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S 연예대상
한국방송공사가 주관하는 한국방송공사 소속 프로그램 출연 인물 및 한국방송공사 소속 프로그램 시상식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BS 연예대상》은 한국방송공사가 주최하는 연말 예능 시상식이다. 1987년 제정된 《KBS 코미디대상》이 그 시초로, 1994년까지 이어지다가 1995년 《코미디 대축제》로 타이틀이 바꾸어 시상하였지만 폐지되었다. 그리고 2002년부터 《KBS 연예대상》이라는 타이틀로 다시 주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타이틀 변천사
역대 대상 수상자
KBS 코미디대상 (1987~1994)
KBS 코미디 대축제 (1995~1996, 1999)
KBS 연예대상 (2002~현재)
- 2017년은 방송사 파업으로 인하여 시상식이 진행되지 않음.
Remove ads
역대 부문별 수상자
요약
관점
KBS 코미디대상 (1987~1994)
1987년 KBS 코미디대상
1988년 KBS 코미디대상
1989년 KBS 코미디대상
1990년 KBS 코미디대상
1991년 KBS 코미디대상
1992년 KBS 코미디대상
1993년 KBS 코미디대상
1994년 KBS 코미디대상
KBS 코미디 대축제 (1995)
1995년 KBS 코미디 대축제
KBS 연예대상 (2002~현재)
시청자가 뽑은 최고의 프로그램 (최우수 프로그램)상
최우수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우수상
신인상
올해의 예능인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19회 (2021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했으며, 해당년도 대상후보 전원이 받는 상임.
방송 작가상
최우수 아이디어(코너)상
우수 코너상
최고 엔터테이너 (베스트 엔터테이너 / 최고 인기)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베스트 팀워크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8회 (2009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하였음.
베스트 커플상
베스트 챌린지상
특별상 & 공로상
라디오 DJ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3회 (2004년) '안녕하세요 정한용과 왕영은 입니다'는 최우수 라디오 프로그램상으로 수상하였음.
- 4, 5, 7, 8회 (2005년, 2006년, 2008년, 2009년) 시상식 때는 라디오 부문을 시상하지 않았음.
- 16회 (2018년)에는 올해의 신인상, 올해의 엔터테인먼트상, 올해의 DJ상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수상자를 선정하였음.
- 17회 (2019년), 18회 (2020년)는 신인 DJ상, 올해의 DJ상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수상자를 선정하였음.
- 19회 (2021년)는 엔터테인먼트 DJ상, 올해의 DJ상으로 세분화하여 수상자를 선정하였음.
핫이슈 예능프로그램상
핫이슈 예능인상
디지털 콘텐츠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18회 (2020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하였음.
부문별 기타 시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12회 (2013년) 모바일 TV인기상
12회 (2013년) 실험정신상
13회 (2014년) 인기상
15회 (2016년) 기자들이 뽑은 최고의 포토제닉상
- 이휘재, 이서언, 이서준 (쌍둥이)
15회 (2016년) 인기상
16회 (2018년) 인기상
17회 (2019년) 베스트 아이콘상
- 슈퍼맨이 돌아왔다
- 윌리엄 해밍턴, 벤틀리 해밍턴
- 박나은, 박건후
- 문희율
- 홍라원, 홍라임
- 도연우, 도하영
18회 (2020년) 베스트 아이콘상
- 슈퍼맨이 돌아왔다
- 윌리엄 해밍턴, 벤틀리 해밍턴
- 박나은, 박건후, 박진우
- 도연우, 도하영
- 홍라원, 홍라임
- 강하오
- 박하준, 박하연
- 이주은, 이태강, 이주율
18회 (2020년) 스페셜 프로그램상
19회 (2021년) 베스트 아이콘상
- 슈퍼맨이 돌아왔다
- 윌리엄 해밍턴, 벤틀리 해밍턴
- 박나은, 박건후, 박진우
- 박하준, 박하연
- 후지타 젠
19회 (2021년) 인기상
20회 (2022년) 베스트 아이콘상
- 슈퍼맨이 돌아왔다
- 박나은, 박건후, 박진우
- 후지타 젠
- 신민준, 신예준, 신민서
- 김단우, 김연우
- 김은우
- 연준범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20회 (2022년) 인기상
21회 (2023년) 인기상
- 슈퍼맨이 돌아왔다
- 박나은, 박건후, 박진우
- 강정안, 강정우
- 김은우, 김정우
- 연준범
- 이담호, 이도호
- 정수아, 정수애, 정수현, 정재범, 정하늘
21회 (2023년) 베스트 아이콘상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 리무진 서비스
22회 (2024년) 베스트 아이콘상
- 슈퍼맨이 돌아왔다
- 연준범
- 김은우, 김정우
- 장지우, 장시우
- 박재이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 신상출시 편스토랑
22회 (2024년) 인기상
Remove ads
진행자
Remove ads
뒷이야기 및 논란
- 유재석은 연예대상 총 18회 수상으로 방송 3사 중 2개 방송사에서 연예대상 최다 수상자로 기록되어 있다. (KBS 2회, MBC 8회, SBS 8회 수상)
- 역대 연예대상 2관왕 수상자로는 강호동, 유재석, 이영자가 있다.[3]
- KBS 연예대상 최다 수상자로는 신동엽 (2002년, 2012년, 2022년), 김종민 (2011년, 2016년, 2023년), 유재석 (2005년, 2014년), 강호동 (2008년, 2009년), 문세윤 (2021년, 2023년) 이 있다.
- 2011년 연예대상은 프로그램 멤버 단체가 대상을 수상했는데,[4] 수상자 선정 시 대상 후보에 없었던 팀에게 대상을 시상하면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당초 이경규, 김병만, 신동엽, 유재석, 이승기 등 총 5명의 후보였으며, 이 중 《개그콘서트》에서 화제를 모은 코너인 《달인》에서 뜨거운 인기를 얻은 김병만이 유력한 후보였지만 아무도 예상치 못한 《1박 2일》팀이 단체로 대상을 수상하면서 급조된 시상이 아니냐는 의혹을 샀다.
- 2018년 연예대상은 2002년 연예대상 시상식 개최 이후 최초로 여성이 대상을 수상했다.[5]
- 2019년 연예대상은 2011년 연예대상 시상식 이후 역대 두 번째로 프로그램 멤버 단체가 대상을 수상했으며,[6][7] 이로 인해 샘 해밍턴은 방송 3사 최초 재한 외국인 연예대상 수상자라는 기록을 쓰게 됐고, 도경완은 현역 아나운서 신분으로는 최초로 자사 연예대상 수상에 성공했으며, 박주호는 현역 K-리거 최초로 지상파 연말 시상식의 대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쓰게 됐다.
- 2020년 연예대상은 개그콘서트의 종영으로 인해 코미디 부문의 시상이 없었다.[8] 또한,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일부 비대면 형태로 시상식이 진행되면서 대상 후보자 및 부문별 시상자들만 참석했으며 대상을 제외한 다른 부문의 수상자들은 현장에 참석하지 않고 사전 녹화된 영상으로 대신 수상 소감을 전했다.[9] 대상은 김숙이 수상하게 되면서 연예대상 시상식 개최 이후 역대 두 번째로 여성이 대상을 수상했다.[10]
- 2021년 연예대상은 대면 형태로 시상식이 진행됐으나 코로나19 범유행이 아직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객석 마스크 착용, 무관객 진행 등이 이루어졌다. 시상식 트로피 역시 MC석 및 시상자석과 최대한 멀리 떨어져 배치되었고 수상자 호명 시 본인이 직접 가져가는 형태로 진행됐다. 대상은 문세윤이 수상하게 되면서 2012년 이후 9년 만에 연예대상 MC가 대상을 수상하는 모습이 비춰지기도 했다.[11]
- 2022년 연예대상은 신동엽이 수상하게 되면서 KBS 연예대상 시상식이 최초로 개최된 2002년 이후 10년 주기로 대상을 연속해서 3회 이상 수상하는 기록이 나오게 됐다.[12]
- 2023년 연예대상은 《1박 2일》팀이 수상하면서,[13] 방송 3사 연예대상 시상식 최초로 특정 프로그램이 한 시상식에서 2회 대상을 수상하는 기록을 쓰게 됐다.[14]
Remove ads
방송 채널
시청률
Remove ads
연예대상 경쟁 프로그램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