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협강

멸종한 절지동물의 한 부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협강

대협강(大鋏綱. Megacheira[a])은 커다란 돌기가 있는 다리가 달린 포식성 절지동물이다.[2]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는 진절지동물의 줄기군인지 또는 협각류의 줄기군인지 추정해보는 연구로 인해 논쟁 상태에 빠져 있다.[3][4] 다른 절지동물의 머리 다리와 대협지의 상동성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대협강에 명백히 속하는 구성원들은 캄브리아기 초기에서 오르도비스기 후기까지 전세계 해양 환경에 존재했다.

간략 정보 대협강, 생물 분류ℹ️ ...
Thumb
대협강
화석 범위:
521–445.2백만년 전
[1] 실루리아기 및 데본기 화석 기록 가능성 있음
Thumb
Alalcomenaeus (왼쪽 위), Fortiforceps (오른쪽 위), Haikoucaris (중앙), Leanchoilia (왼쪽 아래), 이오호이아 (오른쪽 아래).
생물 분류ℹ️
역: 진핵생물역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대협강
(Megacheira)
Hou & Bergström, 1997
향명
  • 영어: great appendage arthropod
하단 문단 참조
닫기

형태

Thumb
대협강의 대협지 비교도
Thumb
이오호이아의 대협지 운동 범위
Thumb
탕글랑기아의 삼차원 모델 en=내지, ex=외지

대협류는 한 쌍의 일분지형 '대협지'의 존재로 정의된다. 한 두 개의 극근위마디는 돌기가 없는 반면,[b], 나머지 서너 개의 원위마디에는 보통 마디의 말단부를 향해 위쪽을 가리키는 뾰족한 돌기를 마디마다 하나 씩 가지고 있으며, 돌기가 없는 근위마디는 대개 팔꿈치 역할을 하는 관절로 뾰족한 돌기가 난 원위마디에 연결되어 위를 향해 굽어 있다.[6][5] 대협지는 포식용으로 먹이를 잡기에 알맞은 다리로 해석한 적이 있는데, 이오호이아 등의 일부 대협류 동물의 이 다리는 구조상 갯가재의 포획용 턱다리와 비교할 수 있다.[6] 레안코일리아이아우니크 등 레안코일리아과의 대협지에 달린 돌기들은 편모 형태의 구조물이 길다랗게 달려 있어, 사냥 겸 감지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7] 몸은 전체적으로 머리와 몸통으로 나뉜다. 대협류의 이분지는 상동이며[c], 내지는 대개 7마디로 나뉘고, 외지는 아가미깃이 테두리를 감싼 모습의 노 모양이다. 몸 끝에 있는 꼬리마디의 형태가 다양하다.[5] 일부 대협류의 이분지에는 적어도 겉돌기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8]

분류

요약
관점

대협강 내의 일부 세분류는 중국의 캄브리아기 초에 출현한 지안펑기아과(Jianfengiidae)[d] 뿐만 아니라 북아메리카, 중국, 오스트레일리아에 살았으며 캄브리아기 초중반에 출현한 협형류(Cheiromorpha)[e]에도 속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대협류는 단계통군이 불분명하여 일부 연구에서는 일부 연구에서는 이 그룹을 다계통군으로 복구시켰다.[5] 가장 최근에 발견된 명백한 대협류는 북아메리카의 오르도비스기 후기에 출현했던 레안코일리아과의 로만쿠스이다.[9]

이전에 방사치목으로 착각했던 중국의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발굴한 파라페이토이아의 경우 나중에 대협류의 구성원으로 추정되었다.[10][11][12] 대협지를 닮은 머리 부속지의 존재로 인해 대협류일 가능성이 있는 동물로는 영국실루리아기 지층에서 발견된 에날리크테르독일데본기 초반 지층에서 발견된 분덴바키엘루스가 있다.[13][14] 그러나 대협류와의 연관성은 부속지의 불확실한 상동 관계 때문에 의문이 존재한다.[15] 코테니켈라는 다양한 절지동물 종의 키메라 화석인 것으로 보고 있다.[5] 포르펙시카리스, 오우알리케팔루스, 오카카리스 등의 일부 이매갑류에서 대협류에 이르는 이전의 포함 여부는 후속 조사에서 의문이 제기되었다.[16] 대개 갑각류의 근연으로 여겨지는 캄브리아기 후기 오르스텐 동물군오일란도카리스도 일부 연구에서는 대협류로 보고 있기도 한다.[17]

하위 속

  • † 탕글랑기아 Tanglangia
  • 오일란도카리스 Oelandocaris?
  • †젠펑기아과
    • 스클레로리비온 Sklerolibyon
    • 젠펑기아 Jianfengia
    • 파라페이토이아 Parapeytoia?
    • 포르티포르켑스 Fortiforceps
  • †코테니켈라과?
    • 코테니켈라 Kootenichela?
    • 워르테넬라 Worthenella?
  • †협형류 (Cheiromorpha)
    • 이오호이아
    • 하이커우카리스 Haikoucaris
    • 레안코일리아목
      • 에날릭테르과?
        • 에날리크테르 Enalikter?
        • 분덴바키엘루스 Bundenbachiellus?
      • 레안코일리아과

다른 절지동물과의 연관성

대협류는 협각류 줄기군 또는 절지동물의 줄기군으로 추정되는데,[3] 전자의 가설은 신경구조[18]와 함께 대협지의 협각과 유사한 형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19][20][21] 현생 협각류의 것을 닮은 작아진 윗입술이 존재한다는 점에서[22] 협각과 대협지가 상동 구조라는 주장이 있다.[23] 다른 연구에 따르면 대협지가 이속시스방사치류의 전방부속지와 상동 구조라는 주장에 근거하여 대협류가 절지동물 줄기군이라고 추정한다. 이 정체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다른 저자들에 따르면 방사치류의 전방부속지가 현대 절지동물의 윗입술과 상동이라고 한다.[5]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