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나노호염고세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나노호염고세균(Nanohaloarchaea)은 작은 게놈과 제한된 대사 능력을 가지는 고세균의 일부 분기군으로 DPANN 고세균에 속한다. 이 고세균은 고농도 염분의 서식지에서 극호염성인 호염고세균과 함께 널리 존재한다. 나노호염고세균은 메타게놈 데이터에서 6개 분기군으로 구성된 미배양 호염성 고세균의 한 부류로 처음으로 확인되어,[1][2] 곧 DPANN군 아래의 '나노호염고세균 문'(Nanohaloarchaeota) 으로 배치되었다.[3] 그러나 나노호염고세균의 계통발생학적 위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많아서, 호염고세균의 자매 계통 또는 DPANN 상문의 구성원으로 제안되기도 한다.[4][5][6]
이후에도 오스트레일리아의 탈라소할린 호수,[7] 스페인 염전,[8] 러시아 소다 염수,[9] 캘리포니아 염전,[10] 및 칠레 암염[11]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염분 환경의 데이터에서 그 혈통이 확인되었다.
Remove ads
하위 분류
현재 인정되는 분류는 LPSN[12] 및 NCBI에 기초를 두고 있다.[13]
| |||||||||||||||
Phylum "Nanohaloarchaeota" corrig. Rinkeet al. 2013년
- Class "Nanohaloarchaeia" corrig. Narasingarao et al. 2012
- Order "Nanohaloarchaeales"
- Family "Nanohaloarchaeaceae"
- Genus ?"Candidatus Nanohaloarchaeum" corrig. Hamm et al. 2019
- "Ca. N. antarcticum" corrig. Hamm et al. 2019
- Genus ?"Candidatus Nanohaloarchaeum" corrig. Hamm et al. 2019
- Family "Nanohaloarchaeaceae"
- Order "Nanohaloarchaeales"
- Class "Nanohalobiia" corrig. La Cono et al. 2020
- Order "Nanohalobiales" La Cono et al. 2020[14] ["Nanosalinales" Rinke et al. 2020]
- Family "Nanohalobiaceae" La Cono et al. 2020 ["Nanosalinaceae" Rinke et al. 2020]
- Genus ?"Candidatus Haloredivivus" Ghai et al. 2011
- Genus ?"Candidatus Nanopetraeus" corrig. Crits‐Christoph et al. 2016 ["Nanopetramus" (sic)]
- Genus "Candidatus Nanohalobium" La Cono et al. 2020
- "Ca. N. constans" La Cono et al. 2020
- Genus "Candidatus Nanosalina" Narasingarao et al. 2012
- Genus "Candidatus Nanosalinicola" corrig. Narasingarao et al. 2012 ["Nanosalinarum" (sic)]
- Family "Nanohalobiaceae" La Cono et al. 2020 ["Nanosalinaceae" Rinke et al. 2020]
- Order "Nanohalobiales" La Cono et al. 2020[14] ["Nanosalinales" Rinke et al. 2020]
Remove ads
계통 분류
|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