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남구 (부산광역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자치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남구(南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남부에 있는 구이다. 부산국제금융센터(BIFC)가 있고 남구의 중심 문현금융단지가 들어서는 지역이다. 구청은 대연동에 있고 앞으로 미래의 도시로 거듭날 개발단지가 많이 들어설 지역이다. 부산의 혁신도시 사업중 하나인 대연 혁신 지구 단지가 이곳 있다.
역사
남구는 역사적으로 삼한시대는 변한, 삼국시대는 신라에 소속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부터 동래군으로 칭하여 고려시대까지 이어졌고 조선시대에는 동래부에 소속되었다가 1949년 8월 15일부터 부산시제가 실시되었고, 1975년도에 남구로 승격된 후 1995년 3월 1일 남구에서 수영구가 분구되었다.[3]
- 1914년 3월 1일 : 부산부 서하면(문현), 용주면(대연, 용호, 용당, 감만, 우암)
- 1914년 4월 경상남도 동래군 서하면, 용주면
- 1936년 4월 1일 : 동래군 용주면, 남면 일부가 부산부로 편입되어 부산진출장소에 편입(대연, 용호, 용당, 감만, 우암동)
- 1953년 9월 10일 : 부산시 대연출장소 설치
- 1957년 1월 1일 : 구제 실시로 부산진구 대연출장소와 동래구 수영출장소로 개편
- 1973년 3월 10일 : 부산직할시 대연출장소로 승격
남구
Remove ads
지리
부산광역시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동해와 남해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한반도의 남북, 동서를 연결하는 대동맥의 출발지로 지적도와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용호동에 소재하는 오륙도를 기준으로 동해와 남해로 구분하고 있다.[7]
용호부두가 있는 용호동은 대규모 고급 아파트 단지들이 건설되면서 쾌적한 주거지와 중대형 평형대가 많아 부유층들이 많이 거주하는 부촌을 형성하고 있다. 대연동은 원래 원룸과 빌라, 단독주택 등이 많이 위치한 동네였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 대연혁신지구를 필두로 대규모 재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중소형 평형대 위주의 신축 아파트들이 많이 건설되며 부자들이 많은 부촌 까지는 아니더라도 평범한 서민들이나 중산층들이 유입이 늘면서 신흥 주거지로 떠오르고 있다. 또 문현동의 경우 혁신도시 사업으로 문현금융단지가 개발이 되는 중이며 현재 1단계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단계가 완료되었다. 2단계(2015년 착공)와 3단계(2022년 예정)가 현재 진행 중이다. 그리고 부산의 상징이자 시 지정문화재인 오륙도와 천혜의 해안절경으로 유명한 이기대공원, 신선대 유원지 등의 시민 여가를 위한 휴식공간이 있다.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기후를 나타내며 온대 계절풍이 부는 온화한 해양성기후 지역이다. 동천을 경계로 서쪽은 동구 황령산 경계로 서북쪽은 부산진구 금련산과 황령대로 대남교차로 경계로 동쪽은 수영구, 금련산 경계로 북쪽은 연제구 남쪽은 부산항대교 연결되는 영도구에 접하며, 구청 소재지는 남구 대연제6동이다.
Remove ads
행정 구역

남구의 행정 구역은 17개 행정동과 6개의 법정동, 360통, 2,577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26.81km2이다. 2014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인구는 114,412세대, 290,137명이며, 행정 구역별 세부 인구는 다음과 같다.[8]
인구
구청
교육 기관

- 특수학교
ㆍ
Remove ads
복지, 아동 시설
- 남구보건소
- 남구치매안심센터
- 남구드림스타트
- 남구 장애인 복지관
- 용호 사회 복지관
문화 시설
출신인물
갤러리
도심풍경
- 용호만
- 신선대
- 신선대 야경
- 남구청
문화 시설
교통 환경
*구청 인근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못골역이 있다.
국제금융센터 . 부산은행역(BIFC 몰)
문현역
지게골역
대연역(고려병원)
경성대 부경대역
이기대
- 이기대에서 바라본 해운대
오륙도
- 오륙도 SK뷰 아파트
자매 도시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