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기아 스포티지

기아의 준중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기아 스포티지
Remove ads

기아 스포티지(Kia Sportage)는 기아의 준중형 스포츠 유틸리티 자동차다.

간략 정보 차종, 제조사 ...
Remove ads

1세대(NB-7)

요약
관점

스포티지(1993년 7월~1998년 2월)

Thumb
기아 스포티지 정측면
Thumb
기아 스포티지 후측면

원래는 기아자동차포드가 공동 개발을 하려다 결렬되어 기아자동차가 독자적으로 개발하게 되어 1991년 10월도쿄 모터쇼에서 세피아와 함께 처음 발표되었는데[1] 기아자동차에서 발표한 승용 왜건에 가까운 디자인의 이 컴팩트 SUV는 신선한 느낌으로 기아라는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았던 때였음에도 호평을 받았다. 1993년 7월 9일에 출시되었고 생산은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출시되기 전인 같은 해 1월에는 파리-다카르 랠리에 2대가 출전하였는데, 1대가 중도 탈락하여 다른 1대만 완주에 성공하였다.[2] 그러다 2000년2001년에 파리-다카르 랠리에 T3(완전 개조 부문)으로 출전하여 공식 완주에 성공하였다.[3] 1994년 8월에는 기아 엠블럼이 타원형으로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숏 바디만 있었으나, 1996년 1월 19일에는 그랜드라고 명명된 롱 바디가 추가되었다. 1997년 8월 23일에는 그랜드라는 롱 바디에 화물 적재 공간이 마련된 2인승 빅 밴이 추가되었다. 베스타와 공유하였던 마쓰다제 자연흡기 70마력 2.2ℓ HW 디젤 엔진은 1995년 7월 1일에 91마력 2.0ℓ RT 터보 인터쿨러 디젤 엔진으로 대체되었다.[4] 유럽 사양(주로 독일)은 명문 코치빌더인 카르만에 위탁으로 생산되었다. 미국에서는 2년 연속 가장 값진 자동차로 선정되기도 하였다.[5] 1998년 2월 25일에는 익스테리어가 개선되어 기존보다 범퍼가 80mm 늘어났다.[6] 이 때 에어백도 새로 적용되었다.

2도어 하드톱과 소프트톱 모델은 모두 해외 시장용으로 나왔고, 대한민국에는 시판하지 않았다.

대한민국 내수보다 해외 시장에서 더 많이 판매되었다.

스포티지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FE 가솔린 SOHC 4WD ...

스포티지 아멕스(1998년 2월~2002년 9월)

Thumb
기아 스포티지 아멕스 정측면
Thumb
기아 스포티지 아멕스 후측면

1998년 2월 25일에는 익스테리어가 개선되어 기존보다 범퍼가 80mm 늘어났다.[7] 일본에서도 기아자동차 일본 법인을 통하여 20대 정도가 시험 수출되었지만,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사태에 의한 부도로 인하여 실패하였다. 엔진과 섀시 등은 대한민국 군용차 K-131과 이 차량의 민수용 레토나에도 사용되었다. 2002년 9월에 쏘렌토에 프레임을 물려주고 단종된 1세대 스포티지는 대한민국보다 해외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디젤 엔진의 결함으로 인해 다음 세대보다 보기 힘든 차가 되었다.

Remove ads

2세대(KM)

요약
관점

뉴 스포티지(2004년 8월~2010년 3월)

Thumb
기아 뉴 스포티지 (전기형) 정측면
Thumb
기아 뉴 스포티지 (전기형) 후측면

2004년 8월 17일에 출시되었다. 1세대가 화성 공장에서 생산되었던 것과는 달리, 광주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당초 1세대의 후속 차종으로 개발되었던 것은 쏘렌토(BL)였으며, 이 차종이 스포티지의 2세대 모델로 출시될 계획도 있었다. 하지만 쏘렌토(BL)는 1세대의 후속 차종이 아닌 한 등급 높은 차종에 위치되었고 아반떼(XD)전륜구동 모노코크 플랫폼을 활용한 결과 투싼(JM)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차종이 뉴 스포티지가 된 것이다. 결론적으로는 1세대의 후속 차종이 아닌 전혀 다른 신차이나, 앞선 컨셉을 통하여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스포티지의 명성을 고려하여 차명을 다시 쓰게 되었다.[8] 프레임 바디가 적용되었던 1세대와는 달리, 모노코크 바디로 탈바꿈하였다. 내수용은 2.0ℓ D 디젤 엔진과 2.0ℓ 베타 가솔린 엔진이 적용되었고, 디젤 엔진에 장착된 터보차저는 이후 WGT에서 VGT로 변경됐다. 수출용은 V6 2.7ℓ 델타 가솔린 엔진도 적용되었다. 2007년에는 배우 조인성제임스 딘이 광고에 출연하여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같은 해 10월 10일에는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바디 컬러가 투톤에서 원톤으로 변경되었으며, 광고 모델로 이선균, 배두나, 김한준이 출연하였다. 2009년 5월 21일에는 경제 운전 안내 시스템, 조수석 에어백, MP3 CDP, AUX&USB 단자 등이 기본 적용된 2010년형이 선보였다. 중국에서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15년까지 생산 및 판매를 하였다.

라인업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가솔린 ...
뉴 스포티지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베타 가솔린 2WD ...
Remove ads

3세대(SL)

요약
관점

스포티지 R(2010년 3월~2013년 7월)

Thumb
기아 스포티지 R 정측면
Thumb
기아 스포티지 R 후측면
Thumb
기아 스포티지 R 실내

2010년 3월 23일에 출시되었다. 쏘렌토 R(XM)처럼 서브 네임을 R로 하여 스포티지 R이 되었다. 기아자동차의 패밀리 룩이 적용되어 직선의 단순화 개념이 반영되었다. 현대 투싼 ix(LM)와 플랫폼을 공유하며, 성능과 연비가 획기적으로 개선된 2.0ℓ R 디젤 엔진을 적용하였다. 2011년 3월 1일부터는 모든 사양에 1열 사이드&커튼 에어백이 기본으로 적용되고 최고 출력 261마력에 최대 토크 37.2kg·m의 성능을 갖춘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이 추가되었다. 기존 모델과 익스테리어를 차별화하였으며, 인테리어에서도 자동변속기에 있는 인디케이터 판넬의 컬러와 재질이 변경되었다.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인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의 수송 디자인 분야에 본상(Winner)에 선정되는 등 직선 위주의 간결한 디자인이 큰 호평을 받았다.[9] 2012년 7월 24일에는 LED 포지셔닝 헤드 램프와 스티어링 휠 정렬 알림 기능이 신규 적용된 2013년형이 출시되었다.


라인업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가솔린 ...
스포티지 R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세타 Ⅱ 가솔린 2WD ...

더 뉴 스포티지 R(2013년 7월~2015년 9월)

Thumb
기아 더 뉴 스포티지 R 정측면
Thumb
기아 더 뉴 스포티지 R 후측면

2013년 7월 23일에 출시되었다. 페이스 리프트가 아닌 2014년형 이어 모델에 불과하나, 더 뉴라는 서브 네임이 붙었다. 슈퍼비전 클러스터에는 4.2인치 컬러 TFT LCD 창이 적용되었고, 동승석 통풍 시트와 이중 접합 차음 유리, 2열 에어 벤트 및 시트백 조절 기능이 추가되었다. 라인업은 LX, TLX, 리미티드에서 럭셔리, 트렌디, 프레스티지, 노블레스로 바뀌었고, 2.0ℓ R 디젤 엔진의 6단 수동변속기(4륜구동)와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GDI 엔진의 4륜구동이 삭제되었다. 2014년 7월 2일에는 벨트 라인과 변속 부분을 감싼 인디게이터 판넬의 재질이 스테인리스로 변경되고,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가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된 2015년형이 선보였다. 중국에서는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서 현재까지 생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라인업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가솔린 터보 ...
더 뉴 스포티지 R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세타 Ⅱ 가솔린 터보 GDI 2WD ...
Remove ads

4세대(QL)

요약
관점

더 SUV 스포티지(2015년 9월~2018년 7월)

Thumb
기아 더 SUV 스포티지 정측면
Thumb
기아 더 SUV 스포티지 후측면

2015년 9월 15일에 출시되었다. 현대 올 뉴 투싼(TL)과 플랫폼을 공유하며, 유로 6 기준을 충족시킨 2.0ℓ R 디젤 엔진이 적용되었다. 2열 시트의 리클라이닝 각도 증대(전방 5도, 전/후방 34도), 휴대폰 무선 충전 시스템과 스마트 테일 게이트 등의 적용으로 편의성을 높였다. 전륜 서스펜션 구조를 최적화하고 후륜 서스펜션의 강성을 개선하여 정교한 조타감과 주행 성능을 구현하였다. 또한, 후륜 브레이크 디스크의 사이즈를 늘려 제동성을 향상시켰다. 초고장력 강판이 기존 18%에서 51%로 확대되었고 구조용 접착제 역시 동급 최대인 103m로 확대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동급 최초의 앞좌석 어드밴스드 에어백을 비롯하여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 후측방 경보 시스템,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 등이 적용되었다. 같은 해 10월 15일에는 유로 6 기준을 충족시키는 1.7ℓ U Ⅱ VGT 디젤 엔진과 듀얼 클러치 7단 DCT 변속기가 추가되었다. 중국에서는 KX3와의 통일성을 위하여 KX5라는 차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3세대/4세대 공통으로 후방 방향지시등이 범퍼에 있어 시인성 저하 논란이 있다.

라인업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가솔린 ...
더 SUV 스포티지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1.7ℓ U Ⅱ 디젤 2WD (17인치 휠) ...

스포티지 더 볼드(2018년 7월~2021년 7월)

Thumb
기아 스포티지 더 볼드 정측면
Thumb
기아 스포티지 더 볼드 후측면

라인업

자세한 정보 구분, 2.0ℓ 가솔린 ...
스포티지 더 볼드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1.6ℓ U Ⅲ 디젤(스마트 스트림 D) 2WD (17인치 휠) ...
Remove ads

5세대(NQ5)

요약
관점

디 올 뉴 스포티지(2021년 7월~2024년 10월)

Thumb
기아 디 올 뉴 스포티지 정측면
Thumb
기아 디 올 뉴 스포티지 후측면

2021년 7월 20일에 출시되었다.[10] 더 올 뉴 스포티지는 2015년 9월 15일, 더 SUV 스포티지 이후 6년만에 등장한 모델로, 오퍼짓 유나이티드 디자인 철학을 반영해 역동적이고 심플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전면부는 테크니컬 패턴의 타이거 노즈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과 LED 헤드램프를 연결해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현했다. 측면부는 바디 실루엣에 입체적인 볼륨을 더했으며, 크롬 벨트라인 몰딩으로 역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했다. 후면부는 숄더, 수평형 가니쉬, 리어램프를 통해 심플한 이미지를 표현했으며, 블랙 리어 범퍼에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해 전면부와 통일감을 줬다. 실내는 12.3인치 파노라마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대한민국 준중형 SUV 최초로 탑재했다. 또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공조 기능을 통합해 조작할 수 있는 터치 방식의 전환 조작계 적용 및 다이얼 타입의 전자식 자동변속기를 장착하고 콘솔 위치를 높여 사용성을 강화했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안전 하차 경고, 차로 이탈방지 보조,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운전자 주의 경고, 후측방 모니터, 하이빔 보조 등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색상은 스노우 화이트펄, 스틸 그레이, 그래비티 그레이, 퓨전 블랙, 베스타 블루 등 5가지가 있다.

2022년 7월 26일에는 146마력 2.0리터 DOHC LPG 엔진도 추가했다. 스포티지 최초의 LPG 차량으로, 경쟁 차량인 QM6처럼 도넛형 LPG 봄베가 장착되고 전륜구동만 나온다. 또한 K5 LPG 택시가 단종됨에 따라, QM6 LPG처럼 스포티지 LPG도 택시로 이용한다.

더 뉴 스포티지(2024년 11월~현재)

2024년 10월 24일 티저 이미지와 영상이 공개되고 11월 5일 출시됐다.[11]

부분 공개된 티저 이미지를 살펴보면 전/후면부에 적용한 램프 디자인과 실루엣이 바뀌었다. 기아 패밀리룩인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반영한 주간 주행등(DRL)과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디자인으로 변경됐다. 이번에 PE모델은 넷플릭스오징어 게임 시즌 2에도 나올듯 하다.[12]

기아의 최신 디자인 정체성을 반영해 신차 수준으로 내외장 디자인을 변경했으며, 1.6 가솔린 터보 모델에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하고 하이브리드 모델에 특화 주행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전면부는 기아의 최신 패밀리 룩인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한 수직 형상의 주간 주행등과 웰컴 라이트가 적용됐으며 측면부는 신규 휠을 적용, 후면부는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와이드한 범퍼 형상으로 전면부와 통일감을 이뤘다.

실내는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적용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지문 인증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송풍구, 스티어링 휠의 디자인이 변경됐다.

더 뉴 스포티지는 1.6 가솔린 터보, 2.0 LPi,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3종으로 출시되며 범퍼와 라디에이터 그릴 디자인이 차별화된 'X-라인' 트림이 추가됐다.

1.6 가솔린 터보 모델은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으며 1.6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은 모터 출력을 개선하고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이 적용됐다.

편의·안전 사양으로는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HoD)와 위험 상황을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 경고 스티어링 휠이 기본 적용됐으며 국내에 출시된 기아 모델 중 최초로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주는 운전자 전방 주시 경고 카메라를 탑재했다. 또한 주행 시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가 신규 적용됐다. 이 밖에도 고속도로 주행 보조 2(HDA 2), 차로 유지 보조 2(LFA 2),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전방 충돌 방지 보조 등이 적용됐다.

판매 가격은 1.6 가솔린 터보 모델 2,836만원, 2.0 LPi 모델 2,901만원,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 3,458만원부터 시작한다.[13]

라인업

자세한 정보 구분, 1.6ℓ 터보 가솔린 ...
디 올 뉴 스포티지 제원
자세한 정보 구분, 올 뉴 스포티지 1.6ℓ 터보 하이브리드 ...
Remove ads

역대 슬로건

1세대(NB-7)

  • 無限生活 승용차 (스포티지)
  • 세계를 앞선 RV (스포티지)

2세대(KM)

  • No.1 Mind (뉴 스포티지)

3세대(SL)

  • SMART INSIDE (스포티지 R)
  • FIRST MOVER (더 뉴 스포티지 R)

4세대(QL)

  • THE SUV (더 SUV 스포티지)
  • Never Mind, Action (스포티지 더 볼드)

5세대(NQ5)

  • We will move. (디 올 뉴 스포티지)
  • Modern for future. (디 올 뉴 스포티지)
  • Discover Your World. (디 올 뉴 스포티지)

판매량

자세한 정보 연도, 미국 ...
  1. Europe: 2020 EU 27 + UK + Switzerland + Norway + Iceland
Remove ads

수상 내역

  • 영국 <2025 왓 카 어워즈> - '최고의 패밀리 SUV' 선정
  • 미국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 <2025 최고의 고객가치상> - '최고의 하이브리드 SUV' 부문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각종 미디어에서의 등장

영화에서의 등장

  • 은밀하게 위대하게 - 국정원 요원들의 차량으로 2세대 모델이 등장한다. 실제 요원용 차량들과 달리 드물게도 경광등을 조수석 쪽 지붕에 부착한다.

애니메이션에서의 등장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