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안동역
경상북도 안동시의 철도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안동역(安東驛, Andong station)은 경상북도 안동시 송현동에 위치한 중앙선의 철도역이다. 중앙선 개통 당시 역명은 경북안동역(慶北安東驛)이었으나, 1949년 7월에 현재의 안동역으로 변경되었다.
1931년 10월 16일에 개업했으며, 현재 중앙선 및 영동선을 직결 운행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정차한다. 청량리역에서 출발한 중앙선 KTX-이음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여 경주역에서 동해선과 합류해 부전역까지 운행한다. 1940년에 설치된 구 역사의 급수탑은 12각형의 구조물로 그 형태가 독특하여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Remove ads
열차 운행
한동안 청량리 - 안동 새마을호의 종착역이었지만, 운행선 변경 전의 중앙선이 영주역 이남 구간에 가공전차선이 없어서 기존 비전철 새마을호가 퇴역한 후에는 운흥동에서 송현동으로 역사를 이전할 때까지 ITX-새마을 열차가 운행할 수 없었다.
중앙선이 도담 - 영천 구간의 복선전철화와 함께 선로가 이설됨에 따라, 2020년 12월 17일에 운흥동에서 송현동 안동버스터미널 앞으로 이전했다. 동시에 가공전차선이 설치되면서 2021년 1월 5일부터 KTX-이음의 운행이 시작되고, 송현동으로 옮기고 전철화된 후에도 한동안 운행하지 않았던 ITX-새마을도 2022년 11월 5일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전철화 이후 ITX-새마을 대신 운행했던 누리로 여객열차는 ITX-새마을 운행 재개와 동시에 운행을 종료했다.
Remove ads
역사
- 1931년 10월 15일 : 경북선 개통과 함께 경북안동역(慶北安東驛)으로 영업 개시[1]
- 1948년 9월 14일 : 사무관역으로 승격
- 1949년 7월경 : 안동역으로 역명 변경[2]
- 1960년 3월 8일 : 역사 신축 착공
- 1960년 8월 25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3][4]
- 1984년 12월 31일 : 역사 일부 개축
- 1997년 10월 1일 : 거점 관리역으로 지정
- 1999년 1월 1일 : 영주 지역 관리역으로 통합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14년 10월 31일 : 안동역 착발 새마을호 운행 종료
- 2015년 5월 29일 : 화물 취급 중지[5]
- 2020년 12월 17일: 옹천~무릉 간 운행선 변경에 따라 구(舊) 운흥동 역사 폐지[6], 안동버스터미널 바로 앞의 송현동 신 역사로 이전 및 누리로 운행 개시
- 2021년 1월 5일 : KTX-이음 운행 개시
- 2022년 11월 5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누리로 운행 종료.
- 2023년 12월 29일 : KTX-이음 서울역 연장 운행 및 왕복 1회 증설 운행 개시 및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12월 20일 :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 완공과 동시에 KTX-이음 부전 방향 으로 연장됨
승강장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KTX-이음 고상홈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의성 |
12 | | 34 | |
영주↓ |
1 | 영동선 · 중앙선 | 무궁화호 · ITX-마음 · ITX-새마을 | 동대구 · 부전 방면 |
---|---|---|---|
2 | 중앙선 | KTX | 부전 방면 |
3 | 서울 · 청량리 방면 | ||
4 | 중앙선 | ITX-마음 | 청량리 방면 |
ITX-새마을 | |||
영동선 | 무궁화호 | 동해 방면 |
Remove ads
역 주변
사진
- 안동역 역사
- 안동역 역사 안
- 역명판
구 역사
- 구 안동역 모습
- 구 안동역사
- 구 선로 끝 역명판
- 구 승강장
- 구 역명판
- 구 선로측 역사
- 구 매표소 및 개찰구
- 구 대합실
- 구 폴사인
- 구 간판
문화재
인접한 역
기타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