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
이탈리아의 화가 (1417-1491)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이탈리아어: Domenico di Michelino, 1417년~1491년)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피렌체에서 태어나 피렌체에서 생을 마쳤다. 그의 본명은 도메니코 디 프란체스코(Domenico di Francesco)였다. “디 미켈리노(di Michelino)”라는 부칭은 그의 스승인 카소네 화가 미켈리노 디 베네데토(Michelino di Benedetto, 1378년경~1499년)를 기리기 위해 채택된 것이며, 이 스승의 작품은 현재까지 전해지는 것이 없다. 조르조 바사리는 도메니코가 프라 안젤리코의 제자였다고 전하며, 그의 많은 작품에서 프라 안젤리코뿐 아니라 필리포 리피와 페셀리노의 영향도 드러난다고 기록했다.

도메니코는 1442년까지 피렌체 화가들의 형제단인 산 루카 단체(Compagnia di San Luca)에 등록했다. 2년 뒤인 1444년에는 피렌체 화가 조합인 메디치와 약제사 조합(Arte dei Medici e Speziali)에 가입했다. 그는 피렌체의 비아 델레 테르메(Via delle Terme)에 화실을 두었으며, 이곳은 과거 ‘존슨의 성탄화 작가(Master of the Johnson Nativity)’로 알려졌던 도메니코 디 자노비와 함께 사용한 작업장이었다.[1]
그의 현존하는 가장 이른 작품은 피렌체의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을 위한 행렬용 배너기로, 성모 마리아가 망토 아래에 순교한 아기들을 보호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작품은 1440년에 의뢰되어 1446년에 완성되었으나, 16세기에 미켈레 토시니에 의해 완전히 다시 그려졌다.[2]
1449~1450년 도메니코는 피렌체 외곽 페레톨라에 있는 산타 마리아 아 페레톨라(Santa Maria a Peretola) 교회의 성 레오나르도 경당을 장식했다. 이 경당에는 성 레오나르도가 죄수들을 풀어주는 장면을 그린 반원형 벽화와 성 카타리나, 성녀 루치아, 그리고 음악을 연주하는 천사들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다.[3]
1458년 도메니코는 ‘성모자와 성인들’ 제단화를 제작했으며, 이 작품은 현재 뮌헨의 알테 피나코테크에 소장되어 있다.[4] 1463년에는 코시모 데 메디치의 의뢰로 볼테라의 산 지롤라모(San Girolamo) 교회를 위한 제단화를 제작했으며, 이 작품은 현재 지역의 교구 박물관(Museo Diocesano)에 있다. 이외에도 날짜가 기록되지 않은 제단화들이 안기아리(Santo Stefano), 디종(디종 미술관),[5] 피렌체(아카데미아 미술관), 산지미냐노(시립 박물관), 산조반니발다르노(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대성당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또한, 도메니코의 후기 작품을 대표하는 성 로렌초의 그림은 1477년에서 1482년 사이 스티아의 산 로렌초 아 포르차노(San Lorenzo a Porciano)에서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6] 그는 제단화 외에도 종교 주제의 소형 패널화, 카소네의 전면화, 필사본 장식화 등도 많이 제작했다.
도메니코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피렌체의 산타 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 북쪽 벽에 있는 《피렌체를 비추는 신곡》(Comedy Illuminating Florence)이다. 문헌에 따르면 이 그림은 1465년 1월 30일에 의뢰되었으며, 알레소 발도비네티가 설계를 맡았다.[7] 이 그림은 단테 알리기에리가 자신의 유명한 서사시 《신곡》을 피렌체 시민들에게 바치는 장면을 묘사한다. 배경에는 《신곡》에 묘사된 지옥, 연옥, 낙원이 모두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1444~1450년경 제작된 런던 대영 도서관 소장 야츠 톰슨 필사본(Yates Thompson MS 36) 중 ‘천국편’ 제17곡(Paradiso 17)에 조반니 디 파올로가 그린 장면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그 장면에는 동일한 요소들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8]
도메니코는 1483년에도 여전히 활동하고 있었지만, 이 시기의 작품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9] 그는 1491년 4월 18일 피렌체에서 사망했으며, 산탐브로조 교회에 안장되었다.[10]
미술사학자 버나드 베렌슨은 도메니코의 모든 작품을 잘못 판단하여 주스토 다안드레아(Giusto d’Andrea, 1440–1496)의 작품으로 분류했으며,[11] 자노비 스트로치의 그림은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의 작품으로 잘못 귀속시킨 바 있다.[11]
Remove ads
각주
출처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