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구 중구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행정 구역

자세한 정보 행정동, 한자 ...

법정동

자세한 정보 행정동, 법정동 ...
Remove ads

연혁

  • 1953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중부출장소(동인동1가 외 16개동), 종로출장소(덕산동 외 37개동)를 설치하였다.[1]
  •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로 중부·종로출장소 통합하여 중구로 승격하였다.[2] (53법정동)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
  • 1964년 7월 1일 북구 태평로3가를 중구에 편입하였다.[3] (54법정동)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
  • 1965년 2월 1일 동 행정구역 개편을 시행하여 13행정동으로 통폐합하였다.[4]
13행정동 - 동인1·2가동, 동인3가동, 동인4가동, 삼덕1·2가동, 삼덕3가동, 봉산동, 동성동, 남성동, 종로동, 북성동, 서성동, 대신동, 달성동
  • 1965년 2월 2일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을 확정하였다.[5]
  • 1970년 7월 1일 봉산동을 봉산1동, 봉산2동으로 분동하였다.[6] (14행정동)
  • 1970년 5월 달성공원 종합문화관, 동물원 조성을 완료하고, 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을 안치하였다.
  • 1970년 10월 구 경상감영 자리에 중앙공원(현 경상감영공원)을 조성하였다.
  • 1975년 10월 1일 봉산1동, 봉산2동을 다시 봉산동으로 합동하고, 대신동을 대신1동, 대신2동으로 분동하였다. 또 남성동 일부(상서동·수동·장관동)를 종로동에 편입함과 동시에 남구 남산1동 일부를 편입하여 법정동 동산동을 신설하였다.(14행정동, 55법정동)[7]
  • 1980년 4월 1일 남구 남산동 전역, 대봉동과 대명동의 각 일부를 편입하고[8], 종로동을 말소하였다. 동시에, 남성동과 서성동간의 경계 역시 조정하였다.[9][10] (19행정동 57법정동)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행정동), 신 행정구역 ...
  • 1981년 5월 16일 동인동2가 1번지(현 시청주차장)에서 동인동2가 78번지(현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로 구청사를 이전하였다.[11]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중구로 승격하였다.[12]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13]
  • 1991년 4월 15일 지방자치제 실시로 구의회를 개원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중구로 개칭하였다.
  • 1998년 9월 14일 동인1·2가동, 동인4가동을 동인1·2·4가동으로, 삼덕1·2가동, 삼덕3가동을 삼덕동으로, 봉산동, 동성동을 성내1동으로, 남성동, 북성동을 성내2동으로, 서성동, 달성동을 성내3동으로, 대신1동, 대신2동을 대신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동시에, 법정동에 맞춰져 있던 경계를 주요 도로망을 따라 직선화하였다.[14] (13행정동)
  • 1999년 6월 1일 동인동2가 177-4번지로 구청사를 이전하였다.[15]
  • 2011년 7월 4일 동인1·2·4가동, 동인3가동을 동인동으로 합동하였다.[16] (12행정동)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