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응하
조선의 무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김응하(金應河, 1580년 ~ 1619년)는 조선의 무관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의(景義),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후손들은 철원 김씨로 분파되었다.
생애
출생과 초기 경력
1580년 철원군 갈원동 하갈리에서 태어났다. 고려 명장 김방경의 후예로 전한다.[1] 1604년(선조 37) 무과에 급제했으나 곧 파직되었다가, 박승종의 천거로 선전관에 다시 기용되었다.[1] 1610년 재차 선전관에 임명된 이후 이항복의 발탁으로 경원판관을 거쳐 삼수군수·북우후를 역임하였다.[1]
성품과 무예
기마·궁시에 능하고 병사 지휘에 강단이 있었다는 전승이 따른다. 체력·담력에 관한 일화들은 후대 열전·향전 전승에서 무인의 덕목을 부각하는 서술 관습으로 함께 나타난다.[1]
사르후 전역과 최후
1618년 명나라가 후금을 정벌할 때 조선에 원병을 요청하였다. 김응하는 도원수 강홍립, 부원수 김경서 휘하 좌영장으로 편제되어 1619년 출정하였다.[1] 2월 압록강을 건너 진군했으며, 악천후와 식량 부족 속에 전개되었다.[2]
심하 전투 이후 사르후 부차벌판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김응하는 약 3,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후금군과 교전하였다. 초기에는 화포·궁시 운용으로 1차 돌격을 저지했으나, 서북풍과 모래바람으로 화기가 무력화되면서 연속 돌입한 철기병 공세에 좌영이 붕괴하였다.[3] 그는 버드나무에 의지하여 큰 활 세 자루를 번갈아 당겨 끝까지 항전했으나, 철창에 찔려 전사하였다. 당시 보고에는 “이와 같은 자가 서너만 있었더라도 감당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평과 함께, 그를 의류장군(依柳將軍)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보인다.[3] 같은 맥락의 전승으로 유하장군(柳下將軍)이라는 별칭도 통용된다.[2]
전포와 말의 귀환 전승
전장 임종 직전 전포(戰袍)를 찢어 전사일자를 적어 타던 말의 목에 매달아 귀가시켰다는 전승이 있다. 말은 본가에 도착한 뒤 먹이를 거부하여 죽었고, 별도의 관곽을 마련해 배장(陪葬)하였다는 서사가 전한다.[4]
종자·심복의 충절
당시 수행 통인 김철현(당시 16세)이 끝까지 주군을 따랐다는 기록이 전하며, 장례와 수습 과정에서도 이탈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전한다.[4]
Remove ads
사후
광해군 11년(1619) 전사 직후 조선 조정은 그를 영의정에 추증하고 시호 충무를 내렸다.[1] 광해군 11년 3월 19일자 실록 기사에는 증직과 사후 처우에 관한 전교가 확인된다.[5] 명나라 만력제는 그를 요동백(遼東伯)에 봉하고 가족에게 백금을 하사하였다.[1] 동생 김응해는 이후 관직을 역임하고 어영대장에 올랐다.[6]
추모
철원 화지리 일대에 포충사(褒忠祠)가 창건되고, 현종 9년(1668) 사액되었다.[7] 숙종 9년(1683)에는 묘비가 세워졌으며 비문은 송시열이 짓고, 박태유가 글씨를 썼고, 김수항이 제액을 집자하였다.[8] 비는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 금학로425번길 32(화지9리)에 있으며, 비신은 오석(96×215×32cm), 총 높이는 약 3.89m이다. 1974년 삼군영내로 이전되었다가 1984년 현 위치로 환원되었고, 1985년 9월 13일 강원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9] 한국전쟁 시기 사우는 큰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정비되었다.[7] 정조 22년(1798)에는 『충렬록』 중간 및 관판본 판화가 간행되고 어제시가 포충사에 걸려 기념이 강화되었다.[10][2]
평가
사르후 전역에서의 최후는 조선군의 화기·궁시 운용이 기상·지형 변수에 취약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지휘관 개인의 결단과 항전 의지를 압축적으로 상징한다. ‘의류(依柳)/유하(柳下)’라는 명명은 경계 공간에서 끝까지 전열을 지킨 장수의 이미지를 굳힌 사례로 평가된다.[3][2]
같이 보기
배우
주석
참고 문헌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