 때부터 바이올린을 연주하기 시작했으며, 전문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아버지와 할아버지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리가 음악 학교에서 주로 볼데마르 스투레스텝(Voldemārs Stūresteps)에게 사사했다. 1965년부터 크레머는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에게 배웠다. 1967년에는 브뤼셀에서 열린 퀸 엘리자베스 국제 콩쿠르에서 3등을 차지했다. 1969년에는 몬트리올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 2등을 차지했고, 이어서 제노바에서 열린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에서 1등, 1970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다시 1등을 차지했다.
크레머의 첫 서방 콘서트는 1970년 빈의 빈 음악협회에서 열렸으며, 그곳에서 토마스 시퍼스와 빈 필하모니 관현악단과 함께 연주했다. 1975년 안스바흐 바흐 주간 페스티벌과 베를린 필하모니에서 독일 데뷔를 했고, 1976년에는 앙드레 프레빈 지휘로 런던에서, 이어서 1976년 잘츠부르크 페스티벌과 1977년 뉴욕과 일본에서 공연했다.
1980년, 소련을 떠나 독일로 이주했다. 1981년 크레머는 오스트리아 로켄하우스에 실내악 페스티벌을 창설하고, 새롭고 파격적인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었으며, 2011년까지 30년간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2]
1997년 크레머는 발트 지역의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실내악단 크레메라타 발티카를 창단했다.[1] 또한 뮌헨에서 열린 "아트 프로젝트 92" 페스티벌의 예술 감독 중 한 명이었고, 스위스의 무직좀머 크슈타트 페스티벌(1996/97)과 바젤("레 뮤지크")의 감독이다. 2007-2008년 크레메라타 발티카와 함께 클래식 음악 코미디 듀오인 이구데스만 & 주와 투어를 했다. 2011년까지 베르비에 페스티벌에도 정기적으로 출연했지만, 페스티벌의 '스타 문화' 측면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고 페스티벌에서 탈퇴했다.[3]
경력
아스토르 피아졸라의 작품들을 연주했으며,[4] 이외에도 제오르제 에네스쿠, 알반 베르크,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버르토크 벨러, 필립 글래스, 알프레트 시닛케, 빅토르 키신, 미에치스와프 바인베르크, 아르튀르 루리에 및 존 애덤스의 작품들을 연주했다. 또한 레오니드 데샤트니코프, 알렉산드르 라스카토프, 알렉산드르 부스틴, 레라 아우어바흐, 페테리스 바스크스, 아르보 패르트, 빅토리아 폴레바, 발렌틴 실베스트로프, 스테반 코바치 틱메이어의 작품들도 연주했다. 그에게 작품을 헌정한 많은 작곡가들 중에는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루이지 노노, 알프레트 시닛케, 기야 칸첼리, 그리고 빅토르 키신 등이 있다.
공연 파트너로는 발레리 아파나시예프, 마르타 아르헤리치,[5] 미하일 플레트뇨프, 올레그 마이센베르크, 바딤 사하로프, 미샤 마이스키, 요요 마, 클레멘스 하겐, 기에드레 디르바나우스카이테, 유리 바시메트, 킴 카쉬카쉬안, 토마스 체헤트마이어, 타티아나 그린덴코, 그리고 페르 아르네 글로르비겐이 있다.
1978년부터 녹음을 해온 도이체 그라모폰 레이블로 많은 음반을 발매했다. 또한 필립스 레코드, EMI, 데카 레코드, ECM 레코드[6] 및 Nonesuch Records에서도 녹음했다. 2017년 2월 27일 크레머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2016년 10월 14일 도이체 그라모폰은 박스 세트 "GIDON KREMER Complete Concerto Recordings on Deutsche Grammophon"을 발매했다.[7] ECM 레코드는 2017년 1월에 크레메라타 발티카와 함께 녹음한 미에치스와프 바인베르크의 모든 실내 교향곡의 새 앨범으로 이 날을 기념했다.[8]
다른 미디어에서 크레머는 페터 샤모니의 1983년 영화 《Frühlingssinfonie》(《봄 교향곡》)에서 파가니니 역을 연기했으며, 샤를 반 담므의 영화 《르 주외르 드 비올롱》의 음악 감독을 맡았다.[9]
크레머는 《어린 시절의 파편》(Kindheitsplitter)과 《젊은 피아니스트에게 보내는 편지》(2013)를 포함한 음악에 관한 네 권의 책을 저술했다.
Remove ads
수상
- Pour le Mérite for Sciences and Arts (2016, 독일)[10]
- 다카마쓰노미야 전하기념 세계문화상 (2016, 일본)[11]
- 2015년 “Mieczysław Weinberg” (ECM New Series, 2014) 음반으로 클래식 음악: 베스트 클래식 컴필레이션 부문 그래미상 후보 선정[12]
- 2011년 베니스에서 키지아나 음악원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상
- 이탈리아 공로 대훈장 (2011년 12월 23일, 이탈리아)
- 2010년 이스탄불 음악 페스티벌 평생 공로상
- 2008년 스톡홀름에서 롤프 쇼크 상 음악 예술 부문
- 2007년 드레스덴에서 Saeculum Glashütte Original MusikFestspielPreis[13]
- 2002년 “After Mozart” (Nonesuch, 2001) 음반으로 클래식 음악: 베스트 소규모 앙상블 연주 부문 그래미상 수상[14]
- 2002년 “After Mozart” (Nonesuch, 2001) 음반으로 에코 클라식 상 수상[15]
- IMC-UNESCO 국제 음악상 (2001, 연주자 부문, 움 세갈과 공동 수상)[16]
- 리투아니아 대공 게디미나스 훈장 (2000, 리투아니아)
- 트리움프 상 2000 (모스크바)
- 라트비아 대음악상 (1995, 2004, 라트비아)
- 삼 성 훈장 장교 (1997년 3월 12일, 라트비아)[17]
- 발트 의회 문학·예술·과학상 (1997)
- 레오니 소닝 음악상 (1989, 덴마크)
-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1982)
-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1등, 1970, 모스크바)
-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 (1등, 1969, 제노바)
- 몬트리올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2등, 1969, 몬트리올)[18]
- 퀸 엘리자베스 국제 콩쿠르 (3등, 1967, 브뤼셀)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출처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