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제국 황제

위키미디어 목록 문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제국 황제
Remove ads

대한제국 황제(大韓帝國皇帝)는 1897년부터 1910년까지 대한제국을 통치한 국가 원수를 일컫는다.

간략 정보 대한제국 황제, 호칭 ...

개요

1897년 10월 13일, 고종은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대군주를 황제로 칭하였으며 연호광무(光武)로 제정하였다.[1] 대한제국은 조선과 마찬가지로 전제군주제를 답습하였다. 대한제국의 황제는 국가원수로서 전제권력을 행사하였고, 원수부를 설치해 대원수의 위치에서 군통수권을 행사하였다.

1899년(광무 3년), 고종은 개국 시조인 태조와 자신의 4대 조상인 장종(사도세자), 정조, 순조, 익종(효명세자)을 소급하여 황제로 추존하였다. 이때 장종의 묘호를 장조(莊祖)로, 익종의 묘호를 문조(文祖)로 개칭하였다.[2]

1908년(융희 2년), 순종은 정조의 양부인 진종과, 고종의 양형 헌종과 양숙부인 철종을 황제로 추존하였다.[3]

대한제국 황제는 한국사의 마지막 세습군주이며, 1910년(융희 4년) 8월 29일 발효된 한일 병합 조약으로 일본 제국으로부터 국권이 피탈되면서 소멸하였다. 대한제국의 멸망 이후의 한반도의 국가원수는 일본 제국의 천황, 정부 수반은 조선 총독이 맡게 되었다.

한일 병합 조약 이후 대한제국 황제는 이왕가의 수장으로 일본의 왕공족이 되어 일본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함께 광복이 이루어지면서 이왕직은 폐지되었다.

Remove ads

목록

자세한 정보 대수, 묘호 ...

추존 황제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묘호, 생몰년도 재위 ...

대한제국의 역대 황후

다음은 대한제국의 황후이다.

자세한 정보 -, 황제 ...
Remove ads

1910년 이후의 대한제국 황실

대한제국의 황실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高宗)의 직계손으로 이어져 일제강점기의 이왕의 직위를 포함하여 대한제국 황실 수장의 대수를 계산한다.

1945년 일본제국의 패전 이후 1947년 신적강하로 이왕의 직위를 상실하였다.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한제국 황실은 명목상의 대한제국 황실이다.

자세한 정보 -, 작호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