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야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야구 국가대표팀으로, KBO에 의해 구성된다. 1998년까지는 아마추어 선수들만 국제대회에 참여했으나, 1998년 아시안 게임부터는 프로 선수들도 참여하고 있다.

간략 정보 국가, 연맹 ...
대한민국

Thumb

국가 대한민국
연맹 KBO
국제 연맹 아시아 야구 연맹
감독 류지현
WBSC 랭킹 4위 (2023년 11월) 확인
올림픽
출전 횟수 4회 (첫 출전: 1996)
역대 최고 성적 금메달 (2008)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출전 횟수 5회 (첫 출전: 2006)
역대 최고 성적 준우승 (2009)
월드컵
출전 횟수 14회 (첫 출전: 1976)
역대 최고 성적 우승 (1982)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8회 (첫 출전: 1994)
역대 최고 성적 우승 (1998, 2002, 2010, 2014, 2018, 2022)
유니폼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Thumb
원정
닫기
간략 정보 메달 기록, 남자 야구 ...
메달 기록
남자 야구
올림픽
2000 시드니야구
2008 베이징야구
WBC
2006 샌디에이고야구
2009 로스앤젤레스야구
야구 월드컵
1978 로마야구
1980 도쿄야구
1982 서울야구
1986 암스테르담야구
1990 에드먼턴야구
1994 마나과야구
1998 로마야구
2005 로테르담야구
아시안 게임
1994 히로시마야구
1998 방콕야구
2002 부산야구
2006 도하야구
2010 광저우야구
2014 인천야구
2018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야구
2022 항저우야구
WBSC 프리미어 12
2015 일본·대만야구
2019 대한민국·일본·대만·멕시코야구
닫기

역사

한국 프로 야구가 출범하던 해인 1982년서울에서 개최된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의 사실상의 결승전이었던 일본전에서 김재박의 개구리 번트한대화의 역전 쓰리런으로 극적인 우승을 차지해 프로야구의 인기가 올라가는데 큰 역할을 했는데 이 대회 외에도 1980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준우승,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우승 당시 대부분 멤버들이 병역특례 혜택을 받았다[1].

그 후 1990년대 중반, 프로야구의 방위병 제도가 폐지되자, 야구를 하면서 병역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상무 외에는 사실상 사라졌다. 이 때부터 아마추어로만 구성되던 국가대표팀은 프로로 전환되어 선발되었다.

1998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박찬호, 김병현, 서재응과 같은 메이저리거와 다수의 프로 선수들이 참여하여 당시 아마추어 선수들만 참여하던 아시안 게임에서 손쉽게 우승을 차지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 결정전 구대성의 완투승으로 동메달을 차지하여 올림픽 야구 사상 첫 메달을 차지하였고, 2002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대회 2연패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김재박이 이끌던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예선에서 탈락해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고, 곧이어 병역 비리가 터지면서 대한민국 야구는 침체기를 맞게 된다.

그러던 2006년,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이 개최되고 박찬호, 김선우, 봉중근, 구대성, 김병현, 최희섭, 서재응을 비롯한 다수의 해외파가 참가한 가운데, 숙적의 라이벌 일본에게 2연승을 거두는 등 4강까지 올라갔지만, 준결승전에서 패배하여 4강에 머물고 말았다. 수많은 메이저리거가 소속된 국가를 이기고 4강까지 올라가자, 대한민국 정부2002년 FIFA 월드컵에서 4강에 진출하자 병역 특례를 준 것처럼 병역 혜택을 주면서 모두 11명이 병역 특례를 받게 되었다.

그리고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조별 리그 B조에서 대한민국이 2승 1패로 같은 중화 타이베이네덜란드하고 승점이 같아졌고, 승자승(HTH)까지도 같아졌지만 득실차(TQB)에서 밀려 조 3위로 아쉽게 2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대회 기록

요약
관점

올림픽 성적

자세한 정보 본선, 최종예선 ...
본선 최종예선
연도 결과 경기 경기
미국 1984년4위5203 1982년 아마추어 월드 시리즈 우승
1988년14위5203 개최도시
스페인 1992년예선 탈락 1991년 아시아선수권대회 3위[2]
미국 1996년조별(8위)7106 1995년 아시아선수권대회 준우승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3위9504 1999년 아시아선수권대회 우승
그리스 2004년예선 탈락 2003년 아시아선수권대회 3위1
중화인민공화국 2008년우승9900 7700
일본 2020년4위7304 2019년 WBSC 프리미어12 준우승
미국 2028년
합계6/84222020 7700
닫기

아시안 게임 성적

자세한 정보 연도, 결과 ...
연도 결과 경기
일본 1994년준우승4301
태국 1998년우승6600
2002년우승6600
카타르 2006년3위5302
중화인민공화국 2010년우승5500
2014년우승5500
인도네시아 2018년우승5401
중국 2022년우승6501
합계8/8474205
닫기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성적

자세한 정보 본선, 예선 ...
본선 예선
년도 결과 경기 경기
2006년4강761 없음
2009년준우승963 없음
2013년1라운드321 자동참가
2017년1라운드312 자동참가
2023년1라운드422 자동참가
2026년
합계 5회 진출 26 17 9
닫기

프리미어 12 성적

자세한 정보 연도, 결과 ...
연도 결과 경기
2015년우승862
2019년준우승853
2024년1라운드532
합계3회 진출21147
닫기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성적

자세한 정보 연도, 결과 ...
연도 결과 경기
2017년준우승312
2023년준우승422
합계2회 진출734
닫기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2003년 전 아시아 야구 선수권 기록

  • 1967년 : 준우승
  • 1969년 : 4위
  • 1971년 : 우승
 
  • 1973년 : 준우승
  • 1975년 : 우승
  • 1983년 : 우승
  • 1985년 : 준우승
  • 1987년 : 3위
  • 1989년 : 우승
  • 1991년 : 3위
 
  • 1993년 : 준우승
  • 1995년 : 준우승
  • 1997년 : 우승
  • 1999년 : 우승
  • 2001년 : 준우승

2003년 후 아시아 야구 선수권 기록

자세한 정보 연도, 결과 ...
연도 결과 경기
필리핀 1954년3위3102
필리핀 1955년3위6204
일본 1959년준우승6402
중화민국 1962년준우승6303
대한민국 1963년우승6501
필리핀 1965년준우승6312
일본 2003년3위3102
일본 2005년4위3102
중화민국 2007년준우승3201
일본 2009년3위3102
중화민국 2012년3위5302
합계5/517809
닫기
자세한 정보 연도, 개최지 ...

야구 월드컵

연도 개최지 순위 # of
teams
1976 콜롬비아
카프타헤나
6 5 5 11
1978 이탈리아
로마
3 9 2 11
1980 일본
도쿄
2 9 2 12
1982 대한민국
서울
1 8 1 10
1984 쿠바
아바나
5 5 7 13
1986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2 8 3 12
1988 이탈리아
로마
8 5 6 12
1990 캐나다
에드먼턴
3 5 4 12
1994 니카라과
마나과
2 7 3 16
1998 이탈리아
로마
2 6 4 16
2001 중화민국
타이베이
6 6 4 16
2003 쿠바
아바나
8 3 6 16
2005 네덜란드
로테르담
2 7 4 18
2007 중화민국
타이베이
5 6 4 16
2009 이탈리아
네트로
9 4 6 22
2011 파나마
파나마
6 6 6 16

인터콘티넨털컵

연도 개최지 순위 # of
teams
1975 캐나다
캐나다
5 3 4 8
1977 니카라과
마나과
1 10 4 9
1981 캐나다
에드먼턴
4 5 4 8
1983 벨기에
안트페르펜
5 3 3 7
1985 캐나다
에드먼턴
2 6 3 8
1987 쿠바
아바나
6 6 7 10
1989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4 3 5 8
1991 스페인
바르셀로나
5 6 3 10
1993 이탈리아
이탈리아
5 5 4 10
1995 쿠바
아바나
4 5 4 12
1999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7 2 5 8
2002 쿠바
아바나
2 7 3 10
2006 중화민국
타이중
7 3 6 8
2010 중화민국
타이중
6 3 5 10
닫기

동아시아 경기 대회 성적

자세한 정보 연도, 결과 ...
연도 결과 경기
중국 2013년준우승8602
합계1/18602
닫기

논란

2009년 WBC 대회 직전 감독 선임 문제

2009 WBC 대회 직전의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금메달의 성과에 기대가 한껏 부풀어 있었다. 아쉽게 단 한경기를 지고서도 4강에 머무른 2006 1회 WBC의 아쉬움과 함께 군 미필 상태인 젊은 선수들(최정, 박기혁 등)은 군 면제도 기대한 데다가 온 국민이 열광하는 스포츠가 된 야구, 특히 한일전에 시선이 쏠렸다. 하지만 KBO는 WBC 대표팀 감독 선임을 두고 고민에 빠졌다. 감독 1순위는 작년 KBO 리그 준우승 팀(두산 베어스)의 감독이자 올림픽 전승 우승의 장본인인 김경문 감독이었는데, 김경문 감독이 베이징 올림픽 당시에도 장기간 팀을 비웠다는 이유로 고사했다. 또한 1순위였던 작년 프로 야구 우승 팀(SK 와이번스)의 감독인 김성근 감독은 구단 SK 와이번스의 WBC 감독 차출 승인을 하였지만 WBC 감독 선임일이던 2008년 11월 5일 당시 인터뷰에서 ’내 성격 알지 않느냐, 일단 맡으면 끝장을 봐야 하는데, 그러다가 내가 쓰러지면 에스케이는 어떻게 되느냐’는 이해할 수 없는 건강 문제로 거절하였다. 그렇게 되자 여론은 자연히 1회 WBC 감독인 김인식 감독으로 쏠렸고, 뇌경색 수술을 받고 다리가 불편한 상태에서 WBC 대표팀을 맡게 된다. 그 후유증으로 김인식 감독이 이끌던 한화 이글스2009년 프로야구 최하위인 8위에 그치고, 김인식 감독은 재계약에 실패하고 구단 고문직에 앉게 된다. 여론이 고사했던 김성근 SK 감독에게 비판적으로 쏠렸으나 침묵으로 일관하였고 1년 후 2009 한국시리즈 이후 박동희 기자와의 인터뷰에 응하였으나 여론의 물매를 받게 되었다.[3][4]

2009년 WBC 선수단의 포상금 문제

추신수, 이대호, 이용규, 이진영, 손민한, 김현수 등 2009년 제2회 WBC 대회에 참가한 28명의 국가대표 선수들이 KBO를 상대로 포상금 문제로 소송을 제기했다. KBO는 선수들에게 상금 100만 달러에 한해서 포상금으로 지급한다는 방침이며 선수 1인당 돌아가는 금액은 3200만 원이다. 하지만 선수들은 준우승 상금 등으로 받은 300만 달러에서 경비와 세금을 제외하고 선수 1인당 9200여만 원씩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6][7]

국가대표팀 명단

2024년 기준

자세한 정보 번호, 포지션 ...
번호 포지션 선수 생년월일 소속 팀
투수 정해영 2001년 8월 23일 대한민국 KIA 타이거즈
투수 최지민 2003년 9월 10일 대한민국 KIA 타이거즈
투수 곽도규 2004년 4월 12일 대한민국 KIA 타이거즈
투수 유영찬 1997년 3월 7일 대한민국 LG 트윈스
투수 임찬규 1992년 11월 20일 대한민국 LG 트윈스
투수 곽빈 1999년 5월 28일 대한민국 두산 베어스
투수 김택연 2005년 6월 3일 대한민국 두산 베어스
투수 이영하 1997년 11월 1일 대한민국 두산 베어스
투수 최승용 2001년 5월 11일 대한민국 두산 베어스
투수 고영표 1991년 9월 16일 대한민국 KT 위즈
투수 소형준 2001년 9월 16일 대한민국 KT 위즈
투수 박영현 2003년 10월 11일 대한민국 KT 위즈
투수 조병현 2002년 5월 8일 대한민국 SSG 랜더스
투수 김서현 2004년 5월 31일 대한민국 한화 이글스
포수 박동원 1990년 4월 7일 대한민국 LG 트윈스
포수 김형준 1999년 11월 2일 대한민국 NC 다이노스
내야수 김도영 2003년 10월 2일 대한민국 KIA 타이거즈
내야수 문보경 2000년 7월 19일 대한민국 LG 트윈스
내야수 신민재 1996년 1월 21일 대한민국 LG 트윈스
내야수 박성한 1998년 3월 30일 대한민국 SSG 랜더스
내야수 나승엽 2002년 2월 15일 대한민국 롯데 자이언츠
내야수 김휘집 2002년 1월 1일 대한민국 NC 다이노스
내야수 김주원 2002년 7월 30일 대한민국 NC 다이노스
내야수 송성문 1996년 8월 29일 대한민국 키움 히어로즈
외야수 최원준 1997년 3월 23일 대한민국 KIA 타이거즈
외야수 홍창기 1993년 11월 21일 대한민국 LG 트윈스
외야수 윤동희 2003년 9월 18일 대한민국 롯데 자이언츠
외야수 이주형 2001년 4월 2일 대한민국 키움 히어로즈
닫기

역대 감독

자세한 정보 이름, 당시 소속 ...
이름 당시 소속 게임 종류 성적 경기수 승률 (%) 생일
김인식 두산 베어스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 금메달 6 6 0 100.0 1947년 5월 1일(1947-05-01)(78세)
한화 이글스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3위 7 6 1 85.7
김경문 두산 베어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19 17 2 89.4 1958년 11월 1일(1958-11-01)(66세)
김인식 한화 이글스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9 6 3 66.6 1947년 5월 1일(1947-05-01)(78세)
조범현 KIA 타이거즈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금메달 5 5 0 100.0 1959년 10월 1일(1959-10-01)(65세)
류중일 삼성 라이온즈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9위
금메달
8 7 1 87.5 1963년 4월 28일(1963-04-28)(62세)
김인식 2015년 WBSC 프리미어 12
201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11위
11 7 4 63.6 1947년 5월 1일(1947-05-01)(78세)
선동열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2018년 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
준우승
금메달
9 6 3 1962년 12월 15일(1962-12-15)(62세)
김경문 2019년 WBSC 프리미어 12
2020년 도쿄 올림픽
준우승
4위
15 8 7 1958년 11월 1일(1958-11-01)(66세)
이강철 Kt wiz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9위 4 2 2 1966년 5월 24일(1966-05-24)(58세)
류중일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금메달
준우승
10 7 3 1963년 4월 28일(1963-04-28)(62세)
류지현 202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1971년 5월 25일(1971-05-25)(53세)
닫기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