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대현 (1983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대현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으로, 업무용 협업툴 잔디(JANDI)를 개발·운영하는 토스랩(Toss Lab)의 공동창업자이자 대표이사이다. 2014년 창업 이후 현지화된 협업 소프트웨어을 바탕으로 아시아 시장에 진출을 시도하였다. 2020년 9월 시리즈 B(USD 13M) 투자 유치했다.[2] 2025년에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 ‘스프링클러(Sprinkler)’를 공개하고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켓플레이스에 등재하여 엔터프라이즈 조달 채널을 확장했다.[3][4]

간략 정보 김대현, 출생 ...

생애

김대현은 교통·커머스 산업 현장에서 해외 사업·신사업 기획을 수행하며 다국어·다문화 협업의 비효율을 체감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용 업무 협업 도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는 한국스마트카드(티머니) 해외사업부, 티켓몬스터(신사업·로컬사업부 기획) 등을 거쳐 2014년 토스랩을 공동창업했다.[1]

토스랩과 잔디

토스랩은 2015년 메신저 기반 협업툴 잔디(JANDI)를 출시했다. 2020년 9월에는 소프트뱅크벤처스아시아 등이 참여한 1,3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B 라운드를 발표했으며, TechCrunch는 잔디의 일본·대만 시장 리더십과 다국어 전략을 소개했다.[2] 일본 시장에서는 상장사 비전(Vision Inc.)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현지 판매·지원 체계를 강화했으며, 2025년에는 ‘잔디 AI’ 확산을 위한 협력을 재확인했다.[5]

제품·전략

잔디는 주제별 대화방, 파일 공유·검색, 화상회의, 공지·읽음 확인, 관리자 기능 등을 제공하는 메신저 퍼스트 기업용 SaaS로 출발했다. 2025년 공개된 ‘스프링클러’는 대화·파일 맥락을 기반으로 요약·질의응답·지식검색을 제공하는 생성형 AI 기능군으로, 기업 내 지식 접근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3] 같은 해 잔디는 AWS 마켓플레이스에 등재되어 프라이빗 오퍼 등 엔터프라이즈 조달 경로를 확보했다.[4] 보안·컴플라이언스 측면에서 토스랩은 ISO/IEC 27001 인증 및 유지, CSA STAR 레지스트리 등재를 통해 정보보호 관리체계와 클라우드 보안 수준을 공표했다.[6][7][8]

성과

토스랩은 아시아 중심의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기업 고객 기반을 확대해 왔으며, 2024년에는 잔디의 누적 가입 팀 수가 40만을 돌파했다고 보도되었다.[9] 잔디 영문 회사 소개 페이지는 토스랩의 비전과 글로벌 전개 방향을 제시한다.[10]

수상

  • 2024년 ‘소프트웨어 산업인의 날’ 국무총리 표창(소프트웨어 산업발전 유공자).[11]
  • 2024년 AWS Korea ‘Technology Rising Star Partner of the Year’ (잔디, 토스랩).[12]

평가와 철학

김대현은 개인용 메신저의 업무 사용이 초래하는 피로·비효율을 문제로 규정하고, ‘업무 맥락에 맞는 도구’로서의 협업 플랫폼을 주장해 왔다. 그는 지역별 언어·문화·관행에 맞춘 현지화, 제품 로드맵 중심의 표준화된 업데이트, 엔터프라이즈 보안·감사 대응의 일관성을 핵심 원칙으로 제시한다.[1][10][8]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