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김해시의 시내버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김해시의 시내버스
Remove ads

김해시의 시내버스김해시 교통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은 핵심적인 교통수단이다. 현재 일반, 공영, 좌석 포함 41개 노선이 있으며 공영버스 6개 노선, 일반과 좌석 노선은 35개이다. 주요 운수업체는 태영운송그룹의 계열사인 가야IBS, 동부교통, 김해BUS신어BTS가 있다.

간략 정보 관리 주체, 차적지 ...

노선

종류

45개 노선 216대의 차량이 운행되고 있으며, 일반노선 40개 노선, 순환노선 3개 노선, 좌석노선 6개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노선번호 체계

  • 한 자리 수: 간선버스 (시내 및 시외 도시지역)
  • 두 자리 수: 지선버스 (읍면지역)
  • 세 자리 수
    • 100번대: 김해대학-풍유동차고지 순환 (100번이 유일)
    • 200번대: 장유동-부산광역시간 급행 (220번이 유일)
    • 300번대: 풍유동차고지-진영 본산 (300번이 유일)
  • 공영버스: 지선버스 (대동면, 상동면 지역)
Remove ads

운임

현행 운임 제도는 2020년 1월 10일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선·후불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김해소속 버스들은 시외를 진출입할 때 별도의 시계외 구간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이 지역의 공식 교통카드는 금융결제원의 전자화폐인 K-CASH와 제휴하여 글로벌캐쉬에서 발행한 김해그린카드마이비에서 발행한 김해포유카드며, 타 지역의 마이비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2011년 5월 21일부터 부산광역시, 양산시와의 통합 환승제가 시행되어 하나로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2017년 2월 삼원FA에서 만든 세로배치식 신형 카드 단말기의 도입[1]과 함께 2017년 3월 8일부터 티머니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2]

다른 지역과 달리 교통카드 호환 진전이 상당히 늦은 지역이다. 한국철도공사와 글로벌캐쉬의 협상 결렬로 인해 레일플러스의 호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아무런 진전이 없으며, 하나카드의 후불교통카드 역시 쓸 수 없다. 2012년 12월부터 사용이 가능한 대구광역시탑패스는 구형만 이용할 수 있다.

금융결제원과 글로벌캐쉬의 제휴 종료에 따라, 2017년 4월 27일을 마지막으로 K-CASH 김해그린카드의 사용이 전면 중지된다.

환승 할인제도의 시행 초기에는 창원 시내버스 등과 동일하게 승차 후 1시간 이내의 범위로 무료 환승이 시행되었으나, 부산-김해 경전철의 개통을 앞둔 2010년 6월부터는 부산광역시와의 연계를 위해 부산시내버스와 동일하게 하차 후 30분 이내의 범위로 조정하여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자세한 정보 종류, 나이 ...
Remove ads

김해시 차적의 운행 노선

요약
관점

현재 운행 중인 노선은 2019년 3월 5일 기준이며, 폐선되어 없어진 노선은 기술하지 않는다.

도시형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업체 ...

좌석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업체 ...

공영버스 (지선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업체 ...
Remove ads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

창원시의 시내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업체 ...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자세한 정보 노선 번호, 운행업체 ...
Remove ads

사진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