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계원

대한민국의 군인 (1923–2016)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계원
Remove ads

김계원(金桂元, 1923년 6월 28일 ~ 2016년 12월 3일)은 지난날 중앙정보부 부장, 타이완 주재 대사, 대통령 비서실 실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기업인이다. 경상북도 영주 출생이며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간략 정보 김계원, 임기 ...
Remove ads

생애

1923년 6월 28일 경상북도 영주에서 출생하였고 경성부연희전문학교 2년을 수료한 후 일본군 학도병으로 일본 육군예비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 소위로 복무하던 중 해방을 맞이하고 귀국하였다.[1] 1946년 군사영어학교 1기로 육군 소위 임관 하였으며, 같은 해 1946년 대한민국 육군 중위 진급하였고 그 후 1969년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육군참모총장중앙정보부장을 맡았다. 그 후 국회의원 출마를 거부하고 자유중화민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고(1971년 1월~ 1978년 12월)[2][3] 1978년 12월에는 대통령 비서실장이 되었는데 그 직위에서 재직하던 중 1979년 10.26 사건에 관련되어 육군 보안사령부로 끌려가서 심문을 받았다. 그리고 그는 군법회의재판에 회부되어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중요임무종사미수죄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또한 그는 예비역 육군대장으로 이미 예편한 상태였지만 신군부 세력에 의해 보충역 이등병으로 정정되었다.[4][5] 이후 무기징역형으로 형량이 감형되었고, 1982년 5월 형집행정지로 석방된 후 1988년 특별사면 복권되었다. 그해 12월 18일 예비역 장군 자격을 회복하였다.[4] 이후 정치에서 손을 뗐다. 그 후 원효실업 회장을 지냈다가 물러났다. 2016년 12월 3일 오후 11시에 숙환으로 타계했다.

Remove ads

가족 관계

학력

기타

  • 민간인 신분인 암살범 김재규 정보부장을 계엄령 선포 전임에도 김계원 비서실장은 대통령 경호실이나 검찰, 경찰이 아닌 군에서 체포하도록 요청하였다.[6]

언론에서는 이것을 물리적 힘이 법치 질서를 깨며 통치 수단으로 등장하였다고 지적한다.[6]

  • 12.12 이후 김계원은 고등군법회의에서 내란의 죄 대신 단순살인죄가 적용되어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었다. 그는 88년 말 예비역 대장 계급이 복권되는 등 완전한 복권이 이뤄졌으나 군인연금지급신청서류 제출을 '국가에 대한 재산권 행사기간(5년)'의 시효를 넘긴 1988년 7월 14일에 하게 된 까닭으로 이후 연금을 한푼도 지급받지 못했다.[7]

김계원을 연기한 배우들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