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만어 가나

대만어의 발음 표기를 위해 가타카나를 사용한 문자 체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만어 가나
Remove ads

대만어 가나(タイ ヲァヌ ギイ カア ビェン; 중국어 정체자: 臺灣語假名 일본어: 台湾語仮名)란 대만일치시기대만에서 대만어의 발음 표기를 위해 사용된 가타카나를 모체로 한 가나의 표기 체계를 말한다. 주로 한자의 발음 표기에 보조적으로 쓰였으며, 일본어의 발음을 표시하는 후리가나와 비슷한 역할을 했다. 일본어에는 없는 유기/무기의 구별이나 비모음 성조 등의 구별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이 고안되었다. 대만 각지의 발음을 참고로 하였으나 특히 아모이 지역의 발음을 중심으로 했다고 한다. 당시 대만에서 편찬된 교과서나 대일/일대사전 등의 서적에서 사용례가 보인다.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컴퓨터상에서 구현하기는 어려우나, 금석문자경에 성조 표시를 포함한 코드가 등록되어 있어 잘 조합해 사용하면 표시 가능하다. 시대에 따라 자체나 용례에 변천이 있으며, 이하 표시된 것은 최종적으로 사용된 표기법에 의한다.

Thumb
대일대사전(일본어: 臺日大辭典,중국어 정체자: 台日大辭典』)의 대만어 가나
Remove ads

50음도

주요 특징

대만어의 단모음(單母音)은 여섯 종류로 문자「ア」,「イ」,「ウ」,「エ」,「オ」,「ヲ」를 사용한다.

  • 「ヤ」,「ユ」,「ヨ」,「ワ」,「ヰ」,「ヱ」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 「ヲ」는 [ə]로 발음된다. 다만 일부 지방에서는 [o] 또는 [ɤ]로 발음한다.
  • 「ヲ」가 이중모음으로 쓰일 때에는 ヲア([ua])와 ヲエ([ue]), 또는 ヲァイ([uai]), ヲァッ([uat̚])과 같이 [u]로 발음된다.
  • 단모음(單母音)이 있는 음절 뒤에 같은 모음이 반복되면, カア([ka]), キイ([ki]), オオ([ɔ]), ヲヲ([ə])와 같이 일본어의 장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ァ, ィ, ゥ, ェ, ォ, 는 단모음(短母音) 표기에 쓰인다. 이들은 キァウ([kiau]), キェク([kiek̚]), キァゥ([kiauʔ])와 같이 음절 중간에 있는 모음 또는 성문 파열음에 쓰인다.
  • 취안저우 방언을 위한 ([ɨ])와 ([ə])의 두 가나가 있다. 이들은 ク([kɨ]), コ([kə]), クヌ([kɨn])과 같은 예에 쓰인다.
  • 「f-」 순치음이 없으므로「フ」의 발음은 [ɸu]가 아니라 [hu]가 된다.
  • 어말에서의 비음 「ヌ」는「n」음, 「ム」는「m」음, 「ン」는「ng」음으로 사용된다.
Remove ads

부호자

  • ガ ギ グ ゲ ゴ
  • ザ ジ ズ ゼ ゾ
  • バ ビ ブ ベ ボ
  • パ ピ プ ペ ポ
  • カ̣ キ̣ ク̣ ケ̣ コ̣
  • タ̣ チ̣ ツ̣ テ̣ ト̣
  • パ̣ ピ̣ プ̣ ペ̣ ポ̣
  • サ̣ チ̣ ツ̣ セ̣ ソ̣

설명

「ツァ」[tsa]를 한 문자로 표시한 것
「ツェ」[tse]를 한 문자로 표시한 것
「ツォ」[tsə] 내지 [tso]를 한 문자로 표시한 것
「ティ」[ti]를 한 문자로 표시한 것
「トゥ」[tu]를 한 문자로 표시한 것
  • 「 ̣」을 가나문자의 아래 가운데에 찍어 유기음임을 나타낸다.

팔성부호(八聲符號)

자세한 정보 성조, 上平 (1성) ...
  • 가나 문자의 우측에 덧붙인다.
  • 「|+。」는「6」의 상부를 똑바로 한 형태이다.
  • 「ノ+。」는「|+。」를 오른쪽으로 45° 정도 기울인 형태이다.
  • 「°+乀」는「|+。」를 오른쪽으로 135° 정도 기울인 형태이다.
  • 팔성 부호는 백화자의 성조 부호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백화자와의 대비

자세한 정보 없음, p ...
  • m,n,ng행은 반드시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인다. 이들 음성은 자음자체가 비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ガ행에 상음의 팔성부호를 사용하면 g행이 되며 ガ행에 비음의 팔성부호를 붙이면 ng행이 된다.
  • 여기에 팔성부호를 붙여 완전한 표기를 이룬다. 다만 백화자에서 -h로 끝나는 음의 경우는 마지막 글자를 작게 쓴다.
  • 이 표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조합도 실려 있다.
  • ※ 표시는 불명확한 점이 있다.
Remove ads

용례

대만어 가나
シェヌ シイ コン、ハㇰ シェン ァム ァム チ̣
백화자(en:POJ)
Sian-siⁿ kóng, ha̍k-seng tiām-tiām thiaⁿ.
타이완 주음부호
ㄒㄧㄢ ㄒㆪ ㄍㆲˋ, ㄏㄚㄍ̇ ㄒㄧㄥ ㄉㄧㆰ˫ ㄉㄧㆰ˫ ㄊㄧㆩ
한자
先生講、學生恬恬聽。
한국어 번역
선생님이 책을 읽습니다. 학생들은 조용히 듣고 있습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