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53년
연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사건
- 1월 9일 - 다대포 앞바다에서 여객선 창경호 침몰 사고가 발생하다.
- 2월 4일 - 제주도 근해상에서 제1다이호마루 사건이 발생, 선박이 나포되었고 어민 1명이 사망하였다.
- 4월 21일 - 새 국무총리에 백두진이 임명되었다.
- 4월 25일 -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 박사, DNA의 이중나선 구조에 관한 논문을 네이처誌에 발표하다.
- 5월 25일 - 세계 최초 초음속 전투기 노스아메리칸 F-100 슈퍼세이버탄생
- 5월 29일 - 에드문드 힐러리 卿과 쉐르파 텐징 노르가이, 세계 최초로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오르다.
- 6월 2일 - 엘리자베스 2세,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영국 국왕으로 즉위하는 대관식 거행.
- 7월 27일 - 한국 전쟁 휴전.
- 8월 3일 - 유엔 중립국 감시위원회, 판문점에 군사정전위원회 본부 설치.
- 8월 6일 - 월북시인 임화(林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미국 스파이'로 몰려 처형.
- 8월 7일 - 평양방송, 박헌영 등 남로당 계인사 12명 숙청사실 발표.
- 8월 8일 - 변영태 외무장관과 존 포레스트 덜레스 미 국무장관, 청와대서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 8월 15일 - 한국전쟁으로 부산으로 옮겼던 대한민국 정부가 서울로 돌아옴.
- 8월 20일 - 소련, 수소폭탄 첫 실험 성공.
- 9월 21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인민군 공군 노금석 대위, MIG-15를 몰고 대한민국으로 귀순.
- 9월 24일 - 할리우드에서 첫 시네마스코프 영화 《성의》 상영.
- 10월 1일 - 한미상호방위조약, 미국 워싱턴 D.C.서 조인.
- 10월 3일 - 대한민국 정부, 신형법 공포 시행.
- 10월 6일 - 제3차 한일회담 개막.(10일 결렬)
- 10월 11일 - 라몬 막사이사이 후보, 필리핀 대통령에 당선.
- 10월 14일 - 키비아 학살, 아리엘 샤론이 지휘하는 이스라엘 군이 요르단강 서안 지구를 공격, 50명 이상이 살해되었다.
- 10월 14일 - 요시프 브로즈 티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대통령에 선출되다.
- 10월 15일 - 영국 핵실험이 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에뮤 필드에서 실시되다.
- 대한민국이 원화에서 환화으로 화폐 단위를 바꾸다.
- 미국 시카고 대학에서 밀러 실험 실시.
- 스웨덴 알름훌트에 이케아의 첫 번째 매장이 열리다.
Remove ads
문화
탄생
1월
- 1월 1일
- 1월 3일 - 레바논의 모델 주르지나 리즈크.
- 1월 4일 - 대한민국의 교육자 이동섭.
- 1월 5일
- 1월 6일
- 1월 8일 - 미국의 야구 선수 브루스 수터. (~2022년)
- 1월 10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축구 감독 허정무.
- 1월 14일 -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 제18대 국회의원 장세환.
- 1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신동훈.
- 1월 17일 - 일본의 탁구 선수 야마이즈미 카즈코. (~2024년)
- 1월 21일 - 미국의 기업가 폴 앨런. (~2018년)
- 1월 22일
- 1월 24일
- 1월 26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김정수. (~2014년)
- 1월 28일
- 1월 29일
2월
- 2월 1일
- 2월 2일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마이크 패닝. (~2022년)
- 2월 6일 - 대한민국의 식품공학자, 교육인 이원종.
- 2월 10일 -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현 야구 코치 이홍범.
- 2월 11일 - 미국의 정치가 젭 부시.
- 2월 14일 -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한스 크랑클.
- 2월 15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이재근.
- 대한민국의 전 교수 하수호.
- 2월 16일 - 대한민국의 가수 태진아.
- 2월 18일
- 2월 19일 - 아르헨티나의 대통령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 2월 21일 - 미국의 배우 윌리엄 루이스 피터슨.
- 2월 22일 - 대한민국의 배우 이계영. (~2023년)
- 2월 23일 - 홍콩의 싱어송라이터 겸 영화배우 중전타오.
- 2월 24일 - 대한민국의 가야금 연주자 문재숙.
- 2월 25일 - 대한민국의 배우 김영철.
- 2월 26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마이클 볼튼.
3월
- 3월 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구자열.
- 3월 3일
- 3월 4일 -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장두진. (~2020년)
- 3월 5일 -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 조혜정.
- 3월 11일 -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정현발. (~2023년)
- 3월 16일
- 3월 18일 - 대한민국의 의원 김동근.
- 3월 19일 - 미국의 뮤지션 빌리 시언.
- 3월 21일 - 쿠바의 권투 선수 에밀리오 코레아. (~2024년)
- 3월 22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장종태.
- 3월 23일 -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샤카 칸.
- 3월 24일 - 미국의 영화배우 루이 앤더슨. (~2022년)
- 3월 26일 - 미국의 공무원 일레인 차오.
- 3월 2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주옥순.
4월
5월
- 5월 5일 - 대한민국의 교수 최광식.
- 5월 6일 - 영국의 정치가 토니 블레어.
- 5월 7일 - 대한민국의 외교관 박준우. (~2024년)
- 5월 11일
- 5월 15일 - 헝가리의 펜싱 선수 콜초너이 에르뇌. (~2009년)
- 5월 16일 - 아일랜드의 배우 피어스 브로스넌.
- 5월 17일
- 일본의 배우 시마다 요코. (~2022년)
- 카자흐스탄의 대통령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 5월 19일 - 미국의 영화감독 앨버트 피언. (~2022년)
- 5월 2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성수.
- 5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차범근.
- 5월 24일
- 5월 25일
- 5월 28일 - 대한민국의 배우 문성근.
- 5월 29일 - 미국의 작곡가 대니 엘프먼.
6월
7월
- 7월 4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신경섭. (~2006년)
- 7월 10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낙정. (~2023년)
- 7월 12일 - 일본의 전 야구 선수 마유미 아키노부.
- 7월 13일 - 대한민국의 테니스 선수 이덕희.
- 7월 14일 - 일본의 정치인, 외무대신 오카다 가쓰야.
- 7월 15일 - 아이티의 대통령 장베르트랑 아리스티드.
- 7월 17일 - 대한민국의 이슬람 학자 이희수.
- 7월 19일
- 7월 26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종교인, 행정가 이영무.
- 7월 27일
- 7월 28일 - 대한민국의 학원인 한상희.
- 7월 29일 - 미국의 패션 컨설턴트이자 방송인 팀 건.
8월
9월
- 9월 3일 - 말리의 전기공학자 아마둔 투레.
- 9월 4일 - 터키의 전 축구 선수, 현 축구 감독 파티흐 테림.
- 9월 6일 - 미국의 배우 패티 야스타케. (~2024년)
- 9월 9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홍률.
- 러시아의 기업인 알리셰르 우스마노프.
- 9월 12일 - 미국의 전 양궁 선수 존 윌리엄스.
- 9월 14일 - 대한민국의 문화예술인 나기철.
- 9월 15일 - 대한민국의 지휘자 임헌정.
- 9월 17일 - 대한민국의 소설가, 정치인 김한길.
- 9월 19일
- 9월 22일
- 9월 25일 - 대한민국의 공무원 김진규.
- 9월 27일
- 9월 28일
- 9월 29일
10월
- 10월 3일 - 대한민국의 배우 오미연.
- 10월 10일
- 10월 11일 - 미국의 배우 데이비드 모스.
- 10월 12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김영윤.
- 10월 15일 - 미국의 가수 티토 잭슨. (~2024년)
- 10월 17일 - 대한민국의 시인 박남철.
- 10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박덕흠.
- 10월 20일 - 대한민국의 공예가, 교수 조성혜.
- 10월 24일 - 독일의 축구 선수 크리스토프 다움. (~2024년)
- 10월 27일 - 미국의 야구 선수 U. L. 워싱턴. (~2024년)
- 10월 28일 -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 박영규.
- 10월 31일 - 대한민국의 기업인 신창재.
11월
12월
- 12월 1일 - 미국의 생물학자 빅터 앰브로스.
- 12월 3일
- 12월 8일 - 미국의 배우 킴 베이싱어.
- 12월 9일
- 12월 13일
- 12월 15일 - 대한민국의 배우 안옥희. (~1993년)
- 12월 17일 - 미국의 배우 빌 풀먼.
- 12월 18일 - 대한민국의 정치인 김재철.
-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허정무.
- 12월 26일
- 도미니카 공화국의 대통령 레오넬 페르난데스.
- 에스토니아의 대통령 토마스 헨드릭 일베스.
-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 김승환.
- 12월 27일 - 대한민국의 국악인 김영임.
- 12월 28일 - 영국, 프랑스의 피아니스트, 작곡가 리샤르 클레데르망.
- 12월 29일 - 독일의 전 펜싱 선수 토마스 바흐.
- 12월 31일 - 미국의 배우, 가수 제인 배들러.
미상
Remove ads
사망




- 2월 24일 - 나치 독일의 군인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1875년~)
- 3월 5일
-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인 이오시프 스탈린. (1878년~)
- 러시아의 작곡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1891년~)
- 3월 14일 - 체코슬로바키아의 정치인 클레멘트 고트발트. (1896년~)
- 4월 4일 - 루마니아의 왕 카롤 2세. (1893년~)
- 4월 19일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인, 교육자 이시영. (?~)
- 4월 29일 - 폴란드와 프랑스의 화가 모이즈 키슬링. (1891년~)
- 5월 21일 - 독일의 수학자·철학자 에른스트 체르멜로. (1871년~)
- 9월 7일 - 일본의 군인 아베 노부유키. (1875년~)
- 9월 28일 -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 (1889년~)
Remove ads
노벨상
- 문학상:
- 물리학상: 프리츠 제르니커
- 생리학 및 의학상:
- 평화상:
- 화학상:
달력
음양력 대조 일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