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눈병
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강 상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아래는 눈에 발생하는 병의 목록이다.
세계 보건 기구는 알려진 장애와 부상의 분류인 국제질병분류(ICD-10)를 출판한다. 아래의 목록은 해당 분류를 사용한다.
H00-H06 눈꺼풀, 눈물기관 및 안와의 장애
Remove ads
H10-H13 결막의 장애
- (H10.0) 결막염
H15-H22 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의 장애
H25-H28 수정체의 장애
H30-H36 맥락막 및 망막의 장애
H30 맥락망막의 염증
- 제외: 삼출성 망막증 (H35.0)
H31 맥락막의 기타 장애
(H31) 기타 맥락막 장애
H32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맥락망막 장애
(H32) 달리 분류된 맥락막 장애
H33 망막색소상피의 박리
- (H33) 망막 박리
- (H33.1) 망막 분리
H34 망막 혈관 폐쇄
- 망막 동맥 폐쇄
- 망막 혈관 폐쇄
H35 기타 망막 장애
H36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망막 장애
- (H36.0)
Remove ads
H40-H42 녹내장
- (H40-H42) 녹내장
- (H40.0) 녹내장 의심
- (H40.1) 일차성 개방우각녹내장
- (H40.2) 일차성 폐쇄우각녹내장
H43-H45 유리체 및 안구의 장애
- (H43.9) 비문증
H46-H48 시신경 및 시각경로의 장애
- (H47.2) 레베르시신경병증
- (H47.3) 시신경유두 두루젠
H49-H52 안근, 양안운동, 조절 및 굴절의 장애
H53-H54.9 시각 장애 및 실명
H55-H59 눈 및 눈부속기의 기타 장애
- (H57.9) 적안(레드 아이)
- (H58.0) 아질 로버트슨 동공
기타 코드
아래는 세계 보건 기구에 의해 분류되지 않았다. (H00-H59):[2]
- (B36.1) 각막진균증
- (E50.6-E50.7) 안구건조증
- (Q13.1) 무홍채증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