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의친왕비
의친왕의 정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의친왕비 김씨(義親王妃 金氏, 1880년 12월 22일 ~ 1964년 1월 14일)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이름은 숙(淑)·덕수(德修)이다. 의친왕의 정비이다.
Remove ads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이름은 숙(淑)·덕수(德修)이다. 진사를 거쳐 찬정을 역임한 김사준(金思濬)과 창원 황씨의 딸로 1880년(고종 17) 경기도 고양에서 태어났다. 1881년(고종 18)에 한성부로 이사하였고 어린 시절에 잠시 경기도 양주에서 보낸 적이 있다. 1886년(고종 23)에 '김수덕'에서 '김숙'으로 개명하였다. 김숙(金淑)은 현명하고 문자를 잘 알아 맹자(孟子)를 줄줄 외우고 楷書(해서, 한자 서체의 하나)를 법도있게 잘 썼다.[1] 1893년(고종 30) 2월 6일에 의화군 이강(義和君 李堈)과 결혼하였고 연원군부인(延原郡夫人)에 봉해졌다. 1900년(고종 37)에 남편 의화군이 의친왕(義親王)으로 봉해진 후 1907년(고종 44)에 군부인(君夫人)에서 친왕비(親王妃)로 개봉되었다.
의친왕비는 을미사변, 을사늑약을 비롯한 국권피탈 과정, 경술국치, 고종과 순종의 사망 등을 목도하였다. 이후 8.15 광복, 6.25 전쟁 등을 겪었다. 1945년 광복 이후로는 서울 종로구 별궁 의친왕부 사저촌에 주로 거주하며 서예로 소일하였다. 1955년 8월 15일에 장면을 대부(代父)로 의례(儀禮)를 삼아 종교를 불교에서 천주교로 개종하였다. 이후 가회동 안국동 별궁, 창덕궁 낙선재, 풍납동 승광재 별저 등을 전전하며 여생을 보냈다.
Remove ads
1963년 11월 10일을 전후로 저혈압으로 투병하다가 1964년 1월 14일에 칠궁에서 향년 83세로 별세하였다.[2]
의친왕비 김씨가 등장한 작품
TV 시리즈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