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신영
대한민국의 희극 겸 방송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신영(金信英, 1983년 12월 20일~ )은 대구광역시 출신의 희극 배우이다.
생애
- 2002년 코미디연기과에 입학하였고, 학과 교수인 이영자의 제자가 되었다.
- 데뷔 전 코미디언 김숙의 열성 팬이었다.[1]
- 2003년 12월 28일, SBS 개그 콘테스트에 '단무지 브라더스'로 참가하여 대상을 수상하고, SBS 공채 7기 개그맨으로 데뷔하였다.
- 2004년 1월부터 《웃음을 찾는 사람들》에 첫 출연해서 활동을 시작한 후, 이후 각종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활약했다.
- 2020년 7월 10년 이상 MBC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한 DJ에게 주는 '브론즈 마우스'를 수상하였다.[2]
- 2022년 8월 29일 KBS 1TV 전국노래자랑의 새 MC로 발탁되면서, 같은 해 10월 16일 방영분부터 2024년 3월 24일까지 MC로 출연했다.
학력
- 동명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 (졸업)
- 예원예술대학교 코미디연기과 (졸업)
별명
- 참새혀
- 이계인
- 합죽이
- 일요일의 막내딸
출연
현재 출연중인 프로그램
- MBC FM4U 《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2012년 10월 22일 ~ 현재)
- 채널S 《다시 갈 지도》 (2022년 3월 17일 ~ 현재)
출연 프로그램
기타 출연 프로그램
라디오 DJ
- 2007년 TU미디어 《개그스테이션》〈신영, 진영, 필수의 웃음 유발자들〉
- 2007년 ~ 2010년 MBC 표준FM (중파 900kHz, 표준FM 95.9MHz) 《이언, 김신영의 심심타파》 / 《신동, 김신영의 심심타파》 (2007년 10월~2010년 4월)
- 2012년~현재 MBC FM4U (FM 91.9MHz)《정오의 희망곡 김신영입니다》
드라마, 시트콤
영화
뮤직비디오
- 2005년 별책부록 - NRG 7집
- 2005년 부비부비 - 바나나걸 2집
- 2007년 식사부터 하세요 - 자두 싱글
- 2008년 천생연분 - 윙크
- 2009년 마네킹 - 한유나
CF
- 2005년 해태 고향만두
- 2006년 농심 별따먹자
- 2006년 디지털큐브
- 2008년 ABC마트
- 2009년 SK컴즈 수험생 응원동영상 '점수를 말해봐'
- 2010년 아르바이트 포탈 알바몬
- 2010년 SK브로드밴드 B 화면분할편
- 2010년 SK텔레콤 T
- 2010년 강정이 기가막혀
- 2010년 식신백경
- 2010년 삼성생명보험
- 2015년 삼성디지털프라자
- 2016년 동서식품 포스트 통곡물
- 2018년 바닐라코
- 2018년 프레시팝 밤감샴
- 2018년 올리브영 오늘세일
- 2019년 소소풀 수풀마스크
- 2019년 LG생활건강 테크 산소크린
- 2020년 네이처컬렉션
- 2020년 행정안전부 긴급재난지원금 캠페인
- 2020년 한국관광공사 근로자휴가지원사업
- 2020년 닥터디퍼런트 비타A크림
- 2020년 다비치안경
- 2020년 맥도날드
- 2020년 이마트
- 2020년 롯데카드 롤라카드 롤라경품대잔치
- 2022년 공익광고협의회 친환경 생활 실천 공익광고
- 2023년 자생한방병원
Remove ads
논란
음악 활동
발매 앨범
- 2020년 5월 《주라주라》 - 둘째이모 김다비라는 예명으로 음반을 냈다.
참여 앨범
홍보대사
- 2004년 한국애견연맹 명예홍보대사
- 2008년 소림소녀 홍보대사
- 2009년 SK컴즈 네이트 러닝메이트 홍보대사
- 2009년 서울시자원봉사센터 홍보대사
- 2011년 노숙인 신종플루 홍보대사
- 2012년 코카콜라 Be a Fan 캠페인 홍보대사
- 2015년 전국장애인부모연대 홍보대사
- 2018년 남양주시 홍보대사
수상
- 2005년 대한민국 영상대전 포토제닉상
- 2006년 제18회 한국방송프로듀서상 코미디언상
- 2006년 제42회 백상예술대상 방송 부문 예능상
- 2007년 SBS 연예대상 코미디인기상
- 2008년 제15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희극인 부문상
- 2008년 MBC 연기대상 라디오 부문 신인상
- 2009년 KBS 연예대상 쇼오락 MC 부문 신인상
- 2009년 예원예술대학교 공로상
- 2010년 MBC 방송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 부문 우수상
- 2011년 제19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예능대상
- 2011년 MBC 방송연예대상 우정상
- 2013년 MBC 방송연예대상 라디오 부문 최우수상
- 2014년 KBS 연예대상 쇼/오락 부문 우수상
- 2017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예능부문 여자 최우수상
- 2018년 MBC 방송연예대상 라디오 최우수상
- 2022년 제9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여우조연상
- 2022년 KBS 연예대상 쇼&버라이어티부문 여자 우수상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