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만 주음부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만 방음부호(臺灣方音符號, 대만민남어백화자 / 한라병음: Hong-im Hû-hō, 객가어 백화자 / 통병: Fông-yîm Fù-ho)는 대만민남어와 객가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표음문자이다. 중화민국 교육부에서 지정한 공식이름은 방음부호계통(注音符號系統)이지만, 대만주음부호(臺灣注音符號)라는 이름이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주음부호를 기반으로 표준중국어에는 없는 음절을 더하여, 1946년에 대만성국어추행위원회의 주도로 설계되었다.[1]

Remove ads
부호표
중화민국교육부에서 발표한 대만민남어적기용주음부호 49부호 중, 26부호는 표준중국어주음부호에서 비롯되었고 나머지 23부호만 새로 창제되었다.
- 푸른색은 표준중국어에서 쓰여지지 않는 부호를, 붉은색은 표준중국어와 용도가 다른 부호를 가리킨다.
- 대만어에는 4가지의 입성운미가 있는데, 작게 쓴 ㄅ [p̚ ]、ㄉ [t̚ ]、ㄍ [k̚ ]、ㄏ [ʔ]로 표기한다.
- ㄬ[ɲ]、ㄛ [o]、ㄝ [ɛ]、ㆨ [ɨ] 따위의 부호는 대만어의 방언에서만 쓰여진다.
- ㄫ[ŋ]、ㄬ[ɲ]는 과거에 노국음 표기에 사용했던 부호를 재활용한 것이다.
- ㄣ, ㄥ은 표준중국어와 달리, 복운모에서만 쓰인다. ㄣ은 복운모 ㄧㄣ, ㄨㄣ에 사용되며 ㄥ은 복운모 ㄧㄥ에만 쓰인다.
Remove ads
성조부호
- 2성과 5성을 나타내는 부호는 각각 표준중국어의 4성, 2성을 나타내는 부호를 활용하였다.
컴퓨터에서의 취급
유니코드
Unicode 1.0버전부터 U+3105-U+312C 평면 상의 「Bopomofo」 구역에, ㄪ, ㄫ, ㄬ를 포함한 40개의 주음부호 수록되었다. Unicode 3.0버전에는 U+31A0-U+31B7 평면의 「Bopomofo Extended」 구역에 대만어 표기에 필요한 확장 주음부호가 추가되었다.
문자 처리
주음부호의 글리프를 포함하는 글꼴과 입력 도구는 이미 다수 존재한다.
- 文泉驛正黑體
- GNU Unifont
- freedesktop.org의 CJKUnifonts 字型
- 微软雅黑
- 微軟正黑體
- 微軟GB18030 Support Package (簡體中文版)
- 臺灣詔安客語教學資源中心 台灣楷體字型
- 從宜台語注音符號輸入字型、工具及顯示程式(2006版) 보관됨 2021-04-21 - 웨이백 머신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