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개구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꼬리개구리

꼬리개구리(tailed frogs)는 개구리목 꼬리개구리속(Ascaphus)에 속하는 2종의 개구리이다.[1] 꼬리개구리속은 꼬리개구리과(Ascaphidae)의 유일속이다.[2] "꼬리"는 실제로는 수컷의 총배설강(總排泄腔, cloaca)이 외부로 연장된 부분을 가리킨다. 이는 이 종들이 빨리 흐르는 물 속에서 생활하며 적응하는 과정에서 발달한 2가지의 구별되는 형태학적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체내수정으로 생식을 하는 유일한 북아메리카 개구리이다.[3]

간략 정보 꼬리개구리, 생물 분류ℹ️ ...
Thumb
꼬리개구리
Thumb
Ascaphus truei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양서강
아강: 진양서아강
목: 개구리목
아목: 원와아목
과: 꼬리개구리과
(Ascaphidae)
Fejérváry, 1923
속: 꼬리개구리속
(Ascaphus)
Stejneger, 1899
  • 로키산맥꼬리개구리 (A. montanus)
  • 해안꼬리개구리 (A. truei)
꼬리개구리의 분포 지역
Thumb
꼬리개구리의 분포(검은색)
닫기

학명 "아스카푸스"(Ascaphus)는 접두사 "아"(a-,"~이 없다"라는 의미)와 고대 그리스어 "스카피스"(skaphís, (σκαφίς, 쟁기(spade))의 합성어이다.[4]

하위 종

2001년까지 꼬리개구리(Ascaphus truei Stejneger, 1899)는 꼬리개구리속의 유일종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2001년, 닐슨(Nielson)과 로만(Lohman), 설리반(Sullivan)이 기존의 꼬리개구리의 아종 중의 하나를 로키산맥꼬리개구리(Ascaphus montanus)로 승격 분류하여 출판함으로써 2종으로 늘어났다.[5] 이후 기존의 꼬리개구리는 해안꼬리개구리로 공식 명명되었다.

계통 분류

2012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양서류

무족영원목

도롱뇽목

개구리목

꼬리개구리과

옛개구리과

무당개구리과

산파두꺼비과

발톱개구리과

멕시코맹꽁이과

북아메리카두꺼비과

파슬리개구리과

메고프리스과

쟁기발개구리과

신와아목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