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서원부인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서원부인 김씨(大西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초대 왕 태조 왕건의 제19비이다.
Remove ads
생애

동주(지금의 황해북도 서흥군[1]) 출신으로 대광 김행파의 딸이다[2]. 태조의 제20비인 소서원부인과는 자매간이다.
《고려사》〈열전〉의 대서원부인 항목에는 대서원부인의 출신지와 아버지만 기록되어 있으나[2], 같은 〈열전〉의 소서원부인 항목에는 그녀와 동생 소서원부인이 태조와 인연을 맺게 된 경위가 비교적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두 자매의 아버지인 김행파는 922년(태조 5년) 태조의 명으로 서경(지금의 평양특별시)로 옮겨가 살았다[3]. 김행파는 활을 잘 다뤄서 태조로부터 김씨 성을 사성받은 인물이다. 하루는 태조가 서경에 행차하였을 때, 김행파는 자신과 함께 사냥하는 무리들과 길에서 태조를 알현하고 태조에게 자신의 집에 오기를 청하였다. 태조가 자신의 집으로 오자, 김행파는 자신의 두 딸에게 각각 하룻밤씩 태조를 모시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날 이후 태조는 서경을 다시 찾지 않았고, 이로 인해 김행파의 두 딸은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었다. 훗날 이 이야기를 들은 태조가 두 자매를 불쌍히 여기고 불러보았는데, 태조는 이들을 보고 "너희가 이미 출가하였으므로, 그 뜻을 빼앗을 수 없다.[4]"라고 하며 서경에 명령을 내려 성 안에 대서원(大西院)과 소서원(小西院)의 두 절을 만들게 하고 각각 밭과 노비를 두어 자매를 각각 그곳에서 살게 하였다. 이렇게 하여 대서원에 살던 언니를 대서원부인이라 하고, 소서원에 살던 동생을 소서원부인이라고 한 것이다[5]. 현대의 일부 학자들은 태조와 대서원부인 자매의 혼인을 두고, 태조의 혼인이 지방 세력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도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하고 있다[6].
한편 대서원부인의 자세한 생애나 생몰년, 능지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자녀는 없었으며, 호는 대서원부인(大西院夫人)이다.
Remove ads
가계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